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치료자들 얘기인데 나도 아주 조금은 그 일을 하는 셈이다. 물론 정성스레 약초를 채집하고 말려서 달여쓰는 등 민간치료자 일을 하지 않지만 치료행위에 가까운(?) 일을 하고 있다. 몸을 움직여 아프지 않게 하고 아픈 부위를 짚어서 그 부위를 본래 상태로 되돌리는 법을 배우고 실천하고자 한다. 몸을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해부학을 공부하고 더 나아가 고대 인도 치료법인 아유르베다 요법도 공부해보고 싶다.


옛 방식을 고수한 목조 창고에서는 약초를 건조대에서 건조시켰다. 식물의 성숙도와 달과 별의 운행주기에 맞추어 가장 알맞은 때에거둔 것들이다. 차곡차곡 쌓아 몇 시간, 며칠, 몇 주씩 말린다. 식물마다 나름의 시간표가 있고, 나름의 제철이 있다. 숲은 자연치유법을 고스란히 지키도록 해주는 지칠 줄 모르는 신성한 원천이다. 약초는 한 가지만 쓰기도 하고, 여러 가지를 섞어 쓰기도 한다. 
환자의 손과 발을 담그는 용도의 찜질약도 있다.

그는 이 모든 것을 아버지한테서 배웠다. 다윈과 괴테 •파라켈수스처럼 곤충과 새 벌· 동물을 관찰하며 비밀을 깨쳤던 그의 아버지는, 곧잘 땅에 누워 수백 년 전부터 내려온 옛 책의 내용과 자기 나름의 결론을 비교하며 시행착오와 인내와 노력을 거듭했다. 노력은 약초를 활용한 임상 치료로 이어진다. 전국을 도는 약초 채집 여행을 떠날 때는 아들을 동반하곤 했다. 새벽의 여명과 달의 희미한 빛을 벗 삼는 고된 여행이었다. 아버지의 도움을 찾아 수백 리 떨어진 곳에서도 사람들이 찾아왔다. 물약을 받아 가는 사람도 있고, 욕조에 처방 약초를 넣고 열탕욕 치료를 받고 가는 사람도 있었다. 환자는 아버지의 부엌 안 욕조에 누워 자신의 시름과 고통을 녹여내곤 했다. - P7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