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성당 (무선) - 개정판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119
레이먼드 카버 지음, 김연수 옮김 / 문학동네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의 고독은 남용되었으나, 이 벽으로부터 탈출할 길은 없다

- 대성당 읽으며

 


레이먼드 카버(Raymond Carver) 지음 

김연수 옮김 | [문학동네] | (2014)

 




레이먼드 카버의 단편소설집 대성당을 읽는다. 특히 마지막에 실린 단편 대성당 Cathedral을 읽을 때 떠오르는 그림이 있다. 에드워드 호퍼의 그림들이다. 많지는 않지만 부부, 혹은 부부로 보이는 커플이 나오는 그림말이다. 호퍼의 그림이라하면 도시인의 고독을 그려낸 화가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도시의 어딘가에 혼자 앉아 있는 여인들을 그린 작품들을 우선 떠오르게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카버의 단편 대성당의 경우는, 대도시 보다는 중소도시 외곽의 전원 속에 살고 있을 법한 중년 부부를 먼저 떠올리게 한다.


 

이 단편 소설에 등장하는 화자와 아내는 곧 아내의 지인인 맹인 남자를 며칠간 접대하기로 되어 있다. 맹인 남자는 최근 아내와 사별하고 친척을 방문하던 중이었고, 화자의 아내는 오랫동안 편지를 주고받으며 연락해온 맹인의 마음을 다독거려 주고 싶었으리라. 하지만 소설의 시작부터 화자는 외간 남자인 맹인을 집 안에 며칠만이라도 들이는 것이 탐탁지 않은 것이다. 아내의 전 애인의 일을 떠올리기도 하다가 심지어는 아내가 맹인과 불륜은 아닐까하는 의심까지도 해보는 것이다.


 

카버의 소설을 많이 읽어보지 못하여 단정할 수는 없으나, 그의 소설쓰기 방식은 작가의 내면에 떠오르는 생각들, 스쳐가는 의식들을 구구절절 기록해대는 스타일은 아닌 듯하다. 간결하게 상황만을 보여주는 방식인 것이다. 따라서 소설에 묘사된 화자의 행동 양식이나 아내와의 대화로 미루어보면, 이 중년 남자는 고등교육을 받지 않은 중소도시의 옹졸하고 편견에 치우친 중년 아저씨인 것이다. 어쩌면 그의 문장들이 너무나 평이해 보여 행간의 떠도는 단서들, 이미지들을 내가 놓치고 있지나 않은지 의구심이 들 정도다. 미국 최고의 단편 소설 작가라는 찬사와 언 듯 연결이 잘 되지 않는다. 내가 읽고 있는 것이 맞나 의심이 드는 것이다. 그만큼 카버의 묘사는 군더더기 없이 최소한의 정황만으로 읽는 사람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해석에 참여하도록 요구하고 있는 것처럼 느껴진다. 나만 그런 것일까?

 


중년으로 보이는 화자는 평범한 아재들과도 다르게 친구도 많지 않은 듯하다. 그저 시간 여유가 있으면 하루 종일 TV앞에 앉아 위스키를 홀짝거릴만한 스타일인 남자다. 그러니 맹인과의 대화에서도 상대를 주시하고 처지에 공감하기 보다는 철없는 질문도 하며 아내의 구박을 받기도 일쑤인 남자다. 이 철부지 중년 아재를 어찌해야 할 것인가? 아내는 며칠간 맹인 남자(로버트)를 집에서 접대하고 돌보면서도 내심 불안하고 신경쓰이지 않았을까 싶다. 확실히 화자는 아내와의 소통도 최소한의 것만 간신히 유지하고, 함께 정기적으로 어울리는 남자 패거리도 없는, 말하자면 지역사회에서도 고립된 아웃사이더 스타일에 가까운 것 같다.






 

화가 에드워드 호퍼의 여러 그림들 중에서 그가 그린 도시의 건물들에는 창문 하나가 열려 있는 장면도 여럿 있지만, 카버의 단편 대성당을 읽으며 떠올리는 화자와 부인의 모습은 <Cape Cod Evening>(1939)에 가깝다고 느꼈다. 이 그림에는 우선 집의 문과 창문이 모두 굳게 닫혀 있다. 마치 입을 꼭 다물고, 팔짱을 끼고 있는 부인의 무표정한 표정처럼, 여기에 소통은 부재해 보이는 것이다.

 


그림에서 콜리 종으로 보이는 강아지는 집 앞의 누렇게 변한 풀밭 속에서 먼 곳을 바라보고 있다. 반면 뒤의 두 사람의 시선은 강아지가 아니라 커플 앞의 허공 어딘가에서 정해진 곳 없이 부유하는 듯하다. 두 사람의 시선은 서로 다른 곳을 응시하며 말없이 생각에 잠긴 듯 보이기도 한다. 청록색 드레스를 입고 팔짱을 낀 여인은 남편의 모습을 바라보고 있는 것인지, 아니면 무언가 말하기 적당한 순간을 기다리며 첫 마디를 벼리는 것처럼 보인다. 반대로 편안한(?) 복장으로 앉아 있는 남자는 부인의 시선을 외면한 채 뭔가를 골똘히 생각하는 것처럼 보인다. 두 사람의 소통이 부재하다는 것은 분명하다. 빛바랜 보석처럼 옅은 광택을 띠는 부인의 청록색 드레스는, 부인의 은폐되고 억눌린 희망을, 이루어지지 못한 소망을 말하는 듯 보이기도 한다. 따뜻함의 감정보다는 서늘한 단절의 기운을 내뿜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이들 커플 사이에는, 어쩌면 늘 그래왔듯, 소통이 원활하지 못한 것 같이 보인다. 대성당에 등장하는 부부처럼 말이다. 물론 화자의 부인은 공감력이란 제로에 가까운 철부지 남편을 한심하게 생각할지언정, 타인에 대한 친절함과 공감력은 갖춘 사람이라고 보인다. 따라서 소설에서는 부인보다는 화자의 말과 행동에 더 관심이 갈 수밖에 없다. 마찬가지로 호퍼의 그림에서도 무표정해보이는 부인의 모습보다는 시선을 외면하고 있는 듯 아래를 향하고 있는 남편의 모습에 더 관심이 간다. 카버의 단편에 나오는 화자의 모습과 상당히 오버랩되었기 때문이다. ‘현대인의 견고한 일상이라는 벽에 유폐되어 살아가는 남자(화자)의 모습을 상상해본다. 화자는 자신의 제한적인 경험치뿐만 아니라 타인에 대한 상상력이 전무해보이는 남자인 것이다. 공감력이란 애초에 가능성의 영역에 있지도 않을 법한 남자. 어쩌면 학창시절의 내 모습 같기도 하다.


 

여기에 더하여 호퍼의 그림에서 등장하는 두 사람의 단절을 더 극명하게 보여주는 듯한 결정적인 시각적 단서가 있다. 어쩌면 집 앞에 전혀 길이 나있지 않다는 사실이다. 이 점이 이상한 것이다. 사람이든 동물이든, 반복적으로 지나다니는 공간에 길이 만들어지곤 하기 때문이다. 집 주변으로 아무런 길이 나 있지 않다는 점이야말로 내게는 언캐니한 상황이다. 이 그림에서 내게 가장 궁금증을 일으키는 지점이다. 두 사람은 소통이 원활하지 않다는 점뿐만 아니라, 주변 세계로부터도 철저히 고립되어 있는 것은 아닐까하는 의구심을 더해준다. 이를 거창하게 고독이라는 벽에 갇힌 현대인의 모습이라고까지는 해석하지는 않으려 한다. 하지만 호퍼의 그림에서 감상자에게 주는 어떤 정서는 인간이란 존재가 본래 지니고 있던 어떤 인간다움의 특질로부터 소외된 우리들의 모습을 떠올리게 하는 것은 비단 나뿐만이 아닐 것일 테다.


 

우연히 영국의 비평가이자 에세이스트 올리비아 랭의 외로운 도시 The Lonely City를 펼쳐보았다가, 처음부터 에드워드 호퍼에 대한 이야기가 나와 랭의 글을 더 따라가 보았다. 이 책은 저자가 미국인 연인과 약속하고 뉴욕에서 살기로 충동적으로 합의(?)한 후, 10년 동안 살던 영국의 거주지를 정리하고 뉴욕 맨해튼에 왔다가 바람맞은 상황에 처했던 경험에서 시작된 글쓰기다. 의도하지 않은 외로움을 낯선 장소, 이국의 대도시에서 절실하게 느끼며 자신의 모습을 찾고자 노력한 글쓰기라고 보이기도 한다. 이 책에서 저자 올리비아 랭은 수많은 매체와 비평가가 호퍼에 대한 그림을, ‘현대인의 고독을 담았다고 소개하지만, 정작 호퍼 자신은 고독이라는 건 남용되었다고 불만을 표시했다고 말한다. 장가의 창작 순간은 작가의 고독 속에서 태어나는 만큼, 호퍼의 정서를 여실히 반영하고 있는지는 몰라도, ‘도시인 혹은 현대인의 고독을 표현하고자 작업을 했다는, 다분히 목적지향주의적인 해석은 지나치다는 생각이다.


 

또 한 가지 혼란스러운 점은, 이 책의 제목에 등장하는 단어 ‘lone, 혹은 lonely'라는 단어를 번역자가 외로운의 의미로 번역하며 시작했는데, 정작 본문에서는 고독이라는 단어와 혼용해서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었다. 보통은 외로움고독의 감정은 조금 구분해서 사용하고 있지 않은가? 나는 그렇게 알고 있다. 하지만 저자 올리비아 랭이 이 두 가지 다른 뉘앙스를 구분하지 않고 혼용해서 사용하지는 않았을 것으로 추정한다. 그러면 번역자가 이 두 다른 뉘앙스를 가진 표현을 혼용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하는 궁금증이 남는다. 개인적으로는 올리비아 랭이 마주하며 때로는 싸우고, 때로는 감싸고 다독거리던 이 감정은 우울의 감정과 부정적인 감정이 섞여 있기에, ‘외로움이란 표현을 일관되게 유지했으면 어떨까 싶었다.

 


아무튼 카버의 단편을 읽다가 또 이야기가 본론에서 많이 벗어나버린 것 같다. 내가 단편 소설을 빨리 읽지 못하는 이유가 있다. 짧고 강렬한 메시지를 주기도 하는 장르이지만, 빨리 읽고 소설이 끝나도 내게 해결되지 않은 감정, 혹은 나의 말로 형용되지 못한 감정이 갈 곳을 잃고 부유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러니 이제 레이먼드 카버의 단편을 처음부터 다시 읽어봐야 할 것 같다. 소통이 원활하지 못하고 세계로부터 단절되어버린 화자의 세계를, 그 행간으로부터 다시 발견해내기 위해서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