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실 - 2005년 제1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김별아 지음 / 문이당 / 2005년 2월
평점 :
절판


정말 오랜만에 쓰는 서평인 듯 싶다.
그동안 교과서 혹은 전공서적 이외에는 별다른 책을 보질 못 했는데 그래도 틈틈히 본 책 중의 하나가 바로 이 책이다. 가을께 사놓고는 그동안 펴보질 못 하고 주변 사람들만 이리저리 빌려줬었는데 학교에서 유적답사를 간 날, 날 잡아서 2박 3일동안 차 안에서 독파했었다.

이 책이 제 1회 세계문학상 당선작으로 1억원의 상금을 받았다고 하는데 처음에는 대체 어떻게 썼길래 그 정도의 가치를 인정받았을까 하는 호기심도 작용했었다. 처음 여자친구가 이 책을 보고는 하는 말이, 너무 야하고, 성적인 묘사만 가득하기 때문에 대체 왜 이런 책에 1억원이나 줬는지 모르겠다고 했다. 그때는 그냥 그려러니, 신라의 개방적인 성생활에 대해 일종의 거부감이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넘어갔었다. 그리고 그 책을 보는 첫장부터 주인장은 일종의 실망감을 금치 못 했다.

저자는 분명히 미실을 쓰기 위해서 상당히 많은 역사전공자들의 연구성과를 참고했다고 하지만 주인장이 확인한 결과, 그런 흔적은 거의 없었다. 내용의 대부분은 화랑세기를 그대로 인용한 부분이 많았는데 특히 등장인물들의 대화의 상당부분이 화랑세기에서 그대로 차용한 것들이 대부분이었다. 물론 그 전후 사정에 대해서도 화랑세기의 그것을 그대로 따른 것이 많았고 소설적인 요소가 가미된 부분은 찾아보기 힘들었다. 아마 저자가 직접 원서를 해석해서 공부한 것은 아닐테고, 화랑세기 연구의 권위자인 이종욱 선생님의 책들을 상당수 참고한 것으로 보였다(개인적으로 주인장도 화랑세기에 대해서 이종욱 선생님의 연구성과가 많은 도움이 되었다). 즉, 처음 언급했던 호언장담만큼 그 내용에 있어서 역사성은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는 소리가 된다.

예스24에서 이 책에 대한 소개를 보니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었다.

- 가장 자연스러운 여성의 본질이 무엇인가를 묻고 있는 이 작품은 적극적인 탐구 정신, 작가적 상상력, 호방한 서사 구조를 바탕으로 그간 우리 문학에서 만나지 못했던 전혀 새롭고 개성적인 여성상을 그려 보였다는 평가를 받았다. 예스럽고도 우아한 문체 속에 거침없는 성애 묘사가 소설과 역사를 읽는 묘미를 풍성하게 해줄 것이다 -

글쎄, 정말 그런지는 지금도 잘 모르겠다. 책소개에서 당당하게 말한 것처럼 고대 여성들은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것과는 많이 다른 삶을 살고 있었다. 그중에서도 진위여부에 둘러싸여있는 화랑세기는 신라의 여성들이 우리의 상상을 초월한 삶을 살았음을 알려주고 있었다. 그리고 그 대부분이 거침없는 성묘사에 대한 내용들인데 이는 신라의 사회구조와 신라의 혈통적인 기원을 파악하지 않고는 이해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북방 유목민들 사이에서는 형사처수, 일부다처를 비롯해 근친혼도 흔하게 확인되는 사항이었고 가족제도 자체가 농경민족과 다르기 때문에 우리의 일반적인 시각과는 다르게 바라봐야만 한다. 그런데다가 신라의 경우는 북방 유목민적 관습이 농경민 특유의 토착화를 이뤄냈기 때문에 마복자같은 세계사상 유례가 찾아볼 수 없는 특수한 사회구조도 갖추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 부분에 대한 이해없이 단순히 자유로운 성적 묘사를 했다고 해서 가장 자연스러운 여성의 본질, 어쩌구저쩌구 하는 것은 일견 우스운 일이 아닐 수 없었다. 적극적인 탐구 정신은 앞서 언급한대로 역사 공부를 한 흔적이 별로 확인되지 않기에 인정할 수 없으며 작가적 상상력 또한 대부분의 기본 줄거리나 대화체, 연결고리들을 화랑세기의 것을 그대로 차용했기 때문에 역시 인정할 수 없고 호방한 서사 구조는 당최 뭘 보고 그런 건지 알 수가 없었다. 예스럽고도 우아한 문체 속에 거침없는 성애 묘사만이 이 소설을 읽으면 남는 전부가 되버렸는데 그 이유는 작가적 상상력이 거의 발휘되지 않았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한다. 즉, 이 책이 세계문학상 수준이 아니라고 주인장은 생각한다.

다만, 굳이 장점을 꼽으라면 화랑세기 원서나 연구서가 어려운 사람들에게는 이 책이 상당히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다. 왜냐하면 이야기 형식으로 풀어썼기 때문에 하나의 스토리가 만들어졌고, 미실을 중심으로 그와 관계를 맺었던 모든 남자들을 하나둘씩 소개하는 형식으로 쓰였기 때문이다. 마치 삼국지 정사를 일일히 살펴보면 삼국시대 전반을 이해하는데 어렵지만 삼국지연의를 읽음으로써 각각의 인물들이 어느 시점, 어느 장소에서 활약했는지 확인할 수 있는 것과 같다. 하지만 삼국지연의는 그 안에 허구적 요소를 집어넣음으로써 소설로 그쳤는데 이 책은 삼국지연의만한 방대한 규모와 정교한 짜임새가 돋보이지 않기 때문에 그와 비교하는 것도 솔직히 우스운 일이다.

전체적으로 상당히 실망스러운 책이었다. 그리고 그게 1억원의 상금과 함께 세계문학상을 받은 작품이어서 더 실망이었던 것 같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피해망상마녀 2006-01-13 13: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절대 공감입니다 도대체 미실이 왜 대단한건지 전혀 모르겠어요 결국은 미모로 왕을 사로잡은 다른 조선시대의 후궁들하고 별반 다를것도 없어보이던데 ㅡㅡㅋ

麗輝 2006-01-27 04: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지만 미실을 조선시대 후궁들과 비교하는 것은 조금 문제가 있을 것 같습니다. 화랑세기를 통해서 본 신라 여인들은 조선시대 여인들과는 사상적인 측면에서 차원이 달랐죠. 즉, 성에 있어서 꺼리낌없었다는 것이 비록 사회적인 구조 속에서 허용되었기에 그에 따른 사상적인 면이 달랐던 것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제가 문제삼은 것은 미실이 아니라 그 표현력이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