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왕신화 - 광개토의 전설
한대희 지음 / 미르출판사 / 2007년 9월
평점 :
절판


황당무계(稽)...
책을 읽는 내내 주인장의 머릿속에 떠오른 네글자다. 어떻게 이른 소설을 쓸 생각을 했는지 궁금하기만 했다. 시중에 보면 광개토태왕에 대한 책이 요즘 많이 나오고 있는 것 같다. 물론 대부분이 소설이지만(관련 연구서는 이제 한계점에 도달한 듯 싶다) TV 드라마의 영향도 있고 이런저런 국민적 관심때문에 나오는 것이기 때문에 좋은 현상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 책을 보면서 무분별한 소설책의 난무는 정말 문제가 많다, 라는 생각을 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 먼저 제목부터가 주인장에게 어색하게 와닿았다. 광개토태왕을 두고 '신화'니 '전설'이니 하는 표현으로 나타내고 있었기 때문이다. 은연 중에 필자가 광개토태왕을 이미 전설이나 신화로 생각하고 있음을 알려주는 것이 아닐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책장을 하나씩 넘기면서 그 우려는 현실로 다가오기 시작했다. 

첫 페이지를 열자마자 주인장의 눈에 들어온 것은 바로 '해모수 장군과 다물군'이라는 단어였다. 그 뒷장에 보이는 것은 '예소야'였고 말이다. 이거 어디서 많이 봤던 단어들 아니야? 그렇다. 바로 TV에서 했던 '주몽'이라는 사극에 등장했던 단어들이다. 그것을 그대로 소설에 인용하다니. 황당했다. 역사소설을 쓴다는 사람이 TV 드라마에 나오는 내용을 인용하는 것은 생전 처음보는 일이었다. 창의력에서 마이너스 아닌가. 그리고 페이지를 계속 넘기는데 조금 이상한 생각이 들었다. 유리명왕의 태자 도절을 송씨의 아들이라고 한 점, 해명을 두고 치희의 자식이라고 한 점에서 예전에 주인장이 가졌던 생각과 비슷하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 예전에 주인장은 유리명왕의 가계에 대한 고찰을 하면서 도절을 송씨의 아들로, 해명을 화희의 자식으로, 대무신왕을 도절의 아들로 설정했던 적이 있었으며 이런 설정을 다른 연구에서는 보질 못 했다. 그런데 이와 비슷한 식의 가계 설정을 한 것을 보고 의아하기까지 했다. 생각이 비슷한건지, 아님 인터넷 검색으로 얻은 정보를 활용한 것인지 말이다. 암튼 프롤르그 내용이 왜 거기에 있어야 할까~라는 생각을 하면서 탐탁치않은 마음으로 책을 계속 읽어내려갔다.

책을 읽다보니 익숙한 내용이 나왔다. 소수림왕 시절 황후의 오라비로 정권을 장악하고 있던 국상 개연수가 등장하고, 태대형 가리치가 등장하고 하무지라는 절세 지략가가 나오고 이래저래 많이 보던 책에서 나온 내용과 똑같은 내용들이 나오고 있었다. 바로 정립이란 사람이 쓴『광개토대제』라는 소설에 나온 내용이었다. 그런데 이 책에서 그대로 그 내용이 반복되고 있었던 것이다. 유현종이 쓴『연개소문』이라는 소설의 내용을 이후에 나오는 소설들이 모두 답습하고 있는 것과 같은 현상이었다. 특히나 광개토태왕 시절에 대해 쓴 소설로는 정립의 것이 거의 유일한 상태에서 그것을 베껴쓴 소설이 또 있다는 것 자체가 놀라웠다. 나중에 알고 경악을 금치 못 했지만 이 책의 필자는 참고문헌으로 정립의 책을 거론하고 있었다. 세상에 역사소설을 쓴다는 사람이 다른 소설을 참고문헌으로 참고하는게 가당키나 한단 말인가. 역사자료도 아니고 말이다. 참고로 말하지만, 정립의 책을 읽으면서 그가『후연서』라는 사서를 인용했다는 글을 보고 할말을 잃었었다. 그런 엉터리 소설이 있다는 것도 안타까웠지만 그 소설이 광개토태왕에 대한 거의 유일한 소설이라는 것이 더욱 안타까웠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내용은 점차 읽는 이로 하여금 눈살을 찌푸리게 했다. 정립의『광개토대제』이후로 우리나라는 황제, 천자라는 표현에 굉장히 민감해졌고, 광개토태왕보다 광개토대제라 부르길 원했다. 또한 광개토태왕이 어렸을때 굉장히 험난한 여정을 거쳐 어렵게 어렵게 왕위에 올랐다는 내용을 전하면서 당시 고구려의 왕권이 상당히 약했다는 설정을 고수했다. 더불어 후연이라는 나라와 후연의 모용수라는 인물을 크게 부각시켜 그런 강력한 나라를 상대로 싸워 이긴 고구려가 정말 대단하다는 식으로 이야기를 풀어나갔다. 하지만 다들 알다시피 후연은 전연에 비해 국세가 굉장히 약한 나라였었다. 그 설정 자체가 주인장에게는 상당히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것이었는데 이 책에서는 그것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었던 것이다. 뻔뻔스럽게 말이다. 

게다가 실제 역사를 왜곡시킨 구성도 그렇고 황당한 내용들도 어이가 없었다. 불교 도입으로 인해 고구려의 상무정신이 약화되었다는 것도 그렇고, 고구려의 왕실이 4세기 중후반 약했다는 것도 그렇고, 후연이니 백제니 30만, 40만 대군을 우습게 모집해 전쟁을 벌이는 것도 어이가 없었다. 인터넷에 떠도는 만화나 소설보다도 못한 내용들이 버젓히 책으로 쓰여 나왔다는 것 자체가 황당했다. 그리고 이 책을 보면서 황당하다는 얘기를 주변에 했더니 누가 하는 말이...나는 책을 많이 봤으니 이런 걸 알지만 모르는 사람은 모르고 아~이게 진짜 역사구나, 라고 느낄 것이라고 말이다. 순간 움찔했다. 정말 그러면 어떡하지? 이 책 한권으로 인해서 얼마나 많은 사람이 잘못된 사실을 알고 믿을까...하는 생각이 절로 들었다.

인터넷 정보와 각종 소설들을 짜집기한 황당한 소설책. 게다가 책 뒤에는 참고문헌이라고 10권 남짓한 책들이 적혀 있었는데, 다시 한번 말문이 막혔다.『삼국사기』번역본이야 그렇다치고『상고사의 새 발견』과 같은 책은 대륙삼국설이 적힌 책인데 그런 책을 참고한 소설책이니 그 내용이야 볼짱 다 봤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거기다가『소설 일본서기』까지. 분명 신영식 선생님 책이나 김철준 선생님의 책을 참고했다고 적었음에도 불구하고 책에는 그런 내용들이 전혀 반영되어 있지 않았다. 비주류의 조합물이라고 할까? 아니, 비주류라기 보다는 자료같지 않은 자료들을 짜집기한 소설책이라는 생각밖에 안 들었다. 광개토태왕의 모든 업적을 신화니, 전설 따위로 그럴듯하게 포장해서 잘못된 생각을 갖고 쓴 책이 바로 이 책이었다. 필자는 단순히 광개토태왕을 중원대륙을 미처 제패하지 못한 제왕, 대륙의 정벌자로서 최강자였던 인물로만 기억하고 있었다. 아직도 이런 80년대 사고방식을 갖고 책을 쓰는 사람이 있다는 것이 황당할 따름이다.

별을 준다면 빈 별 반개 주기도 아까운 책이다. 주인장은 왠만하면 어떤 책이든 읽으면 단 한개의 자료라도 얻을 수 있다고 말하는데 이 책에서는 정말 그런 부분이 전혀 없었다. 이 책을 출판한 출판사야 그렇다치고 이 책을 앞으로 읽게 될 독자들에게 저자는 죄송한 마음을 가져야만 할 것이다. 최소한의 양심이 있다면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