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실격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03
다자이 오사무 지음, 김춘미 옮김 / 민음사 / 200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네 번째 자살 시도로 자신의 삶을 마감한 천재 작가”

“청춘의 한 시기에 통과 의례처럼 거친 뒤 잊히는 작가”

“일본 데카당스 문학의 대표작”

“오시모토 바나나, 무라카미 하루키가 가장 존경하는 일본 작가”

“인간의 나약함을 드러내는 데 가장 뛰어난 작가”

소설가 다자이 오사무를 수식하는 말들이다. 얼마나 대단하기에 “우리를 위해 부(負)의 십자가에 매달린 예수”라고까지 극찬할 수 있을까? 한없는 의구심에 휩싸여 그의 책을 읽어보기로 했다. 여러 저작 중에서 가장 눈에 띄는 에곤 실레의 그림이 그려있는 민음사판 <인간 실격>을 골랐다.

한 번 읽었다. 불편했고, 주인공 요조가 보여주는 자기파멸적 삶에 나는 주저 없이 인간 실격 판정을 내렸다. 볼 것도 없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계속 불편한 뭔가가 켕긴다. 재독을 하고 삼독을 했다. 그 정체를 알 수 없는 불편함이 어떤 실체를 갖고 다가오고 있었다.

어릴 때부터 위선이라는 가면을 쓴 다른 “인간들”을 이해할 수 없었던 요조는 그 위선의 세계와 타협하기 위해 ‘익살’을 연기하지만 번번이 좌절하고 불안에 떤다. 어떻게든 부조리한 사회와 인간을 이해하려고 애쓰지만 믿었던 사람들에게 배반당하고, 결국 알코올에 중독되어 자살을 기도하기에 이른다. 거듭된 동반 자살에도 불구하고 살아남은 요조는 마지막 희망이었던 아버지의 죽음으로 마음의 고향까지 잃어버린다. 정신병자라는 낙인이 찍힌 채 외딴 시골집에서 쓸쓸히 죽음만을 기다리는 “인간 실격자”가 되고 만다.

<인간실격>은 작가 자신이 겪었던 충격적인 체험을 소설화한 작품이란다. 한 편으로는 자기 해명의 책으로도 불린다는데, 거듭 책을 읽은 지금 ‘나를 해명하는’ 책으로 다가왔다. 소리치지도 못하고 아파하는 내 순수가 요조라는 거울을 통해 여과 없이 비쳐지고 있었다. 불편했던 진실을 마주하는 순간 내가 내린 요조에 대한 가혹한 판단은 유보할 수밖에 없었다.

무엇이 요조를 실격에 이르게 했을까. 바로 우리들로 대변되는 넙치와 호리키가 그렇게 한 것이 아닐까. 우리가 요조를 보고 비판할 수 있는 것은, 그가 우리와 다른 바보 같은 순수함의 원형이었기에 가능했을 것이다. “너희 중에 죄 없는 자가 이 여인을 돌로 치라”는 예수의 말씀처럼 누가 요조에게 돌을 던지겠는가.

우리가 적어도 우리 자신을 속이지 않고 나약함을 극복하면서 세상을 살아갈 수 있다면, 요조에게 돌을 던질 수 있고 그의 삶이 인간 실격이라고 단호히 심판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들은 불안에 떠는 그 나약한 순수함 마저도 마주하길 꺼린다. 그래서 요조와 같은 사람을 보면 나약한 존재라고 서슴없이 비판할 수 있는지도 모르겠다. 우리는 모두 세상과 적당히 타협하고 살아가는 호리키와 넙치와 같은 인간들이기에.

가면으로 나약함을 가릴 수는 있겠지만 그것으로 인해 내 순수함이 얼마만큼 상처를 받게 되는지는 모른다. 내 순수의 자아가 상처받아 너덜너덜 해질수록 내 가면은 더 두꺼워진다. 서로 두꺼워진 가면을 쓰고 아무 문제없다는 듯 자연스럽게 살고 있는 세계가 바로 우리들의 세계일 것이다. 이 작품이 아직도 귀중한 보편적 가치를 갖고 계속 읽히는 것은 바로 이러한 문제의식을 보여주기 때문이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