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혹하는 글쓰기 - 스티븐 킹의 창작론
스티븐 킹 지음, 김진준 옮김 / 김영사 / 2002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스티븐 킹이 쓴 "유혹하는 글쓰기"를 읽고 있다


글쓰기에 대한 조언은 아직 안 나오고 그의 이력서만 열심히 읽었다


내가 그에 관해 처음 안 것은 그 유명한 "쇼생크 탈출"을 본 후


정말 감동받았다


그 후로 "그린 마일"과 "미저리"가 그의 작품임을 알고 존경심을 갖게 됐지


그는 정말 독창적인 사람이다


 


무지하게 가난했던 어린 시절 이야기를 역시 풍자적인 문체로 가감없이 풀어 쓰는 게 마음에 든다


스티븐 킹이라는 사람 자체가 위대한 문학가가 아니기도 하지만, 어쨌든 자신의 어린 시절에 대한 과장된 감정을 늘어 놓는 글쓰기는 딱 질색이다


미국이라는 나라에 관심이 많은데, 우리 교민들이 미국은 이러이러 하더라, 하고 쓴 글과 미국인이 직접 쓴 미국이라는 나라는 정말 천지 차이임을 새삼 느낀다


마치 미국인이 쓴 한국과 한국인이 쓴 한국은 격이 다른 것처럼 말이다


 


학교 선생님인데도 불구하고 충분치 못한 경제 생활 때문에 방학 때는 세탁소에서 아르바이트를 해야 했던 그가 끝까지 글쓰기에 대한 열정을 놓치 않은 걸 보면, 확실히 재능을 타고 난 사람은 다른 것 같다


학교 다닐 때도 편집부장으로 일하고, 지역 신문의 기자로도 아르바이트를 했던 걸 보면 역시 끼가 보인다


결혼해서도 아주 가난했으나 (집에 전화가 없었다고 하니까) "캐리"라는 책 한 권으로 베스트셀러 저자가 되어 50여편의 소설 중 40여편이 드라마나 영화로 만들어질 정도로 세계적인 작가가 됐다


 


일단은 무지하게 부럽다


특히 그처럼 풍자적인 글쓰기를 하는 작가가 정말 부럽다


내가 제일 좋아하는 작가는 은희경인데, 언제나 삐딱한 시선으로, 혹은 자조적인 말투로 그래, 세상은 다 그렇지, 뭐 이렇게 지꺼리는 그 태도가 아주 매력적이다


글쓰기에 관한 이야기는 뒷편에 소개된다


기대된다


 


스티븐 킹이 말하는 창작론은 최대한 간단하게 쓰라는 것이다


가능하면 헤밍웨이처럼 단문으로 건조하게 쓰는 게 좋다


부사를 최대한 줄이고 수식어구 남발하지 말고 가능하면 독자가 스스로 느낄 수 있게끔 간단히 써라


 


사실 나는 무지하게 길게 쓰고 미사여구 화려한 글을 좋아한다


헤밍웨이의 "노인과 바다" 같은 건조한 문체는 별루...


스티븐 킹 같은 대단한 베스트셀러 작가도 위대한 천재들 (이를테면 헤밍웨이나 스타인벡 같은) 에 대한 컴플렉스는 어쩔 수 없나 보다


노력을 한다고 해서 위대한 작가들에게 가까이 갈 수는 없겠지만, 어느 정도 잘 쓸 수는 있다고 희망을 준다


정말 천재들은 타고나는 것인가...


 


독서를 많이 하라는 충고는 어딜 가나 빠지지 않는다


하루에 6-8시간 이상 책을 읽어야 잘 쓸 수 있는 기본 소양이 생긴다고 한다


거의 직업적으로 읽으라는 소리군


그는 심지어 차에 타면 오디오북을 듣고 헬스 클럽에서 운동하면서도 TV 대신 책을 읽는다고 한다


오, 놀라워라


이거야 말로 내가 이상적으로 생각하던 라이프 스타일이 아니던가


 


우리 나라에도 오디오북이 많이 생겼음 좋겠다


퀸의 노래도 매일 들으면 질리지 않느냐는 그의 말처럼, 출퇴근 시간에 유행가 듣는 것도 지겹다


오디오북은 성경책에나 해당되는 말인 줄 알았는데 미국에서는 꽤 보편화 됐나 보다


그도 오디오북을 통해 일년에 10권 이상의 책을 읽는다고 한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울 2004-11-26 10: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리뷰가 많이 올라오네요. 오디오북은 미국은 땅덩어리도 크구 운전도 오래해서 많이 보편화되어 있는 것 같아요. 국내에도 시도를 하고 있는데 상황이 조금 다른가봐요. 제가 아는 곳은 "내림과 올림"이라고 고전에 대해 몇권? 구입해서 들은 적이 있어요. 괜찮은 방법이기도 한 것 같구요.

marine 2004-11-26 13: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동안 선별해서 괜찮은 리뷰만 올렸는데 그냥 읽은 책들은 다 흔적을 남겨야겠다 싶어 시간 날 때마다 정리하고 있습니다

하이드 2004-12-07 13: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이번에 사놨는데, 아직 안 봤어요. 제가 좋아하는 두껍고 글씨 많은 책은 아니지만, 기대하고 있어요. 근데, 나나님 별을 보니, 제 별이 너무 후한것 같습니다. ^^ 전 괜찮으면 별 4개. 진짜 개인적인 취향으로 맘에 드는 경우에는 별 다섯개, 보통인데, 맘에 안 드는 점 있으면 별 3개. 진짜 싫으면 2개 이렇거든요. 아, 글은 맘대로 써요. 싫어하는거 막 욕하면서. 최민식 사진집과 웬디 수녀 책이 대표적인 케이스.

marine 2004-12-07 14: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무지하게 감동해서 할말을 주체할 수 없으면 별 5개(미셸 푸코나 폴 오스터의 "달의 궁전" 같은 거), 크게 공감하면 별 4개 ("이미지와 환상" 같은 거) 대부분은 별 3개, 수준이 떨어진다고 생각하면 2개, 진짜 이건 해도해도 너무한거 아니냐면 별 1개 줍니다 사실은 제가 너무 짜게 준 거 아닌가 싶어 별점을 다시 매겼는데도 짜게 보이나 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