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연구 입문'이란 표현이 가능하다면, 반드시 거치게 되는 두 학자가 있다. 한 명은 레이먼드 윌리엄스, 다른 한 명은 스튜어트 홀이다. 최근에 교보문고에 들려, 레이먼드 윌리엄스의 <키워드>가 출간된 걸 확인했다. (의미의 '과장'이 좀 필요하겠지만) 난 이 출간이 상당히 시사하는 바가 있다고 생각했다. '노골적으로' 말하자면, 요즘 문화연구하는 친구들은 레이먼드 윌리엄스의 텍스트를 읽으려 하지 않는다. 이 말을 좀 풀어보자면, 꼭 레이먼드 윌리엄스를 거쳐야하는 필요성을 모르는 '새로운 문화연구 세대'의 도래. 이것이 지금 '문화연구의 흐름'이다. 오히려 요즘 문화연구를 하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찾는 과거 '레이먼드 윌리엄스 급'의 텍스트, 그 자리에는 슬라보예 지젝이 들어왔다고 본다.  

왼쪽에 링크를 걸어놓은 [New Cultural Studies]란 책은, 바로 '새로운 문화연구 세대의 도래'를 알리는 국외 텍스트이다.(아직 번역되진 않았다.) 게리 홀이라고 하는 신진 문화연구자의 기획으로 만들어진 이 컴필레이션 텍스트의 서문은 '지금' 문화연구 세대를 어떻게 정의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으로 채워져있다. 이 서문의 내용을 구성하는 가장 큰 기준에 문화연구의 '제도화'에 기여한 '버밍엄 학파'이야기가 나온다. 그리고 문화연구의 기초를 닦았던 이들, 이미 문화연구의 '판테온'에서 '명예고문'으로 있는, 호가트, 톰슨, 윌리엄스, 홀 등등등.

그러나 이 서문에는 '문화연구'하면 으레 떠오르는 사람들의 업적 나열이 없다. 요즘 문화연구자들은 분산되어 있고, 각자가 옹호하는 이론가 /이론도 다르다. 목차를 보면, 맥루언이나 윌리엄스 대신 키틀러가 들어가 있고, 문화연구- 정치를 담당하던 스튜어트 홀의 자리엔 지젝, 아감벤이 들어가 있다. 어쩌면 이건 문화연구 특유의 빠른 '흡수력'이란 장,단점을 동시에 보여주는 사례인지 모른다. 고로 뉴 컬쳐럴 스터디즈란 책의 개정판이 몇 년 후에 나와, 내용을 바꿔야 하는 상황이 오면, 그 자리에 다른 이론 /이론가들이 들어가 있다는 건 전혀 상상 외의 일은 아닐 것이다.  

하지만, 이 책의 서문은 단순히 우리 시대의 새로운 이론을 옹립하려는 건 아니라고 주장하는 것 같다. 다만, 우리 시대의 문화연구자들이 더 이상 과거 '버밍엄 학파'의 유산에 구속되지 않은 채, (과거 책을 읽은 내 기억을 좀 되살려보자면) '문화연구자'로 정의될 수 없는 문화연구자들, 이 시대의 흐름을 깊이 되새겨 볼 필요가 있다로 나타나는 듯하다.   

(책의 표현처럼) "버밍엄이여 영원하라!, 버밍엄은 죽었다"  의 시대, 이것이 지금 문화연구의 시대이다.

이 맥락에서 레이먼드 윌리엄스의 [키워드]는 누군가에게는 '유품'으로, 누군가에게는 '새로운 도전'으로 남을 것이다.

 


댓글(7)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0-10-09 21:2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0-10-09 21:5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0-10-09 22:1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0-10-09 22:0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0-10-10 09:5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0-10-11 00:38   URL
비밀 댓글입니다.

아킬레우스 2010-10-11 11:02   좋아요 0 | URL
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