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똥'에 관련한 글이 나의 주목을 끌게 된 계기가 있다면, 밀란 쿤데라의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을 처음 읽었을 때이다. 쿤데라는 소설에서 '미녀의 똥'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키치'라는 단어를 언급했다. 사전을 찾아봐도 이 키치라는 단어를 명확히 이해할 수가 없어서 답답해하던 중에 마침 어느 저자의 강연을 듣는 와중에 '키치'라는 용어를 언급한 시점부터 어느 정도 그 의미가 와닿았다. 그 의미를 어느 정도 이해하고 나니, 다시 쿤데라의 경우로 돌아가 곰곰히 되새겨보게 되었다. 그러니까 '미녀의 똥'을 언급하는 것은 쿤데라가 '키치스러운 모든 것'에 대한 혐오를 느낄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랄까. '미녀는 화장실도 안가고 이슬만 먹고 살 것 같다'라고 하는 소름돋는 멘트도 키치의 전형적인 멘트가 될 것이다. 그러니까 '미녀의 똥'은 이를 단박에 깨버리는 쿤데라의 도끼였던 것이다.

 

책을 읽다보면 작가의 분위기가 보다 직접적으로 느껴지는 작가가 있다. 쿤데라처럼 나에게는 제프 다이어(Geoff Dyer)도 그러한 사람이다. 사실 글을 쓰는 대부분의 작가가 그렇겠지만, 특히나 제프 다이어의 경우에는 '키치'에 대한 거부반응이 느껴지는 작가이다.

20대 젊은이들의 객기에 가까운, 때로는 유치해보이는 사랑의 단면을 보여준 그의 소설 <내가 널 파리에서 사랑했을 때>에도 '미녀의 똥'은 어김없이 등장한다.

 

"화장실에 들어가는 순간 화장실에서 나오는 니콜과 마주쳤다. 그를 향해 미소를 지어 보이는 모습이 조금은 당혹해하는 것 같았다. 화장실에 들어와 문을 잠그며 알렉스는 그 이유를 알 수 있었다. 화장실 안에 똥 냄새가 가득했다. 그녀의 똥도 남자들의 똥과 마찬가지로 안 좋은 냄새가 나는 게 당연하겠지만, 이런 환경에서는 - 환하게 빛나는 거울과 호텔에서처럼 깨끗한 수건이 준비된 고급 화장실이었다 - 그 냄새가 오일과 로션의 딸기 향과 섞여 있어서, 게다가 오줌을 누면서 내려다본 변기에 니콜의 배설물 흔적이 남아 있지 않았기 때문에, 오히려 여성적으로 느껴지기도 했다. 나쁘지 않은, 거의 이국적이라고 할 수 있을 느낌이었다."

(187-188면)

 

물론 소설의 전개과정에서 전혀 중요하지도 않을 수 있는 이런 부분에 관해 엉뚱한 생각을 해보게 되는 것은 소재에 대한 관심 때문이 아니라, 오히려 작가가 사물을 바라보는 관점 혹은 태도에 대한 흥미로운 공통점을 보게 되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공교롭게도 작가의 사랑에 대한 철학을 드러내는 두 소설에서 '똥'에 대한 유사한 태도를 발견하는 것도 소소한 즐거움일 수 있다는 점이다. 뭐 싱겁지만 전혀 쓸모없는 생각도 해보는 것 그게 전부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