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금은, 아니 많이 끔찍한 상상. '자유주의 우생학 비판'에 대한 로쟈님의 페이퍼를 읽다가, 문득 학부 시절, 영화 시나리오로 써보려고 했던 이야기 하나가 생각났다. 로쟈님의 페이퍼 속 내용에서 전제가 되는 건, 일단 아이가 어머니의 뱃속에 나옴으로써 시작되는 것인데, 내 이야기는 어머니의 배 안에서만 진행되는 것이다. (어렸을 때 봤던 <이너 스페이스>란 영화가 좀 모티브가 된 것 같기도 하고, 거기에 크로넨버그 스타일로 만들어보고 싶다는 욕심이 있었던, 지금은 '사장된' 이야기)
장르는 SF인데, 그 내용을 요약하자면 이렇다. (근데 좀 어설프니까 양해를) 과학적 발전이 점점 이루어지면서, 낙태에 대한 새로운 실험이 시도된다. 어떤 사정으로 인하여, 아이를 지워야 하는 것에서, 이제 '뱃 속의 아이 스스로 자신의 운명을 결정짓는 날이 오게 한다는 취지'의 실험이었다. 이 시기에 아이는 뱃 속에서 점점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이 빨리 신장되고, 아이는 자신에게 공급되는 '양분'에 의해, 내가 이후 이 부모의 삶에 함께하면서 '좋은 삶'을 살 수 있겠구나,라는 것을 사고한다. 그리고 아이의 뇌 속에 어머니가 아버지와 주고 받는 대화의 내용을 분석하면서, 두 사람의 사회화 경향, 교육받은 정도, 등등을 아이가 뱃 속에서 수집 /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대략 임신 4개월 정도의 판단 기간을 통해, 아기는 자신의 삶과 죽음을 결정하게 되고, 만약 자신에게 좋은 삶의 배경을 제공해주지 못할 것 같으면, 아기는 스스로 어머니의 뱃 속에서 목숨을 끊는다. 실험이 성공하고, 사회에서는 논란이 가중된다. " 낙태의 죄책감으로부터 벗어날 생명과학의 전환!"이라는 옹호론과 "좋은 삶에 대한 선택권이라는 포장에 가려진 생명 경시"라는 비관론이 대등하게 펼쳐진다.
이 논란 속에서 사회 분위기는 뒤숭숭해진다. 특히 실험 결과의 발표 이후, 빈곤층의 출산율 저하가 급격히 이루어진다. 사회에서는 비관적 분위기가 횡행한다. 아이를 가져도 결국 이 아이가 우리의 삶을 판단하고 우리를 떠날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하니..라는 뉴스 인터뷰 속 시민의 모습이 잡히고, 그런 말,말,말 들이 겹쳐진다. (여기까지 생각해본 이야기. 이런 끔찍한 미래는 오지 않길 바라면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