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수할 때 한창 음악 틀어주는 카페에 거의 매일 갔다. 그 카페 이름이 "나의 장밋빛 인생"(La vie en rose) 이다. 친구랑  500cc 생맥주 한 잔 시키고 뮤직비디오를 보며 몇 시간씩 때우곤 했다. 그때만 해도 대형 슬라이드 하나 집에 걸어서 영화도 뮤직비디오도 실컷 보리라는 꿈도 가졌었는데...... 왕가위영화, 중경삼림에서 스크린에 비친 장면도 인상깊었고.

 

대학 때도 띄엄띄엄 가긴 했지만, 딱 스무살 무렵 만큼 자주 가지는 못했다. 몇 년 뒤 촌놈인 우리 남편을  처음 데려갔을 때 연애초기라 신기해하고 좋아하는 것 같더니 가축(?)적인 사이가 된 뒤부터- 굳이 가족이라는 표현을 쓰는 것은 전에 다니던 직장에서 알게 된, 연애를 책으로 배운 어린 친구가 그당시 7년째 연애한다는 내 얘길 듣고, "가족이랑 왜 결혼해요?" 라고 해서이다.)- 나더러 폼생이란다. "설렘"이라는 화학반응의 유효기간은 역시 너무 짧은가. 아주 오랫동안 연애하면서 "안 질리냐?" 는 사람들에게 연애초기의 설렘보다 오래 사귄 은근함이 더 좋다고 잔뜩 으스대곤 했는데 말이지.

 

그때 신청곡으로 자주 들었던 음악이다. ("축제"는 일본식 한자조어라서 잘 쓰지 않으려고 애쓴다. 어차피 일본음악인데 뭐, 할 수도 있겠지만. 내 고집이다. 우리나라 방방곡곡 생겨난 별의별 축제도 잔치로 이름을 바꾸면 참 좋겠다. 농구대잔치는 이름 만큼은 매우 훌륭하다고 생각한다. 참기 힘든건 페스티벌 이라는 말이다. 가장 이해하기 힘들었던 것은 "안동 탈춤페스티벌"이었다. 국제적인 홍보 운운 핑계를 댈 것 같은데, 탈춤에 페스티벌이 뭐냐고! 이런 것이 "보통"-사소한 일에 신경쓰지 않는 무난한- 사람들과 "소통"하는데 어려움을 주는 것 같다. 내 까탈을 드러내는 것만으로도.)

 

내 속의 기가 꿈틀꿈틀 살아 움직여 흐느적거리게 만드는, 한의사 선생같은 아저씨의 몸짓과 북소리에 빠졌다. 실크로드 배경음악도 Kitaro가 만들었다. 왜곡이 심한 것으로 악명높은 일본의 고대사를 주제로 만들었다는 데에 거부감이 있지만, 음악 자체는 일품인 걸 어쩌랴. Kitaro의 음악은 중독성이 강하다, 적어도 내겐. 전에 외국 음악 싸이트에서 Kitaro 전 앨범을 다 받아놨다가 컴퓨터 고장으로 전부 날아가 버려 찾기 힘들다. 아까워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