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교시절 박완서는 가장 좋아하는 작가였다. 어찌나 맛깔스러운 문체로 이야기를 해나가는지. 

그 문체와 솔직함에 반해 그의 문장을 노트에 배껴쓰곤 했다. 무척 닮고 싶었다. 

그 많던 싱아...보다 그 산이...를 먼저 읽었고 그래서인지 그 책이 더 좋았다. 

순서로 보자면 싱아가 더 앞 이야기인데. 

특히, 그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 에서 묘사한 밥도둑, 게장에 대한 묘사가 침이 나올만큼  

실감났다.

엄마와의 갈등 같은 것들이 얼마나 섬세한지 공감백배다. 

 

 

참 많은 사람에게 '선물' 한 '새의 선물'이다. 

처음 은희경을 알았을 때 그 신선함이란.  

나처럼 단순솔직한 사람은 도저히 흉내낼 수 없는 '바라보는 나' 라는 또다른 자아를 가진 

성숙한 주인공에게 반하지 않을 수 없을걸.  

 

 

 

 

 

중학교 때, 고등학교 때, 그리고 성인이 되어서 읽었던 책. 

서머셋(싯) 모옴(몸) 이라는 이상한(?) 작가 이름도 단번에 기억나는 책.   

몇번을 읽어도 좋다.

 

 

 

 

 

스무살 때, 그리고 연애할 때 읽었다. 

무라카미 하루키에게 놀랐던 어찌보면 환각같은 소설이다.  

청춘이 그런 것 같다. 환각같은, 어질어질한 마음. 

술에, 끓는 객기에 취해 온통 부옇고 알록달록한 마음으로 뒤죽박죽한 기분. 이 아주 잘 드러난다.

은희경,「그것은 꿈이었을까」와 비슷한 환각을 느낀다. 초록과 우물. 

 

성장소설 하면 떠오르는 책. 「인간의 굴레」 랑 비슷한 느낌이다.

읽은 지 오래돼서 회전목마만 기억에 남아.


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전체선택 장바구니에 담기

전체선택 장바구니에 담기

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