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레사의 오리무중 트리플 23
박지영 지음 / 자음과모음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테레사의 오리무중》 박지영/기간한정 다정한 결말이라 좋다!

세 개의 단편이 나타내고자 한 주제는 자본의 많고 적음으로 매겨지는 인간의 가치에 대해 말하는 것이라고 냉정하게 말할 수 있겠지만 어차피 이러한 현상이 새삼스러운 건 아니지 않을까 생각했다. 그럼에도 세 단편의 결말은 희망적이고 굳이 말하자면 좀 더 나은 쪽으로 나아가는 결말이어서 안심이 됐다. 좋은 결말 좀 주면 어때서요! 줘도 되잖아요! 흠흠

자음과 모음의 트리플 시리즈로 출간된 이 단편집은 세 편의 단편과 작가의 에세이라는 형식을 갖추고 있는데 작가의 에세이에서 박지영 작가 본인도 이 결말에 대해 언급한 부분이 있어 적어본다.

˝그것은 일종의 회피 성향과 관계 있을지도 모른다. 단편 안에서 어떻게든, 그래서 그들은 행복하게 살았답니다, 와 같은 동화 속 꽉 닫힌 결말까지는 아니더라도, 어떻게든 조금은 나은 것, 선한 것, 좋은 것을 주고 끝내고 싶은 마음이 만들어 낸, 불편한 것을 불편한 상태 그대로 놓아두는 것을 용납하지 못하는 식의 회피. 그것이 대체로 뻔하거나 성급한 결말에 이르게 한다는 것을, 인물들이 무언가를 깨닫거나 알게 하는 방식의, 어릴 적 칭찬받기 위해 쓰던 독후감처럼 교훈적인 형식을 띄는, 다소 유치해 보이는 서술을 하게 만든다는 걸 아는데 ㅡ그래서 다음에 쓸 단편에서는 그런 류의 소설이나 이야기를 끔찍이 싫어하고 부정하는 인물이 나오기도 하는데ㅡ 그럼에도, 소설 속 인물들에게 무언가(내가 줄 수 있는 기간한정 다정과 같은) 좋은 것을 건네주기 전에는 단편을 쉽게 끝낼 수가 없다.˝ (211쪽, ‘에세이‘ 중에서 )

결말을 어떤 식으로 끝맺을지 고민한 흔적을 엿볼수 있었다. 그것은 작품 속 주인공들이 흔히 말하는 자본의 혜택을 입지 못한 젊은이들이어서 그랬으리라는 것을 짐작해 볼 수 있다.

연작 소설은 아닌데 세 단편에 모두 등장하는 사람이 있다. 물류센타에서 중간 관리자로 일하는 ‘주경‘이라는 인물이다. 작가가 말하는 선한 것, 좋은 것, 조금은 나은 것을 주는, 평범한 여자 사람이지만, 이 책을 읽으며 이런 생각이 들었다. 인생에서 이런 사람을 만난다면, 시간이 지나고 문득 이런 생각을 하게 될지도 모른다고! ˝이 사람은 신神이 모든 곳에 있을 수 없어서 나에게 잠시 이 사람을 보낸게 아닐까!˝ 하는 뜬금 없을지 모를 생각! 그래서 첫 단편 ‘테레사의 오리무중‘에서도 그랬지만 두번째 ‘올드 레이디 버드‘에서, 그리고 마지막 ‘장례세일‘에서도 ‘주경‘이 등장할 때 한줄기 빛이 비추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 주경이라고 해서 딱히 사정이 더 좋은건 아니었는데도 말이다. ˝‘자본ㅡ인간‘의 이분법적 도식 위에서 어느 한쪽을 점하는 것으로 기울어지지 않는˝ 사람이 있어서 우리는 인간을 오로지 자본적으로만 가치판단하지 않을 수 있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래서 작가의 희망적 결말이 전혀 억지스럽게 보이지 않은 거라고 말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