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서주의자의 책 - 책을 탐하는 한 교양인의 문.사.철 기록
표정훈 지음 / 마음산책 / 2004년 10월
평점 :
품절


기대를 너무 많이 했어서인가?
생각만큼 아주 재밌지는 않았다
지난 번에 읽은 같은 저자의 책, "책은 나름의 운명을 지닌다" 와 비슷한 느낌이었다
내가 원하는 내용은 책의 역사 같은 객관적인 얘기 말고 저자 자신의 책에 대한 애정을 기대했는데 이 부분이 좀 적었다
개인적인 에세이라기 보다는 책 읽기에 대한 일반론이 많았다
그래도 가벼운 마음으로 훑어 보는 건 재밌는 책이다

미국의 어떤 정신분열자는 각 도시의 도서관에서 수십만 권의 책을 훔쳤다고 한다
심지어 그가 털지 않은 도서관은 별 볼 일 없는 도서관이라는 말까지 나돌 정도로 전국 각지의 도서관에서 절도 행위를 계속했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잠도 안 자고 책만 읽고 살았는데 책에 대한 집착과 소유욕 때문에 급기야는 도서관에서 훔치는 수준에 이른 것이다
책 도둑은 도둑이 아니라는 말도 다 옛날 말일 정도로 요즘은 책 절도가 심각한 수준이라고 한다
농촌에서 수박 서리 하면 도둑놈으로 몰리는 것처럼 말이다
요즘 책 값이 비싸긴 하지만 다른 재화에 비하면 아주 싼 편인데 왜 그는 책을 훔치는 수준에까지 이르렀을까?
희귀본을 갖고 싶어서?
사실 나는 책 자체에 대한 소유욕은 없는 편이다
책만 쌓아 놓고 읽지 않으면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더구나 새로 나오는 책이 얼마나 많은데 같은 책을 보고 또 볼 시간적 여유도 없다
그래서 책을 훔쳐서까지 소유하려고 하는 사람들의 심리를 아직은 제대로 이해할 수가 없다
도서관에 가면 절판본을 비롯 온갖 희귀한 서적들이 다 비치되어 있고 대여까지 해 주는데 헌책방을 전전하면서 수집에 열을 올리지도 않는다
그 점에서는 참 다행스럽다
나도 탐욕적일 만큼 책에 대한 집착이 강한 편인데 다행히 소유 대신 읽는 행위에 대해서만 몰두하는지라 얼마나 다행인지 모르겠다
읽고 싶은 책을 다 가지려고 한다면 월급이 남아나질 않을 것이다

저자는 유명 인사를 인터뷰 하는 장면을 볼 때 마다 꼭 그 뒤의 서재에 무슨 책이 꽂혀 있는지 관심을 갖게 된다고 말한다
"전작주의자의 꿈" 을 쓴 조희봉 역시 같은 고백을 한다
나는 한 번도 다른 사람의 서재에 대해 구체적인 관심을 가진 적이 없는데 생각해 보니까 독서 성향을 알면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도 대충 짐작할 수 있을 것 같다
특히 책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그 사람이 읽는 책 목록만 봐도 어떤 생각을 하고 사는지, 어디에 관심이 있는지 쉽게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책을 읽고 쓴 감상문을 읽는다면 더더욱 내면의 세계를 짐작하기가 쉬워지지 않을까?
맞선을 보게 된다면 뻔한 질문 대신 어떤 책을 즐겨 읽느냐는 질문을 해 보고 싶다

탐서주의자란 책을 탐하는 사람을 일컫어 생긴 조어다
뭐든 욕심내거나 집착하는 건 좋지 않다고 하지만, 술이나 담배, 섹스 등에 집착하는 것 보다는 책에 집착하는 게 훨씬 바람직한 건 아닐까?
나는 지식을 얻기 위해 책을 읽는 건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것은 부차적인 이득이고 우리가 책을 읽는 진정한 이유는 재밌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는 독서는 취미가 아니라는 말에 절대 동의할 수 없다
저자 역시 다만 읽으라고 충고한다
어떻게 하면 글을 잘 쓸 수 있냐는 질문에 미국 최고의 베스트셀러 작가인 스티븐 킹은 일단 열심히 쓰라고 충고한다
저자 역시 독서의 방법론에 대해 열심히 읽으면 된다고 말한다
나는 이 말이야 말로 가장 올바른 독서법이라고 믿는다
자기 수준에 맞고 흥미가 생기는 가벼운 책부터 읽으면 된다
TV를 보거나 인터넷을 하듯 책을 펼치면 된다
좋은 책을 읽어야 한다는 부담감이 책을 일상에서 멀어지게 한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책을 가진 사람은 은행원인데 약 5만 권의 책을 소장하고 있다고 한다
5만권이면 시골 도서관 보다 많은 장서수다
우리나라에 딱 한 종 뿐인 어떤 책은 집 한 채 값을 주고 샀으며 15억에 팔라는 일본 어느 기업의 제안도 거절했다고 한다
이쯤 되면 이 사람에게 책은 예술품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출판업계에 관련된 사람도 아니면서 5만 권이나 되는 책을 개인이 모을 수 있다는 건 참으로 대단하다
다른 것도 아닌 책에 대한 열정이라 더욱 순수하고 아름답게 느껴진다
이 사람은 죽을 때 과연 이 책들을 어떻게 처분할까?
이 정도 장서 수준이면 도서관 등에 기증해도 길이길이 이름을 남길 수 있을 것 같다
자식들이 아버지의 열정을 이해한다면 유산으로 물려 줘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나는 가끔 아빠의 서재를 보면서 저 많은 책을 아빠 돌아가시면 어떻게 해야 하나, 난감할 때가 있었다
그런데 생각해 보니까 나에게 물려 주면 될 것 같다
내가 읽어 치우면 되는 것이다
폴 오스터의 "달의 궁전" 을 보면 주인공 마르코에게 삼촌은 죽으면서 돈 대신 수 천 권의 책을 물려준다
마르코는 매일 책을 읽어 치우고 읽는 즉시 헌 책방에 팔아서 생계를 유지한다
나는 그거야 말로 책을 해치우는 가장 바람직한 방법이라고 생각했다
일단 읽은 후 버리면 책의 임무를 다 수행했다고 믿기 때문이다

책읽기에 대한 가볍고 즐거운 에세이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이드 2004-12-27 09: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크- 책을 버리는건 '살책' 이라는 무시무시한 표현을 저자가 썼었죠? 그리고 맞선 나가서 '무슨 책 읽으세요?' 했다간 실망하고 그 맞선 깨지기 십상일껍니다. -_-a 이런저런 에피소드가 많아서 재미있는 책이었어요. 저자가 서문에서 말했듯이 저자 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작가들의 글을 빌려 쓴다고 했듯이, 책을 좋아하는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에 공감할 수 있어 좋았구요. 근데, 저도 리뷰에서 썼지만, 정말 이해안가는점. 셀린저는 책 표지에 워낙 민감해서 번역되는 책에 대해서도 군더더기 있는거 싫어서 감수한다고 하잖아요? 그러면서 예로 들기를 셀린저의 '목수 어쩌구 ' 하는거. 근데, 그거 보면 표지가 장난아니게 난삽하거든요. 그러면서 얘기하기를 자기자신도 표지가 과한거 싫다고 하면서, 이 책, 표지도 그렇고, 책 내부도 그렇고, 디자인이 정말 정말 정말 꽝! 이지않나요?

marine 2004-12-27 10: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책을 읽지 않고 버리는 게 살책이고, 읽은 후 버리는 건 책에 대한 의무를 다한 거라 생각해요 하긴 맞선 보러 나가서 책 이야기 하면 상대가 저한테 질리기 십상이겠죠 전 북디자인 화려한 게 좋아요 요즘은 다들 예술이잖아요? 지난 번에 이 저자가 쓴 "책은 나름의 운명을 지닌다" 보다는 훨 낫던데...^^

여울 2004-12-27 11: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마어마한 책도둑이 있군요.ㅎㅎ. 홍성 한 대안학교에 지인이 있어 가을에 들른 적이 있었는데요. 한 유명한 국어학자분이 5000권?의 책을 기증한다고 해서 어떻게 할 것인지 난감해하더군요. ㅎㅎ. 그리고 도서관을 들렀는데 기증받은 책들이 정말 많더군요. 인문사회과학도서관 같아서 많이 놀랬습니다. 대학도서관들이 별도의 기증을 받고(코너) 지역에 개방하는 것도 좋을 듯하네요. 기증을 어디에 할까? 망설이는 분들도 제법 계시더라구요.ㅎㅎ

marine 2004-12-27 11: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다시 찾아 보니까 수십만 권까지는 아니구요, 300개의 도서관에서 약 3만 권의 책을 훔쳤대요 6년 형이랑 벌금 20만 달러 선고받았다네요 불행히도 그는 정신분열자였답니다 책을 좋아하는 정신분열자라... 우리도 기증 문화가 활발해지면 좋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