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두운 상점들의 거리 (무선)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40
파트릭 모디아노 지음, 김화영 옮김 / 문학동네 / 201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인공이 8년 동안 흥신소에서 일한 것이 사건(?) 해결-기억 회복, 자아 발견-에 이르게 한다. 그런 경험이 있다고 해서 누구나 주인공처럼 해낼 수는 없겠지. 주인공이 자기가 누구인지를 파헤쳐 가는 과정이 의식의 흐름을 따라가는 듯 느껴졌다. 어떻게 그리도 자신을 차분히 바라보고 정리해 나갈 수 있을까.

 

 나라면 조바심 내고 답답해하다가 허둥지둥,  뒤죽박죽 헛발질하다 일을 그르치고 더 큰 혼란에 빠지고 말텐데. 긴가민가, 있는 듯 없는 듯 은근하게 끄는 힘이 있다. 이렇다 할 큼지막하고 극적인 뭔가도 없이 호기심을 자극해 자꾸 궁금해지는 걸. 주인공을 따라 옆에서 함께 추리해가는 재미도 쏠쏠하겠다.

 

 어쩌면 몰라서 마음 편한 구석도 있겠지만 자기가 누구인지 모른다는 것이 얼마나 두려울지 상상하기 싫다. 자기가 아닌 누군가로 산다는 건 어떤 기분일까. 자신을 아는 사람을 만나 아무렇지 않은 척 하는 것이 얼마나 불안하고 불편할지. 아무리 머리를 쥐어짜도 알 수 없는 어둠 뿐일테니. 아, 그래서 어두운 상가. 가 주인공이 사는 곳이구나. 하지만 또 보통으로,  그저 인간으로 살아가는 인간의식 수준으로 해석하는 것일 뿐 우리가 믿고 있는 우리가 과연 진짜 우리인가,  내 자신이 맞는가... 파고 들어가면 도무지 알 수 없어지니까. 확실한 건 아무것도 없지. 그것이 우리가 사는 세상이고 인생이니.

 

한번만 읽고 말 소설은 아닌데 번역이, 번역이 에휴~ 한숨 나오게 별로여서 영 읽을 맛이 안 난다. 우리식 어법에 어긋나는 듣도 보도 못한 표현은 물론이고 영어식(프랑스어니까 라틴어식이라고 하는게 맞을까) 표현이 난무하다. 서구에서 유학한 사람들이 자주 쓰는 표현법을 그대로 따랐다.

 

 "왜냐하면~하기 때문이다.", 현재완료거나 과거완료식 표현이라고 할까. 우리말에서 잘 쓰지 않는 "그랬었었다",  "했었다" 그리고 관사 위치가 지나치게 서구식이다. "긴 의자 하나" 라고 하면 될 것을 "하나의 장의자" 같은 식으로 "의" 를 너무 자주 썼다. 어순이 우리말과 반대이다. 복수형도 지나치다. 우리말엔 굳이 "~들" 이라 하지 않아도 앞 뒤 문맥을 보고 그것이 복수인지 단수인지 알 수 있는데. 이런 정도는 차라리 애교라 할 수 있고 대화에서 구어체보다 문어체에 어울리는 표현도 많이 쓰고 있다. 글 전체가 부자연스럽다. 가장 어색하고 이상한 건 책 제목이다. 「어두운 상점들의 거리」 라니. 겉멋이 잔뜩 든 되다 만 문구다. 어두운 상점가, 어두운 상가, '거리 가' 라는 글자가 좀 그렇다면 어두운 상점들이 있는 거리라고 하면 될 것을. 겉멋이 들었다는 건 '멋'을 모르는 뭣 모르는 사람이라는 뜻이기도 하다.

 

 원서 읽을 능력이 안 되거든 닥치고 읽으면 될 것을, 난 여전히 역자가 옮긴 글에 일일이 화내며 트집잡고 토달고 있다. 좋은 작품인데 다른 사람이 번역한 책이 없다는 게 아쉽다. 작가가 쓴 글이 무척 아름다울 거란 짐작은 가는데 원문 그대로 읽어낼 수가 없어 속상하다. 한국어를 잘 아는 프랑스어 번역가님하, 이 책 좀 번역해 달란 말이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