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금은, 아니 많이 끔찍한 상상. '자유주의 우생학 비판'에 대한 로쟈님의 페이퍼를 읽다가, 문득 학부 시절, 영화 시나리오로 써보려고 했던 이야기 하나가 생각났다. 로쟈님의 페이퍼 속 내용에서 전제가 되는 건, 일단 아이가 어머니의 뱃속에 나옴으로써 시작되는 것인데, 내 이야기는 어머니의 배 안에서만 진행되는 것이다. (어렸을 때 봤던 <이너 스페이스>란 영화가 좀 모티브가 된 것 같기도 하고, 거기에 크로넨버그 스타일로 만들어보고 싶다는 욕심이 있었던, 지금은 '사장된' 이야기) 

장르는 SF인데, 그 내용을 요약하자면 이렇다. (근데 좀 어설프니까 양해를) 과학적 발전이 점점 이루어지면서, 낙태에 대한 새로운 실험이 시도된다. 어떤 사정으로 인하여, 아이를 지워야 하는 것에서, 이제 '뱃 속의 아이 스스로 자신의 운명을 결정짓는 날이 오게 한다는 취지'의 실험이었다. 이 시기에 아이는 뱃 속에서 점점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이 빨리 신장되고, 아이는 자신에게 공급되는 '양분'에 의해, 내가 이후 이 부모의 삶에 함께하면서 '좋은 삶'을 살 수 있겠구나,라는 것을 사고한다. 그리고 아이의 뇌 속에 어머니가 아버지와 주고 받는 대화의 내용을 분석하면서, 두 사람의 사회화 경향, 교육받은 정도, 등등을 아이가 뱃 속에서 수집 /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대략 임신 4개월 정도의 판단 기간을 통해, 아기는 자신의 삶과 죽음을 결정하게 되고, 만약 자신에게 좋은 삶의 배경을 제공해주지 못할 것 같으면, 아기는 스스로 어머니의 뱃 속에서 목숨을 끊는다. 실험이 성공하고, 사회에서는 논란이 가중된다. " 낙태의 죄책감으로부터 벗어날 생명과학의 전환!"이라는 옹호론과 "좋은 삶에 대한 선택권이라는 포장에 가려진 생명 경시"라는 비관론이 대등하게 펼쳐진다.  

이 논란 속에서 사회 분위기는 뒤숭숭해진다. 특히 실험 결과의 발표 이후, 빈곤층의 출산율 저하가 급격히 이루어진다. 사회에서는 비관적 분위기가 횡행한다. 아이를 가져도 결국 이 아이가 우리의 삶을 판단하고 우리를 떠날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하니..라는 뉴스 인터뷰 속 시민의 모습이 잡히고, 그런 말,말,말 들이 겹쳐진다. (여기까지 생각해본 이야기. 이런 끔찍한 미래는 오지 않길 바라면서...)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yoonta 2010-09-11 14: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말하자면 태아의 자살을 허용해야하는가의 문제로군요..ㅎㅎ
자살을 허용하면 자유주의적 우생학이 되는 것이고 자살에 반대하면 공동체주의적 생명윤리주의자가 되는 것인가요?

얼그레이효과 2010-09-11 14:32   좋아요 0 | URL
후자의 몫까지 판단을 확실시하고 이야기를 상상해본 것은 아니었는데, yoonta님이 새로운 시각을 던져주시는군요.^^ 좀 깊이 고민해보겠습니다.

눈팅하다가 2010-12-28 02: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정말 재미있지만 어려운 소재군요.

전 전체적으로 굉장히 급진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지만 유독 낙태에 대해서는 굉장히 보수적인 입장인데, 그 이유 중 하나가 '본인의 선택권이 존중되지 않는 생명의 박탈행위는 어쨋거나 살해다.' 거든요.
네, 아무리 태어난 후 걷게 될 아이 자신의 삶이 고달프고 힘들꺼라 '예상' 될지라도, 차라리 세상에 나오지 않는게 더 낫다고 생각 될지라도, 그건 아이 자신의 의사가 아니라는 겁니다.
극단적인 가정이지만, 나중에 아이가 태어나 자신을 낳은 부모를 원망하고 심지어 자살을 택하게 되더라도, 본인의 의사결정이 배제된 '낙태' 보다 훨씬 더 낫다고 생각합니다.

여하튼, 그 생각을 다방면으로 확장시키면 저런 시나리오도 나올 수 있겠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