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보내지 마
가즈오 이시구로 지음, 김남주 옮김 / 민음사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읽기 시작했을 때는 도대체 뭔 소린가 했다. 애들이 보육원에서 자랐나 했는데 알면 알수록 잔인하기 이를 데 없다. 그렇게 된 체계를 구체화해서 설명하지는 않고 그렇게 된 거다 라고 뭉뚱그려 독자 상상에 맡긴다.  


인간이란 무엇인가. 인간으로 살아간다는 것은 무엇인가를 돌이켜보게 된다. 오래 산다고 깨닫게 되는 것도 아니고 짧게 살다 간다고 해서 모르는 것도 아니겠지. 이래도 저래도 아무 의미가 없는 건 아닌지. 다른 인간에게 먹히기(?) 위해 살아가는 삶은 과연 무엇일까. 그래서 철저히 비밀에 부쳐온 거겠지. 내 존재가 무얼 위해 쓰이는지 알게 됐다면 무슨 짓을 해서라도 기증자가 되지 않을 길을 찾아내려 했을 것이다. 몸에 나쁜 것은 무엇이든 해서 기증당하지(?) 않으려고 몸부림쳤을 것 같은데 등장인물들 모두가 뼛속 깊이 순응교육을 받아서인지 다들 저항하지 않는다. 그러면서도 도시전설(?) 같은 기증 유예 소문을 희망고문 삼아 달콤한 착각(?)으로 라도 인간으로서 존엄을 찾고자 한 것일 텐데. 


어느 집단에나 존재할 법한 루스같은 애가 썅년(?)이라는 생각이 지배했다가 후반에 헤일셤 학교 교장과 마담 얘기를 듣고는 정작 절대악은 따로 있다는 사실에 몸서리친다. 그 애들을 차라리 놔두지. 대단한 선행을 베푼 양 당당하기까지 한 그네들이 가증스럽다. 장기복제, 장기매매가 알게 모르게 벌어지고 있는 세계를 우리는 살아간다. 지나치게 부를 독점하고 있는 저 높으신 냥반들에게는 아랫것들이 따지는 도덕의식 따위 아랑곳하지 않겠지. 어차피 하찮은 인생들이 아웅다웅 하든 말든 손가락 끝으로 살짝 누르면 시들 개미 목숨들일 뿐. 기증 받는 자들은 등장하지 않고 오직 그 개미들 이야기만 나온다. 


사랑 참 좋지. 하지만 무슨 짓을 해도 이 소설에서는 무력하기만 하다. 그렇게 돼 있는 걸. 그러니까 책을 다 읽고 나면 허망하고 씁쓸하고 쓸쓸하다. 내일을 걱정하고 생로병사에서 벗어날 수 없는 인간인 우리는 그 자체로는 의미가 없는가. 그걸 찾는 것이 인간으로 태어나 고해에서 살며 해야 할 일이고 모든 순간 번민하는 까닭이지만. 


번역에 대한 추기;

대체로 번역이 매끄럽다. 이 역자가 번역한 책을 꽤 여러 권 읽었다. 그래도 걸리는 것들을 적어둔다.


'...일종의 표지인 셈이다.'

'a sort of' 를 번역한 듯한데 굳이 '일종의' 라는 뜻으로 그대로 번역할 필요가 있을까.

'어떤 표지인 셈이다.' 나 그냥 '표지인 셈이다.' 로만 써도 "셈"이라는 단어가 'a sort of' 를 충분히 설명하고 있는데. 아니면 '표지이기도 하다.' 나 '표지같은 것' 등 우리식으로 자연스럽게 풀어 쓰면 좋겠다. 영문 번역서를 보면서 자주 발견하게 되는 '일종의' 라는 말을 역자들이 한 번쯤 고민해봤으면 좋겠다. 그걸 볼 때마다 교정하고 있는 내가 더 답답하긴 하지만. 


또다른 표현

'toward'를 번역한 듯 보이는 '~쪽을 향해' 라는 말에서 '향하다' 라고 쓰지 말고 '~쪽으로' 라고 해도 충분하다. 사족으로 여겨진다. 이 문장도 자주 나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