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이지신 용 - 융합의 상징 용, 한국 그리고 중국과 일본의 문화 속에 그려진 용 이야기 속으로
이어령 엮음 / 생각의나무 / 2010년 11월
평점 :
품절


용은 늘 막연한 느낌이다. 생긴 걸 그리라고 하면 정확히 그릴 수 없고  누구에게든 용을 그려보라고 하면 비슷비슷하긴 해도 똑같이 그리지는 못할 것이다. 상상의 산물이라 그런 것이리라.

 

이어령이라 무척 기대가 컸다. 게다가 용의 해.

그랬는데, 흑흑 이어령이 저자가 아니고 그냥 엮은이었던 거야.

그리고 이어령은 서문같은 총론만 쓴거다.

그 총론이 또 어찌나 훌륭한지. 문장 하나하나가 주옥같다.

총론을 읽을 때만 해도 이어령 저 라고 굳게 믿었다가 본문 내용을 읽다보니 이건 이어령의 글솜씨가 아니거야.

논문 한편 한편의 저자가 각각인 논문집이다.

 

그런데 그 논문집 같은 한권의 책이 작정하고 모여서 하나의 주제를 향해 연구하고 글을 쓴 게 아니고 그냥 흩어져 있던 비슷한 논문들을 짜깁기 한 느낌이 드는 것이다.

 

그리고 특히 아쉽게 느껴진 것은

"2부 용과 회화" 부분의 여러 편의 논문이 그림에 대한 설명으로만 이뤄진 것이다. 그림에 대한 설명이면 그림을 예로 들어 보면서 이해할 수 있게 해야하는 것이 아닌가.

 

동서양의 용이 어떻게 그리 비슷한지 최초의 기원은 무엇인지에 대한 확실한 설명도 없고, 그게 늘 궁금했는데...

십이지신을 주제로 하나씩 책을 만들어가는 취지는 훌륭하지만

그 내용은 그다지 재미가 없다. 모르겠다. 다른 동물에 대해서는 잘 썼을지, 용 이야기는 큰 재미를 기대해서 그런가 실망이 크다.

이렇게 와닿지 않는 걸 보면 저자들도 잘 모르고 글을 쓴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