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 이름은 다람쥐
앤 M. 마틴 지음, 하정희 옮김, 임승현 그림 / 아롬주니어 / 2009년 2월
평점 :
절판
다람쥐라는 이름을 지닌 어느 떠돌이개의 일생을 그리고 있다. 원제가 A Dog's Life. 처음에는 다람쥐라는 이름이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으리라 여겼는데, 읽고나니 꼭 그렇지만은 않고, 원제에서 왜 표현되어 있지 않은지 알 것 같았다. 그럼 다람쥐를 저토록 전면에 내세운 건 단순히 호기심을 끌기 위한 것이었을까? 다람쥐라는 이름은 엄마 개가 지어준 이름이다. 좋아하는 대상물로서 이름을 삼는 것이 떠돌이개들의 전통이다. 그래서 다람쥐의 오빠는 뼈다귀이다. 다람쥐와 뼈다귀 둘 다 먹잇감이다. 이쯤 되면 다람쥐라는 예쁜 이름이 좀 무색하다. 다람쥐를 사랑하는 것이거나 다람쥐와 친구라서 지은 이름이 아니라 다람쥐를 잘 잡아먹기 때문에 지어진 이름. 사실 책을 읽고나서 바로 든 생각은 '굳이 책 제목을 저렇게 뽑아야 했나.' 였다. 그런 뒤 곰곰 생각해 보았다. 다람쥐라는 이름이 지닌 의미를. 그건 주인공이 떠돌이개라는 뜻이겠구나 싶었다.
애완견은 다람쥐를 잡아먹지 않는다. 그럴 일도, 그럴 능력도 없다. 반대로 살기 위해 다람쥐를 사냥해야 하는 떠돌이개에게 먹는 일이 녹록할 리 없다. 언젠가부터 우리는 개를 육식동물로 여기지 않는다. 우리에게 떠오르는 모든 개는 사람과 함께 살며 보살핌을 받는다. 저 밖으로 떠돌아다니는 개는 전혀 고려와 사랑의 대상이 아니다. 그런데 문제는 야생으로 가지도 못하고, 사람 주변을 떠도는 개들이 많다는 사실이다. 개의 삶은, 사람과 가장 친하다는 이유로 참 팍팍해졌다. 사람은 다른 동물 위에 군림한다. 마음대로 잡아다 길들이고, 예뻐했다가, 싫증 나면 외면한다. 길들여진 동물들이 버려지면 그야말로 비참한 지경에 빠진다. 떠돌이개도 누군가가 버린 개들이다. 자신이 누구에게서 왜, 언제 버려졌는지 모르지만, 떠돌이개는 최선을 다해 살아나간다. 다람쥐의 뒤를 쫓아 숲속을 누비며.
방학 때만 가족들이 찾는 어느 집 헛간에서 태어난 다람쥐와 뼈다귀. 어느 날 엄마가 나가서 돌아오지 않자 다람쥐 남매의 삶은 낯설고 험한 세상으로 곤두박질친다. 엄마는 아마 죽었을 것이라고 다람쥐는 생각한다. 사실이 그럴 것이다. 죽음이거나 그 비슷한 상황에 처하지 않고 자식을 버리는 어미는 없으므로. 뼈다귀를 따라 정처없는 떠돌이 생활에 나선 다람쥐 앞에는 수많은 사람들이 나타났다 사라진다. 무작정 데려갔다가 때리고 차에서 밖으로 던지는 이, 말없이 먹을 것을 주는 이, 사랑하는 척하면서 방치하고 굶기는 이 등. 떠돌이가 더 귀엽게 생겼다는 이유로 사람에게 잡혀가고, 방랑 중에 만난 친구 달은 둘이 함께 당한 교통사고로 세상을 떠나고, 매번 다람쥐는 혼자가 된다. 길고 고단한 삶. 다람쥐가 따뜻한 사람을 만나 정착했을 때 그 개는 이미 늙어 있었다. 그리고 다람쥐를 동반자로 받아들인 사람, 수잔도 여든이 넘은 할머니였다. 둘은 아마 삶을 마감할 때 옆에 있어줄 동반자가 될 것이다. 짧은 행복.
평생을 떠돌아다닌 개, 다람쥐의 이야기는 어쩌면 어머니의 뱃속에서 떨어져 나와 끝없이 홀로서기를 하는 우리네의 삶을 투영한 것일지도 모르겠다. 세상 속에서 분투하고, 성공과 좌절을 번갈아 경험하며, 끝없이 외로워하며, 마치 다람쥐가 태어난 그 헛간을 그리워하듯 딱 그렇게 유년시절을 그리워하며, 결국 늙어가는 우리네의 삶. 뉴베리상 수상작가이기도 한 작가는, 실제 동물구호단체에서 일한다고 하는데, 그렇다고 하여 이 책이 그저 개에 국한된 이야기만은 아닐 것이라는 느낌이 든다. 다람쥐의 삶을 우리 삶에 투영해 보지 않으면 이 이야기는 정말 '타자'의 이야기에 그치게 되기 십상이기 때문이다. 사람이 자신의 필요에 의해 불러들여 길들인 동물에 대해 어떤 태도를 지녀야 할 것인지 여러 가지로 생각하게 해주는 책이다. 물론 주 독자층인 어린이들이야 어떤 의미가 됐든 감동적인 느낌으로 읽으면 그것으로 충분하겠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