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日1食 - 내 몸을 살리는 52일 공복 프로젝트 1日1食 시리즈
나구모 요시노리 지음, 양영철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1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학 새내기 때 선배가 소식의 '소'자 를 무슨 한자로 쓰는 줄 아느냐 물은 적이 있다. "소식(少食)이지 뭐" 하고 대수롭지 않게 대답했는데 그 선배 왈, "소식(少食)이 아니고 소식(素食)이야" 어! 정말? 소식(素食)의 사전적 의미는 소밥(고기반찬이 없는 밥)이다. 섭생(攝生)-양생(養生):병에 걸리지 아니하도록 건강관리를 잘하여 오래 살기를 꾀함-을 말하는 것이기도 하겠다.

 

 저자는 이제까지 이래야하고 저래야한다고 알아왔던 의학상식을 뒤집는다. 기존의 관념을 깨뜨리는 사고의 전환, 패러다임 혁명이라는 생각이 들면서 머리에 번쩍 충격이 인다. 그런데 그런 얘기가 거부감이 들지 않고 쉽게 수긍이 간다. 그 바탕에 연구자로서 살아온 저자의 이력을 엿볼 수 있다. 그래서 더욱 신뢰가 간다. 인간과 동물의 진화에 대한 이야기를 예로 들어 동물의 왕국을 보는 것처럼 재미가 있다. 진화에 대한 관심이 문득문득 생겨나서 공부하고 싶어질 정도다. 야생에서 적응하며 살아왔던 인간이 포식을 하며 각종 병증이 생겨나고 일부러 운동을 해서 먹었던 것들을 소화시키는 무용한 짓을 하는 현대인의 삶을 비판한다. 움베르트 에코가 쓴 "선진국 사람들은-선진국이라고 부르는 것부터 그들을 비꼰 것이지만-......" 하며 이른바 문명국이라 불리는 곳에서 사는 사람들은 먹을 것이 남아 돌아 잔뜩 먹고 맥박을 재고 일부러 조깅을 하는데 세계의 다른 곳에서 굶주리는 사람들은 하루하루 연명하기 위해 에너지를 낭비하지 않으려한다는 글을 읽은 적이 있다. 다이어트 열풍에 휩싸인 현대인들의 이야기를 대할 때마다 그 이야기가 떠오르며 이게 뭐하는 짓인가 싶고 유치하고 어리석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미식, 식도락, 식탐에 빠져서 그것이 삶의 큰 즐거움인 양 어떤 주의처럼 표방하며 잔뜩 먹어댄 뒤에 다시 살을 빼려고 다이어트에 몰입하는 악순환.

 

배가 부르면 더이상 먹지 않고, 쓸데없는 살생을 하지 않는 동물의 삶을 통해 동물과 공생했던 인간이 어떻게 살아왔는지 이제는 더이상 동물과 공생하지 않는 지금, 우리가 어떻게 살아야하는지를 반성하고 배운다. 배가 부르면 편안하고 행복하지 않고 늘 기분이 나빴는데 그 이유를 명쾌하게 설명해준다. 배가 고프다고 해서 음식을 반드시 먹지 않아도 되고 배고픔을 즐기라는 것이 마음에 와닿는다. 인류가 수십만년 동안 그렇게 살아왔다는 당연한 사실을 일깨워준 것이 고맙다. 또한 그렇게 오랜 세월 동안 진화해 온 인간의 몸은 각 개인의 것이 아니라, 인류가 축적해 온 조상들 모두의 유전자가 기억되고 전해져온 것이므로 자신의 몸을 소중히 여기라는 당부로 끝맺는다. 그것이 또한 이 책을 쓴 의도이겠다. 억지스럽지 않고 끼워맞춘 듯 자연스러워 깊이 공감하게 된다. 모든 것은 순리대로! 그렇게 하면 건강이 자연스레 뒤따라온다는 거창하지 않은 철학이 담겨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