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0 경자년에는 모두 161권의 책을 읽었다.
아마 그중에서 야마오카 소하치의 <도쿠가와 이에야스> 32권을 한 권으로 친다면 130권 정도 되겠지. 아, 오다 노부나가 7권도 빼야 하나. 그럼 대충 120권 정도?
권수가 뭐가 중하냐고 하면서도 그래도 책쟁이라면 이 정도는 읽어야지 하는 허세에 시달린다. 그런 점에서 나는 철저하게 겸손하지 못한 위선자일 지도 모르겠다.
내가 꼽은 베스트 5

1. 대주교에게 죽음이 오다 / 윌라 캐더
2. 니클의 소년들 / 콜슨 화이트헤드
3. 알리바이 / 안드레 애시먼
4.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 도끼 선생
5. 지상의 모든 음식은 어디에서 오는가 / 게리 폴 나브한

1. 올해 내가 만난 최고의 책은 윌라 캐더 여사의 <대주교에게 죽음이 오다>였다.
말이 다 필요 없다.
책을 읽을 때도 그랬지만, 나중에 복기하면서 리뷰를 쓰면서 눈물이 줄줄 흘르더라.
윌라 캐더 여사를 너무 늦게 만난 게 억울할 정도였다.

2. 니클의 소년들 / 콜슨 화이트헤드
항상 생각하는 것 중의 하나가 미국 인종주의에 대한 책은 오직 흑인 작가들의 전유물인가라는 그런 생각이다.
하긴 백인 작가가 그네들의 이야기를 다룬다면... 아마 진정성을 인정받지 못하겠지.
전작 <언더그라운드 레일로드>도 그랬지만, 이번에는 좀 더 진화된 방식의 안정적인 서사에 방점을 찍고 있다.
모든 것이 완벽했다고 해야 할까. 시작에서부터 결말의 전혀 예상하지 못한 결말에 이르기까지. 그야말로 전율했다.
3. 알리바이 / 안드레 애시먼
아름다운 가게 종로책방에서 만난 안드레 애시먼의 (구입 당시) 신간이었다. 이집트에서 출발해서 이탈리아를 거쳐 미국인이 된 작가의 신산한 삶에 그만 반해 버렸다. 그냥 이유 없이 좋더라.
지인이 <그해, 여름 손님>이 참 좋다고 해서 그 책도 읽었다. 내게는 <알리바이>만 못하더라. <하버드 스퀘어>는 원서로 사서 처음의 몇 페이지 읽고 나서 잘 보관하고 있는 중이다. 어서 빨리 번역서가 나오길 기다리면서.
4.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 도끼 선생
이 책은 문동에서 출간되었을 때 바로 사두었던 것 같다. 아 물론 그전에 열린책들 버전으로 이미 사서 읽다가 포기했었다. 아니 그 때도 제법 읽었었는데... 매순간이 고비였던 것 같다.
문동에서 봄엔가 도끼 선생 챌린지를 하면서 도전에 나섰고, 이번에는 생각보다 쉽게 읽을 수가 있었다.
달궁 독서 모임에서 어느 동지가 대심문관 파트를 이야기할 때, 책을 읽지 않은 나로서는 정말 쪽팔리는 체험이었다. 아는 게 없었으니 말이다. 물론 책을 읽은 지금이라고 해서 달라질 게 없겠지만. 어쨌든 두어번 실패한 대작을 완독했다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자족한다.
우리 인간이 원하는 구원은 존재하는가.

5. 지상의 모든 음식은 어디에서 오는가 / 게리 폴 나브한

독일군의 혹독한 900일 포위 공격 속에서 종자 연구소의 귀중한 종자들을 지키며 죽어간 러시아 종자 연구학자들에게 우리는 말할 수 없는 그런 빚을 지고 살고 있다는 사실을 이 책을 통해 알게 되었다.
특히 바빌로프 박사가 근 한 세기 전에 전 세계를 누비며 채집한 종자 루트를 추적하는 과정을 다룬 다큐멘터리에 필적할 만한 르포르타쥬에 반했다. 바빌로프 박사의 전기도 읽어 보고 싶으나, 언제나 그렇지만 당장 읽어야 할 책들은 너무 너무 많고 시간은 부족하다.

아듀 트웨니트웨니, 웰컴 트웨니트웨니원.
[뱀다리] 새해에는 그동안 사두기만 하고 읽지 못한 로힌턴 미스트리의 책들인 <가족 문제>와 <그토록 먼 여행>을 읽는 것으로 시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