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레사의 오리무중 트리플 23
박지영 지음 / 자음과모음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테레사의 오리무중》 박지영/기간한정 다정한 결말이라 좋다!

세 개의 단편이 나타내고자 한 주제는 자본의 많고 적음으로 매겨지는 인간의 가치에 대해 말하는 것이라고 냉정하게 말할 수 있겠지만 어차피 이러한 현상이 새삼스러운 건 아니지 않을까 생각했다. 그럼에도 세 단편의 결말은 희망적이고 굳이 말하자면 좀 더 나은 쪽으로 나아가는 결말이어서 안심이 됐다. 좋은 결말 좀 주면 어때서요! 줘도 되잖아요! 흠흠

자음과 모음의 트리플 시리즈로 출간된 이 단편집은 세 편의 단편과 작가의 에세이라는 형식을 갖추고 있는데 작가의 에세이에서 박지영 작가 본인도 이 결말에 대해 언급한 부분이 있어 적어본다.

˝그것은 일종의 회피 성향과 관계 있을지도 모른다. 단편 안에서 어떻게든, 그래서 그들은 행복하게 살았답니다, 와 같은 동화 속 꽉 닫힌 결말까지는 아니더라도, 어떻게든 조금은 나은 것, 선한 것, 좋은 것을 주고 끝내고 싶은 마음이 만들어 낸, 불편한 것을 불편한 상태 그대로 놓아두는 것을 용납하지 못하는 식의 회피. 그것이 대체로 뻔하거나 성급한 결말에 이르게 한다는 것을, 인물들이 무언가를 깨닫거나 알게 하는 방식의, 어릴 적 칭찬받기 위해 쓰던 독후감처럼 교훈적인 형식을 띄는, 다소 유치해 보이는 서술을 하게 만든다는 걸 아는데 ㅡ그래서 다음에 쓸 단편에서는 그런 류의 소설이나 이야기를 끔찍이 싫어하고 부정하는 인물이 나오기도 하는데ㅡ 그럼에도, 소설 속 인물들에게 무언가(내가 줄 수 있는 기간한정 다정과 같은) 좋은 것을 건네주기 전에는 단편을 쉽게 끝낼 수가 없다.˝ (211쪽, ‘에세이‘ 중에서 )

결말을 어떤 식으로 끝맺을지 고민한 흔적을 엿볼수 있었다. 그것은 작품 속 주인공들이 흔히 말하는 자본의 혜택을 입지 못한 젊은이들이어서 그랬으리라는 것을 짐작해 볼 수 있다.

연작 소설은 아닌데 세 단편에 모두 등장하는 사람이 있다. 물류센타에서 중간 관리자로 일하는 ‘주경‘이라는 인물이다. 작가가 말하는 선한 것, 좋은 것, 조금은 나은 것을 주는, 평범한 여자 사람이지만, 이 책을 읽으며 이런 생각이 들었다. 인생에서 이런 사람을 만난다면, 시간이 지나고 문득 이런 생각을 하게 될지도 모른다고! ˝이 사람은 신神이 모든 곳에 있을 수 없어서 나에게 잠시 이 사람을 보낸게 아닐까!˝ 하는 뜬금 없을지 모를 생각! 그래서 첫 단편 ‘테레사의 오리무중‘에서도 그랬지만 두번째 ‘올드 레이디 버드‘에서, 그리고 마지막 ‘장례세일‘에서도 ‘주경‘이 등장할 때 한줄기 빛이 비추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 주경이라고 해서 딱히 사정이 더 좋은건 아니었는데도 말이다. ˝‘자본ㅡ인간‘의 이분법적 도식 위에서 어느 한쪽을 점하는 것으로 기울어지지 않는˝ 사람이 있어서 우리는 인간을 오로지 자본적으로만 가치판단하지 않을 수 있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래서 작가의 희망적 결말이 전혀 억지스럽게 보이지 않은 거라고 말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녀 이름은
조남주 지음 / 다산책방 / 2018년 5월
평점 :
절판


아... 이 짧은 글들이 대체 뭐라고 이리 눈물이 날까! 담담하게 풀어낸 소설 같은 이야기들, 정말 소설일까 싶은 ‘그녀들의 이야기‘, 평범한 우리들의 이야기라서 더 공감이 된다. 어딘가의 시간 속에서 더 행복하게, 더 잘 살았으면 좋겠다고 기도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성벽 안에서 - 페라라의 다섯 이야기 인문 서가에 꽂힌 작가들
조르조 바사니 지음, 김운찬 옮김 / 문학동네 / 201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성벽 안에서》 조르조 바사니
조르조 바사니의 페라라는 그의 이야기의 원천이자 기억의 원형과 같은 곳이다. 상상의 공간이면서 실제하는 장소들이고 끊임없이 창조되는 동시에 유대인들의 집단적 기억이 깃든 장소이다. 그의 작품에서 ‘유대인‘과 ‘페라라‘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또한 1938년부터 1943년까지 유대인 인종법이 발효된 후 이탈리아 유대인들에 대한 차별이 공식화 된 5 년 동안의 페라라 유대인 사람들과 거리에서 결코 벗어나지 못한다. 그 시절은 이미 한참 전에 지났지만 그의 이야기들은 그 시기를 벗어나서는 존재할 수 없는 듯 보인다. 이러한 경향은 그의 다른 작품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각 작품은 독립적이지만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알게된다.

이 책에는 5개의 단편이 실려 있다.
‘리다 만토바니‘, ‘저녁 먹기 전의 산책‘, ‘마치니 거리의 추모 명판‘, ‘클렐리아 트로티의 말년‘, ‘1943년의 어느 날 밤‘ 등이다. 그가 말해주는 페라라 사람들과 거리와 추억들, 사랑, 과거와 현재, 역사와 사실들은 이미 지나가버려서 세피아빛, 혹은 흑백사진의 이미지처럼 색바랜 과거일지 모르지만 그래서 더 애잔한 그 이름과 거리들을 하나하나 불러보게 만든다.

이제는 너무 익숙해져버린 페라라의 거리 이름들, 조베카 대로, 살린궤라 거리, 포 강, 리다 만토바니와 오레스테 베네티, 마레 성문, 반파시시트, 젬마 브론디, 엘리아 코르코스, 델리 기아라 거리와 성벽 위 오솔길 지나 코르코스 박사의 저택, 마치니 거리, 에르베 광장, 그리고 ˝사백명 중 백팔십삼 명˝... 백팔심삼명의 추모명판과 수용소에서 살아돌아온 제오 요즈, 파르티잔들, 델라보르사 카페, 유대교 회당과 게토, 회유와 협박 당하고 감금당한 사람들, 클렐리아 트로티와 로비가티, 브루노, 로마 대로와 피노 바릴라리, 마침내 1943년 12월 15일의 학살, 데스테성의 해자와 미칠 듯한 폭력과 공포의 시간들, 시아구라, 금발의 안나 레페토의 삶...이 모든 거리와 역사와 이름들은 실제 역사와 사실 속에서 이야기로 형상화 되었다. 지금도 페라라에 간다면 이들의 흔적을 찾아 헤매게 될 지도 모른다. 어느 거리 어느 성문 앞이나 성벽 안에서 이들을 만나게 되는건 아닐지 기대하게 될 지도!
이야기를 읽다보면 사실과 허구가 뒤섞여 무엇이 사실이고 허구인지 구분이 잘 안되지만 굳이 구분할 필요가 없단걸 곧 깨닫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퍼스널 잭 리처 컬렉션
리 차일드 지음, 정경호 옮김 / 오픈하우스 / 201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잭 리처 컬렉션으로 다섯 번째 읽은 책. 역시 이번에도 홀로 멋있고 난리인데... 프랑스 대통령 저격 사건이라 긴장했는데 중간에 왜 살짝 지루했을까나... 종횡무진 활약은 여전했지만 용두사미꼴이라 좀 아쉬웠다. 잭 리처 잠시 쉬었다 다시 만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내·세 자매 열린책들 세계문학 288
안톤 파블로비치 체홉 지음, 오종우 옮김 / 열린책들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비움의 삶을 실천하고자 했던 안톤 체호프의 삶의 경험이 녹아있는 단편 ‘아내‘에서의 나탈리야 가브릴로브나, 현실의 벽에 안주하지 않고 자신들의 일을 찾아 주체적으로 살고자 애쓰는 ‘세 자매‘인 올가, 마샤, 이리나 모두 그녀들의 남편과 오빠를 앞서간 주인공들이다. 단편,희곡의 최고봉 체호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