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봄과 여름을 뒤덮은 촛불 행렬 가운데 나도 있었다. 당시 대학원 사람들에게도 참석을 호소했지만, 지금 와서 생각해보면 난 '신기한 사람'으로 취급받은 것 같다. 광장은 뜨거웠지만, 연구실마저 뜨거워질 수는 없었다. 수업이 끝나고, 저녁이 되면 나의 발걸음은 자동적으로 청계광장을 향했다. 발걸음을 내딛었을 때, 동료 연구자 한 명이라도 "같이 가!" 라는 말을 할 줄 알았지만, 그러한 기대는 너무나 컸던 것 같다. 어느 날은 비가 너무 내려서, '헛탕'을 치기도 했다. 문자가 왔다. 비가 와서 어떡하냐는 그런 내용이었다. 하지만 그것 뿐이었다. 그래서 사람들끼리 광장에 간 나를 자신들의 저녁 식사 이야깃거리로 올린 것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었다.  

'신자유주의'에 관한 토론 수업이 벌어지던 시간이었다. 당시 '촛불'이 활활 타오르던 그 때, 자연스럽게 수업 시간에는 '촛불'이야기가 나왔다. 토론이라는 것은 물론 '반대'의견이 나올 수 있다. 그리고 반대 의견이 나오지 않는 토론이란 재미가 없다. 하지만, 그런 것을 인정한다고 하더라도, 개인의 마음 속에는 남모를 서운함도 있기 마련이다. 다들 이렇게 어떤 의지를 분출하고 있는데, 그 의지를 '무섭다', '너무 진지하다'와 같은 표현으로 몰아가는 동료들의 표현에 따가운 '언침'을 놓고 싶었지만, 그 정도에서 참았다. 무엇인가 열심히 하고, 또 이 세상을 바꾸어보려는 의지를 가진 사람들의 '수고'를 "어휴..난 그런 무리..그런 막 일제히 움직이는 거..나 원래 그런 것 싫어해서.."류의 표현 등으로 김을 새게 하는 사람들이 꼭 있다. 어떤 사람들은 그렇게 '튀는 '사람들의 논리라든지, 표현 양식같은 것을 부러워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솔직히 말하자면, 나는 그러한 사람을 '멋진 사람'이라기보다는, '비겁한 사람' 혹은 '예의없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그것은 자신의 유리한 공간을 만들어놓고, 다원주의를 얄팍하게 포장한 상태를 드러낸 것 밖에는 안 된다. 어설픈 냉소주의라고 할까. 상대방이 뜨거운 논리로 나온다면, 자신 또한 뜨거운 논리로 맞부딪히는 것이 이야기 주고 받기의 '예의'가 아닐까.  

'촛불'당시를 상찬하던 수많은 지식인들의 덕분인지, '촛불'의 달콤함은 어떤 미래를 낳았다기보다는, 2008년의 유행이 되어버린 것 같다. '촛불'은 우리에게 물론 긍정적 함의들을 주었지만, 연구자의 위치에서, 나는 그러한 긍정적 함의만을 주고 사라지는 지식인들, 학자들의 태도가 많이 아쉬웠다. 솔직히 말하자면, 그러한 상찬의 행위 속에는 '머리 좋은 구경꾼'의 위치밖에는 없었던 것 같다.  대학원생들이 모인 논문 발표회를 갔더니, 많은 대학원생들이 촛불을 주제로 한 논문을 발표했다. 하지만, 그 어디에도 '촛불'을 든 사람들의 의지를 제대로 파악하려는 연구자들의 글은 없었다. 모두가 '현학'의 꼬리표만 달고, 이 현상을 어떤 고급스러운 이론으로 분석할 것인가에 골몰한 것 같았다. '촛불'은 좋은 연구 주제일지언정, 그 이상을 추동하는 기운은 대학원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나는 많이 배우고, 많이 얻은 사람일수록, 그만큼 나눠주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다. 고로 '지성의 최전선'에 있다고 생각되는 대학원이란 공간에 있는 나를 포함한 사람들은 어떤 '책무'가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좋은 연구 주제로서의 '촛불'이 광장의 진심을 제대로 헤아릴 수 있을까. 나는 여전히 의문이 들었다. 참 많은 이론들이 나왔고, 참 다양한 견해들이 나왔지만, 결국 이러한 이론과 견해들이 사그라진 촛불과 함께 잠들어버린 것에서 나는 오늘날 무력해진 지성인들의 기운을 짚어본다.   

혁명이 지식이 된 시대에 우리는 살고 있다. 혁명은 우리에게 진중한 의미를 던져주지만, 그 어느 누구도 이것을 '역사적 상식' 이상으로 이야기해보려 하지 않는다. 가장 가까운 '촛불'도 마찬가지다. '촛불'이 사그라들 2008년 말 당시, 누가 그랬다. "누가 요즘 '촛불' 을 이야기합니까?" 무엇인가를 바꾸어보려는 인간의 의지가 마치 유행타는 교회 프로그램처럼 간주받는 세상 속에서 자기 검열의 기운은 개인의 냉정과 열정 사이를 왔다갔다한다. 미안하게도 지금 한국의 대학원생들에게 이 세태를 진단하는 의견을 묻는다면, 당신은 '헛탕'을 칠 것이다. 대학원생들에게 학문은 '기능'이 된 지 오래이며. 이러한 나의 냉소는 당분간 변하지 않을 듯하다. 모든 이론을 섭식하는 데는 참 능수능란하지만, 그것을 현실 속에서 사유해보려는 노력은 그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지금. 이것이 오늘날 대학사회의 현주소이자, 대학원의 그것이기도 하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늘빵 2009-04-19 12: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님의 마음이 곧 제 마음이군요! 촛불 든 거리와 다시 돌아온 일상의 터전은 많이 달랐죠. 몸이 먼저 느끼더군요.

얼그레이효과 2009-04-19 15: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몸이 먼저 느껴지더라는 말씀..깊이 새기고 싶네요.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