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적 마음 - 김응교 인문여행에세이, 2018 세종도서 교앙부분 타산지석S 시리즈
김응교 지음 / 책읽는고양이 / 201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본적 마음, 그 안의 한국적 마음은>


2018년도 보름이 지났다. 이맘때가 되면 모두들 신년의 마케팅 트렌드들을 이미 꾀고 있어 올해 유행할 아이템들에 관한 기사가 쏟아진다. 그중에 많이 노출된 단어는 단연 ‘워라벨’이다. ‘워라벨(Work-life Balance)’이란 일에만 치중하지 않고, 일과 생활에서 균형을 잡는 것을 뜻한다. 요즘 젊은 세대들은 워라벨을 원한다고 한다. 아니 어느 세대나 워라벨을 원하지 않는 사람들은 없을 듯하다. 그런데 솔직히 이미 허구헌날 밤새고 야근을 밥먹다시피 한 청춘을 지나와서 그런지 이런 단어를 접하면 어쩐지 일안하겠다는 소리로 들리는 것도 사실이다.


인문책이야기 하면서 비즈니스 트렌드를 언급하는 이유는 이 책에서 가장 공감했던 부분이 바로 하루끼에 대한 저자의 평가, 그리고 일본 문학에 대한 견해였기 때문이다. 하루끼는 올해 빈번하게 트렌드로 회자되고 있는 ‘소확행’이라는 단어를 처음 쓴 인물이다. 작은 행복이 목표로 착각될 만큼 평범을 향한 열망, 보통으로서의 존재의식, 작은 만족에 대한 단상들이 유행처럼 쏟아지고 있다. ‘소확행’은 하루키의 수필 『랑겔한스섬의 오후』에서 처음 쓴 신조어로, 갓 구워낸 빵을 손으로 찢어 먹거나, 고양이와 함께 침대에 누워 빈둥거리는 것처럼 일상의 사소한 행복이 인생을 값지게 만든다는 의미다. 사실 부자나라 선진국 일본에서 지하철을 오가는 소시민과 참 어울리는 모습이다. 일본은 작지만 확실하고 일본인은 작아도 확실하다.


그동안 하루끼 소설은 내게 회피나 유행, 힐링이라기 보다는 하나의 책 읽는 재미였다. 저자는 하루끼 문학이 일본인들에게 치유와 힐링의 기능을 하고 있기 때문에 가장 일본적 문학이라 말한다. 저자는 일본문학에서의 자살적 자아, 벚꽃과 사무라이 정신, 공동체를 위한 개인의 희생 등을 언급하며 우리에게 호감을 주기 충분한 하루끼라는 문화예술인을 이들 정서의 정가운데 관통시키고 있다. 책을 덮고 나면 이상하게도 모든 면에서 크게 와닿지 않는 일본적 마음이 하루끼로 인해 이해가 갈 것도 같은 느낌이 든다.


그중 일본인에게 벚꽃은 ‘죽음’의 의미이지만 한국인에게는 ‘꿈’이라는 표현이 기억난다. 벚꽃은 어쩐지 핀다기 보다 지는 꽃이며 흐드러지게 만개한 순간에도 곧 물안개처럼 부서지고 말 신기루처럼 느껴진다. 일본은 죽음이고 한국은 꿈이니 반대의 의미일까? 죽음이나 꿈이나 사라지고 말 지금 이 순간에 대한 아쉬움이 내포되어 있긴 마찬가지 아닐까. 결국 인간이나 인간과의 사랑이나 언젠가는 사라지고 마는 유한한 것들이다. 특히, 하루끼의 <상실의 시대>는 과거와 자신과 주변인에 대한 상실, 그리고 나아가 그들과 나눈 꿈, 그리고 희망에 대한 상실을 의미한다 할 수 있다. 요즘 상영되고 있는 영화 <1987>을 보면서 새삼 우리가 왜 그토록 <상실의 시대>에 공감했는지 이해가 가기도 한다. 세월이 지나온 동안 우리가 잃어버린 모든 것들은 얻어온 것들만큼이나 많다. 신기한건 잃어버린 것들을 잊고 살면서 우리는 잃어버렸다는 사실조차 모르고 살아간다는 것이다. 하지만 일본과 일본인은 그렇지 않은 듯하다. 그들은 쉽게 잊지 않는다.


이 책은 예술과 독서 사무라이와 야스쿠니를 소주제로 일본인의 정서를 정리하고 있지만 이들의 정서를 확인하면서 느끼는 건 일본은 우리처럼 쉽게 잊지 않는다는 것이다. 우리는 잊지 말아야 할 것을 쉽게 잊고 잊어야 할 것들은 쓸데없이 잊지 못하는 건 아닐까. 매년 10월이 되면 노벨문학상 후보로 하루끼는 자연스럽게 거론이 되곤한다. 신간을 내면 이미 확보된 독자들로 인해 예약만 몇 십만인 작가이다. 이런 하루끼라는 문학현상은 일본인에 대한 반감이나 우리가 가져야 할 역사의식을 상쇄시키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문학을 통한 공감대 형성, 인간이라는 보편성을 주제로 한 그의 치유메세지가 잘못되었다거나 그것을 받아들이는 독자를 비판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이미 우리는 그렇게 되었다는 것을 말하고 싶다.


일본을 향한 양가적 감정은 일본의 문화예술적 요소를 좋아하고 즐기고 지향하고 숭상하거나 모방하고 우대시 하는 문화지향성이 뒷면이라면 위안부나 독도, 야스쿠니 신사참배등과 같은 역사적인 무례함에 분노를 느끼는 민족적 거부감은 마치 동전의 앞면처럼 한 몸이 되어 버린 현상이라 할 수 있다. 이 책을 통해 일본을 알려하고 이해하고 살펴볼수록 돌아오는 자기이해는 한국인의 모순된 심리인 듯하다.


허나 <일본적 마음>은 저자 자신의 일본을 향한 감정의 연결없이, 보고 들은 대로 기록하려는 강한 의지를 엿볼 수 있었다. 호불호를 표하고 시비심을 표현하는 것이 꼭 나쁜 것인가. 좀 더 저자의 솔직한 평가, 견해, 개인적인 심정들이 더 드러나도 좋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왜 우리는 일본에 대해서는 호불호를 이야기하면 안되는 것인가. 왜 사실만 이야기 하고 편견을 남기면 안되는 것인가. 왜, 일본적 마음을 한국적으로 표현하면 안 되는 것인가.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8-01-18 18:2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01-18 18:26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