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예슬 선언 - 오늘 나는 대학을 그만둔다, 아니 거부한다
김예슬 지음 / 느린걸음 / 2010년 4월
장바구니담기


그 당시 진보단체와 지식인에게 수없이 들어온 '신자유주의 반대', '성찰'과 '연대' 등의 사회과학적이거나 추상적인 말들이 나에게는 마치 방언처럼 들렸다. 사회과학적 진보는 있을지 몰라도 내 일상과 긴밀히 연결된 삶의 총체적 진보는 아닌 듯 했다. 제도와 정책은 진보일지 몰라도 그것을 통해 이루어질 삶의 내용과 생활문화는 한참 후진 듯 다가왔다. 무엇보다 주장은 옳을지 몰라도 내 가슴을 울리는 그 무엇과 사람의 향기는 느낄 수 없었다. -69쪽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얼그레이효과 2011-03-12 00: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2011년 3월 10일은 고대 교정에 <김예슬 선언>이 나온 지 1년이 되는 날이었습니다. 어느새 그녀의 선언은 참 '잔인하게' 잊혀져 갔네요.

Arch 2011-03-12 10: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엄기호 책에서 김예슬 선언에 대해 나왔어요. 보셨죠?
책을 보니 대학을 다니는 사람들이 존재 자체를 거부당하는 느낌이랑 냉소할 수 밖에 없는 상황들이 보였어요. 그렇다고 김예슬씨가 섣부르게 행동했다거나 잊혀질만하다는건 아니지만.

저도 직장을 다니면서 이게 아닌건 알겠는데 구조적으로든 개인적으로든 내가 뭘 어떻게 해야할지는 잘 모르겠어요.

얼그레이효과 2011-03-13 15:55   좋아요 0 | URL
저도 확 땡기는 그런 '전략'은 사실 없어요..다만. 대학에 있는 사람들이 더 '말하게 함'으로써, 그 말함이 갖는 '분노의 힘'들이라고 할까. 그것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아직, '대학의 위기'는 더 말해질 필요가 있다고 생각해요. 우리가 알고 있는 그 위기들은 상당히 표면적이라고 생각되거든요. 그런 맥락에서 김예슬 선언은 대학의 위기보다 대학의 위기를 논하는 사람들의 위기를 깨우치게 해 준 '사건'이 아니었나, 1년을 정리하게 되네요. 분발해야죠 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