팔레스타인
조 사코 지음, 함규진 옮김 / 글논그림밭 / 2002년 9월
평점 :
품절


이 책을 읽다보면 스무 살에 처음 만나(?) 푹 빠진 김산이 떠오른다. 88올림픽 유치를 위해 해금된 도서였을『아리랑』주인공 김산. 김산이 구술하고 님웨일즈가 받아 적은『아리랑』은 80년대 후반부터 90년대 초반 대학을 다닌 학생들에겐 필독서였을 것이다. 내 또래 학번들은 김산을 잘 몰랐지만 80년대 후반 학번인 언니가 오래 전 책장에 꽂아둔『아리랑』을 뒤늦게 펼쳐보고 김산을 알게 됐다. 김산이 좋아 학부 졸업논문도 김산을 주제로 썼다. 차마 논문이라 부르기 어려운 조잡한 짜깁기 글이었지만. 이 책은 삶의 터전을 되찾으려 목숨 바쳐 싸우는 팔레스타인 김산이 부르는 아리랑이다. 

 

온라인 서점에서 본 표지사진이 칙칙해 보여 몇 번이나 사기를 주저하다가 도서정가제 시행 며칠 전에야 겨우 샀다. 안 샀으면 어쩔 뻔 했나 싶을 만큼 좋다. 만화를 좋아해 만화방에 가면 안 읽은 만화가 거의 없을 정도인데 이 책은 우리나라나 일본 만화와 작풍이 많이 다르다. 꽤 낯선 그림인데 정이 간다. 구석구석 빼곡하게 표현된 사실묘사가 압권이다. 어쩌면 아랍 사람들 특징을 이렇게도 잘 잡아냈는지 신기하다. 만화로는 나이 든 사람 얼굴 표현이 어려워 어색하기 마련인데 이 만화는 딱 노인처럼 그려냈다. 예쁘고 보기 좋은 보여주기식 그림이 아니고 사실성이 강하게 느껴져 마음에 든다. 어쩌면 학습만화라고 볼 수도 있을텐데 무거운 주제를 거부감 없이 녹여냈다. 

 

작가가 아랍, 아프리카, 유럽을 둘러싼 지중해 섬 몰타에서 태어났기에 이런 작품을 그리고 쓸 수 있었겠다. 팔레스타인, 내게는 너무나 먼 이야기라 치부해왔다. 어쩌다 듣는 가자지구, PLO, 끝없는 분쟁, 난민...알아야 하지만 복잡하고 골치아프다 여겨 일부러 관심두지 않았다. 그런데 이건 남 얘기가 아니잖아.

 

가진 자들이 대놓고 드러내는 잔인함은 시대와 민족과 역사를 초월한다. 팔레스타인 상황은 종교를 가장한 폭력, 야만스러운 패권 문제이다. 인간 필요에 따라 생겨난 종교 따위(?)가 절대권력으로 사람을 재단하고 억압한다. 20세기에 끝났다고 믿었던 이데올로기, 종교 싸움이 21세기에도 여전히 계속되어 조상대부터 오래 뿌리내리고 살았던 사람들을 몰아낸다. 제국주의 땅따먹기식 패권다툼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그네들 등쌀에 등 터지는 새우들이 부르는 한스러운 아리랑. 삶터 주인이 도대체 누구인지. 주와 객은 언제 제자리를 찾을까. 치떨리는 식민 시기를 거쳐 온 우리역사와 꼭 닮아 분노가 치민다. 제발 이스라엘군을 지원하는 스타벅스 좀 가지 말라고 해도 갈 사람은 다 간다. 내 일 아니라고 여기기 때문이겠지. 지금도 팔레스타인 사람들은 피흘릴텐데.


댓글(9)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보빠 2015-06-06 10: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런 책은 나같은 불면증인 사람만 읽는 줄 알았는데...반갑네요.정 이 책 읽으면서 대놓고 야만스런 종교분쟁과 은근히 우리를 돈이라는 신에 중독되게한 근현대사의 전통신앙과 배금사상 전쟁중 뭐가 더 무서운 걸까 생각해봤습니다.

samadhi(眞我) 2015-06-06 11:04   좋아요 0 | URL
저도 불면증, 수면장애 중증이었어요 지금은 자연치유(?)가 되어버렸지만 가끔씩 불면이 찾아오는 정도구요. 저는 후자가 더 무서워요 인습의 껍데기에 갇힌 전통이 얼마나 큰 해가 될까 싶어요 물론 그게 큰 장벽이 되어 망가진 것들이 많지만 옛날엔 지금처럼 물질만능으로 어린아이까지 병들진 않았으니까요

samadhi(眞我) 2015-06-06 11:08   좋아요 0 | URL
아 종교분쟁이 전자였군요 ㅎㅎ 뭐가 더 잔인한 지 가늠할 수가 없는데요 맹목적인 종교전쟁도 답 안 나오는 일이라서...

보빠 2015-06-06 11: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버스에서 치니 글이 엉망이네요..쏘리!대화명이 삼매네요 삼매가 하나의 대상에 집중된 상태라고 원효는 해석하던데..저도 불면증 오면 제가 모르는 분야 책을 봐요... 모르는 분야 책을 보면 마음이 집중되어 기분이 좋거나 아니면 따분하고 졸려서 잠이 잘오더라구요

samadhi(眞我) 2015-06-06 11:23   좋아요 0 | URL
네. 인도 수행자의 글에 공감하게 되어서 정한 이름이에요. 전부터 ˝삼매˝라는 말을 좋아하기도 했구요. 보통 사람들은 자기 전에 책 읽으면 잠 온다는데 저는 오히려 잠이 깨더라구요. 저는 반신욕(게을러서 그마저도 지속적으로 하지 않지만)이 좋더라구요. 한동안 아로마(허브)에 빠져 있기도 했고. 불면엔 정말 답이 없더라구요. 실체가 있기나 한 건지 모를 마음을 놓아버리는 수밖에.

보빠 2015-06-06 11: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잠잘려고 책보는데 재미있어서 계속 잠이 안오면 극강의 수면제 책인 아비달마구사론을 보거나 헤겔의 법철학 봐요 ㅎㅎ
그런데 건강에 좋은 수면법은 자기전에 한시간 산책이더라구요....

samadhi(眞我) 2015-06-06 11:32   좋아요 0 | URL
저도 고런 책을 구비해 두어야겠네요. 맞아요. 이른 아침 햇볕 보며 걷기만 해도 불면에게 자리를 내주는 일은 없을 것인데, 저는 게을러서 생긴 병이에요. 쓸데없는 것까지 예민하게 고민하고. 생각을 줄이고 말을 줄이는 작업이 제겐 필요합니다.

보빠 2015-06-06 11: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진여 타타타를 보면 진아가 생긴다고 하던데...그 진여를 볼려면 생각하지 말고 몸으로 느껴보세요..생각은 시뮬라시옹 즉 복제된 이미지 허상에 빠지기 쉬우니.. 걷다모면 온 몸에 전해오는 땅의 감촉이 좋아요..

samadhi(眞我) 2015-06-06 11:40   좋아요 0 | URL
제가 몸으로 하는 것에 많이 약해서. 생각만 저어만큼 가 있죠. 제 움직임이나 표정이 얼마나 어색한가를 보면서 느낍니다. 저도 흙을 밟는 퐁신함이 좋아요. 우리가 사는 거리에서 흙을 밟을 일이 별로 없긴 하지만 콘크리트를 피해서 일부러 흙을 찾아 걷는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