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전쟁의 나라 - 7백 년의 동업과 경쟁
서영교 지음 / 글항아리 / 200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 고대사학자 중에서 보기 드문 전쟁사학자이자 전쟁 관련 다큐멘터리를 100기가 바이트 이상 소장하고 있다는 저자에 대한 소개. 지금까지의 저자 소개와 다른 듯 해서 눈길을 끌었다. 주인장도 전쟁 관련 영화나 다큐멘터리를 300기가 가량 보유하고 있기에 1000기가 바이트가 어느 정도 분량인지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고보니 우리나라에는 전쟁사학자 혹은 전쟁고고학자가 거의 없는 것이 사실이다. 물론 전쟁사 혹은 군사사 관련 저서가 아예 출간이 안 되는 것은 아니지만 전공자라 불릴만한 학자가 적은 것은 사실이다. 그렇기에 이 책은 출간 당시부터 언론의 주목을 상당히 끌며 인터넷 서점 사이에서 적지 않은 광고가 났었다. 당연히 주인장도 출간되자마자 덜컥 사서 읽어봤다.

저자는 일단 고구려의 중장기병에 대한 오해로 운을 떼고 있다. 중장기병이 널리 알려진 것처럼 그리 강력한 병종이 아니라는 사실을 말이다. 이미 오래전부터 중장기병에 대한 진실과 오해가 널리 회자되고 있는만큼 다소 진부한 소재가 아니었나 싶었다(물론 한번쯤은 짚고 넘어갔어야 했지). 오히려 중장기병이 왜 그 당시에 갑자기 주목받으며 폭발적으로 인기를 끌었는지를 전쟁史적인 관점에서 다뤄줬으면 어떠했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어쨌든, 저자는 고구려하면 가장 먼저 떠오를법한 중장기병을 언급하면서 앞으로 어떻게 글을 써야할지를 암시하는 듯 했다. '기존의 상식을 뒤엎어버리겠다'는 식의 암시를 말이다. 

책의 제목만 주욱 봐도 알 수 있듯이 저자는 이번 책에서 고구려와 유목세계의 관계, 고구려의 유목국가적 요소에 주목해 글을 써내려가고 있었다. 선비족과의 지루한 공존과 대립, 삼연과의 관계와 북위와의 대립구도, 돌궐과의 관계 및 수-당과의 전쟁 등 일관되게 유목세계와의 관계를 정립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이는 아마도 유목세계가 갖는 기병군단의 위력을 고구려와 등치시켜 소개하기 위해서가 아닐까 싶다. 아니나다를까 저자는 자신이 특히 많이 참고한 책을 머리말에 소개하고 있었는데 노태돈 선생님의『고구려사 연구』와 부락성의『중국통사(상)』을 제외하고는 모두 유목세계를 다룬 책들이었다. 잠깐 소개하자면 이재성의『고대 동몽고사 연구』, 지배선의『중국동북아세아사 연구-모용왕국사』, 스기야마 마사아키의『유목민이 본 세계사』, 잭 워터포드의『칭기즈칸, 잠든 유럽을 깨우다』, 르네 그루쎄의『유라시아 유목제국사』등이 그러하다.

하지만 여기서 저자는 중대한 실수를 한 듯 싶었다. 예전에 지배선 선생님의『고구려 · 백제유민 이야기』를 보면서도 느꼈듯이 저자는 고구려를 유목국가로 인식하고 있는 듯 했다. 김용만 선생님의『고구려의 발견』에서 '정착형 기마민족'이라는 표현이 등장하는데 여기에서 알 수 있듯이 고구려는 다양한 족속과 다양한 생업경제를 보유한 민족이 살고 있는 국가였다. 즉, 고구려에 있어 유목국가적 요소는 전부가 아닌 일부라는 뜻이다. 그런데 이 책에서 저자는 마치 유목국가적인 요소가 고구려의 전부인양 언급하고 있다. 고구려가 농경을 중시한다고, 혹은 장창으로 무장한 대기병용 보병부대가 존재한다고 해서 고구려의 역사가 바뀌는 것은 아니다. 고구려에는 기병만 있었던 것도 아니며 반드시 유목세력과의 관계성만 강조할 필요도 없는 것이다. 하지만 저자는 다소 기울어진 시각으로 고구려사를 바라본 것이 아니었나 하는 아쉬움이 남았다. 

고구려의 초기 경제활동이 약탈경제였다는 것은 주인장도 인정한다. 그럴 수 밖에 없는 자연환경 속에서 고구려인들은 생존해야만 했고, 그러기 위해서 강하게 체력을 기르고 전투기술을 연마하며 잦은 전투 속에서 살아남았던 것이다. 하지만 고구려인들은 평생을 그렇게 살지 않았다. 그리스뿐만 아니라 페르시아까지 벌벌 떨게 만들었던 강력한 군사강국 스파르타와 고구려인은 다르다. 스파르타가 아무리 그리스 문화의 패자라 하더라도 일개 도시국가에 불과했다면 고구려는 훗날 제국으로 발돋움한 국가였다. 유목국가와 같은 약탈경제와 상업활동으로만 국가가 운영되기 힘들다는 소리다. 늘어난 인구와 정착문명을 통해서 고구려는 국경을 유지 혹은 확대하며 영토를 보존해야만 했다는 의미가 된다. 그런 고구려에 있어 농경의 중요성을 제외시킨다는 것은 안 될 말이다. 하지만 저자는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가장 중요한 그 부분을 거의 고려치 않았다. 

3세기 관구검의 침입을 받아 도성이 초토화되고 4세기 모용씨의 전연에게 다시금 도성이 초토화된다. 그 원인을 저자는 고구려 문명의 원시성에서 찾고 있다. 다시 말해 유목국가적 요소의 하나로서 도시, 성곽, 정착형 경제기반 등이 고구려에 부족했기에 금새 힘을 회복했다고 말하는 것이다. 하지만 그게 정말 사실일까? 하지만 그 말은 유목세력은 거대한 성곽도시나 도성을 갖추지 못 했다는 잘못된(?) 상식에 근거한 듯한 단정적인 주장에서 비롯된 것이 아닐까 싶다. 그렇기에 저자는 고구려의 산성을 농성장이 아닌 기병의 격납고 정도로만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산성을 기병이 운용되는데 필수적인 요소로 본 것이었다. 공성전이 아닌. 그러면서도 저자는 뒷부분에 안시성 전투를 언급하면서 공성전의 중요성을 다루고 있었다. 아이러니 아닌가. 공성전은 기본적으로 보병이 주축이 되어 진행되는 전쟁 방식이며 기병은 공성전에서 보조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로마 보병군단의 포위 섬멸전과 공성전이 가장 대표적인 예일 것이다. 그럼에도 저자는 너무 기병과 유목세계적 요소만 강조한 듯 싶어 아쉽다.

그러다보니 3~4세기에도 고구려가 '원시적'이라는 말을 들어야만 했던게 아니었나 싶다. 게다가 저자는 여러 전투 장면에 대해 지극히 주관적인 생각을 정리하는데 급급해 그에 대한 여러 연구성과를 소개하지 않고 있었다. 비류수가에서 패한 동천왕의 철기에 대한 언급도 그러하거니와(동천왕의 철기도 그렇다. 이는 동시기 다른 국가보다 이른 철기의 등장인데 이 부분에 대해서 저자는 함구하고 있다) 주필산 전투와 안시성 전투에 대한 부분도 그러했다. 물론 저자의 일관된 주장에 따라 글을 쓰는 것은 당연하다 하겠지만, 다른 연구성과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과정이 빠져 있어 설득력이 약해진 것은 어쩔 수 없었다. 그렇기에 이 책은 고구려 전쟁사에 대한 종합적인 개설서라기 보다는 저자 개인적인 저서로만 그칠 수 밖에 없지 않나 싶다. 

고구려는 분명 쉼없이 전쟁을 치뤄온 국가였으며 그 전쟁을 통해서 성장하고 단련되어온 국가였다. 그렇다고 성장의 원동력에 전쟁이 전부였던 국가도 아니었다. 하지만 저자는 그 부분을 놓친 것 같았다. 마찬가지로 고구려가 초기 수렵 혹은 유목생활을 하며 약탈경제체제를 유지했던 것은 사실이지만 멸망기까지 그러했던 것은 아니었다. 다양성이야말로 제국이 갖는 특징. 그것은 역시 고구려에도 해당되는 말이었다. 그런데 저자는 그 부분 또한 놓친 것 같았다. 그러다보니 당연히 해석에 자의적인 부분이 들어갈 수 밖에 없었고, 기존의 다양한 연구성과를 무시(?)할법한 해석도 소개되었던 것이 아니었나 싶다. 분명 저자가 야심차게 준비해서 내놓은 책이지만 비판받을 소지가 크기에 주인장 개인적으로 아쉽다.

하지만 이 책이 그리 잘못된 부분만 있는 것은 아니다. 먼저 주인장이 이 책에서 가장 눈여겨 본 부분은 2가지였다. 첫째는 북연을 둘러싼 북위와의 대립 과정을 굉장히 자세하게 그리고 있다는 점이다. 기존의 다른 책에서는 다루지 않았던 부분인데 저자는 북위의 실권을 쥔 풍태후와 장수태왕의 대립구도라는 설정 속에서 북연-북위-고구려의 관계를 새롭게 해석하고 있었다. 그러고보니 북위의 납비 사건이 보다 잘 이해가 되었다. 하지만 고구려와 북위의 국제 관계를 너무 사료 그대로 해석한 면은 좀 성급하지 않았나도 생각해 보았다(이는 훗날 최유의 안원왕 구타 사건에 대해서도 적용된다). 어쨌든, 당시 조공기사만 가득한 북위-고구려 관계사에 대해서 색다른 해석을 내놓았다는 점에서 주목할만 하다고 생각한다. 단, 이 부분이 이 책의 근본적인 주제인 '전쟁'과 그다지 큰 연관이 없다는 것은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고구려의 전마 생산과 유목민(6장) 부분은 이 책에서 주인장이 가장 주의깊게 봤던 부분인다. 온달전을 토대로 복원한 고구려 국마 관리 체제가 그러했다. 국마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보게 되었으며 막연히 고구려에도 국마를 생산하는 목장이 있었겠지~정도에서 그치지 않고 더 많은 것을 고려해보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환경이 지나치게 달라지면서 수입산 말이 죽을 가능성이 높아졌으며 단순히 국마(전마)는 훈련하는 것이 전부가 아니라 환경에 적응시키는 것도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남조 송나라에서 고구려에서 말 800필을 수입해갔다는 것도 저자는 환경에 적응된 말이라는 새로운 해석을 내놓았는데 이 역시 주목할만한 견해라고 생각했다. 그러고보니 이런 부분에서 그동안 간과하고 있었던 면이 많았는데 이 책을 통해서 다시금 생각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다. 아마 이런 해석은 저자가 고구려와 유목세계적인 요소를 강조하지 않았으면 나올 수 없었을 것 같기도 했다. 

어쨌든, 여러 장단점을 갖춘 이 책은 고구려 전쟁사라는 관점에서 보면 분명 의의가 있다 하겠다. 하지만 너무나 불완전한 책이 아닐 수 없다. 쉽게 이 책의 견해들을 인용하거나 받아들이는데도 꺼려질 정도로 말이다. 하지만 다소 파격적인(?) 주장들을 내놓은 책인만큼 한번쯤 읽어보기를 권한다.

댓글(9)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김지원 2007-11-20 12: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모든 것이 다 언급된 백과사전을 원하시는 것은 아닌지요

고구려에 대한 환상이 있는 것은 아닌지요

책을 자세히 읽어 보세요. 유목민과 수렵민은 상당히 다른 개념입니다.
고구려인들은 척박한 숲속에 살아가는 수렵민입니다. 유목민은 풍요로운 초원에서 살아가지요
동천왕의 '철기'는 중장기병이라기 보다 날랜 효기입니다. 같은 기록을 하고 있는 신당서, 구당서 2개를 비교하면 구당서에서 철기지만 신당서에서 효기로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자치통감에도 그렇습니다.
중장기병의 강력함에 대하여 체험을 하시는 것이 좋을 듯도 하구요. 가장 쉬운 것은 무거운 옷을 입고 발목에 쇠를 감고 산을 오르시면 됩니다.



麗輝 2007-11-20 18:18   좋아요 0 | URL
고구려에 대한 환상이라. 글쎄요. 어떤 부분을 말씀하시는건지.

먼저 유목민과 수렵민은 분명 다른 개념이며 그것은 이 책보다는 다른 책들에 더 자세히 나와있죠. 심지어 같은 유목민 중에서도 수렵민으로 분류가능한, 혹은 수렵민과 상당부분 생활풍습이 겹치는 집단이 있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하자노프 선생님이 쓰고 김호동 선생님이 번역한『유목사회의 구조』라는 책에 오히려 자세히 나와있습니다. 암튼 이는 넘어가도록 하죠.

저는 개인적으로 고구려인들의 전신인 부여인, 그의 전신인 고리국(혹은 탁리국)인들이 어떤 경제체제를 지니고 있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부여야 동방에서 가장 넓다란 대지를 가졌고 오곡을 생산했다니 농경이 중요한 생업경제였겠지만 분명히 수렵과 유목도 병행했을 겁니다. 마찬가지로 고리국도 그랬을 것이며 고구려인도 그랬을 겁니다. 단, 지형적인 조건상 부여와 달랐던 고구려인들은 초반에는 수렵과 유목 등의 비율이 높았겠지만, 만주와 요동, 한반도 일대를 확보한 뒤에는 농경의 비율도 높아졌다고 생각합니다. 즉, 님 말씀처럼 고구려인들을 두고 척박한 숲속에 살아가는 수렵민이라 단정하는 건 무리라는 것입니다. 이미 기원전후한 시기에 만주 일대에서 철제보습 등의 유물들이 확인되고 있습니다. 농경의 증거지요. 그것이 고구려인이든 고구려의 전신이든 말입니다. 그 지역에서 이미 농경이 시행되었던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동천왕이 동원한 철기 5천에 대한 기록은『삼국사기』에 "乃領鐵騎五千, 進而擊之"라고 적혀있으며(참고로 삼국사기에 鐵騎라는 표현은 단 2번 나오며 나머지 1번은 견훤 열전에 등장합니다), 님이 말씀하신『구당서』,『신당서』에서도 한번 검색해봤습니다. 일단 양당서의「고구려전」에서는 '鐵騎'라는 단어가 검색되지 않더군요. 그래서 본기를 검색했더니『구당서』에서 13번,『신당서』에서 6번 검색됐지만 동천왕의 철기 5천에 대한 기사는 아니더군요. 또한『신당서』에서는 驍騎로도 검색했는데 13건이 나왔지만 동천왕에 대한 기록이 아니었습니다. 마지막으로『자치통감』도 한번 봤습니다. 효기로 검색했더니 73건 중 대부분이 '효기장군' 혹은 '효기교위'라는 관직명만 나오더군요. 철기는 36건이 검색됐는데 관구검의 고구려 침공 기사를 봤지만 동천왕(位宮)이 철기 5천을 동원했다는 기록 없이, 관구검의 토벌 내용만 나와있더라고요. 관련 기사는 다음과 같습니다. "幽州刺史毌丘儉以高句驪王位宮數爲侵叛,督諸軍討之;位宮敗走,儉遂屠丸都,斬獲首虜以千數. 句驪之臣得來數諫位宮,位宮不從,得來歎曰:“立見此地將生蓬蒿.”遂不食而死. 儉令諸軍不壞其墓,不伐其樹,得其妻子皆放遣之. 位宮單將妻子逃竄,儉引軍還. 未幾,複擊之,位宮遂奔買溝."

『四庫全書』를 검색했는데도 별다르게 찾아볼 수 있는 자료가 없었습니다. 이 부분은 제가 잘 몰라서 그러니까 나중에 님께서 다시 한번 자료를 제시해주시거나 가르침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특히 동천왕의 철기를 중국측 사서에서는 효기라고 표기해놨다는 내용은 처음 듣는 거니까 꼭 좀 알려주셨으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차후에 제 공부에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으니까요. 아~그리고 님께서 따로 동천왕의 철기를 효기로 판단하는 근거도 같이 말씀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중장기병의 강력함에 대해서 왜 체험을 해 보라고 하시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제가 위에서 중장기병은 강력하지 않다고 말했던 적은 없었던 듯 한데요. 암튼 뭐...중장기병의 강력함을 알아보는데 님이 제시한 방법은 큰 도움이 안 될 듯 합니다. 무거운 옷을 입고 발목에 쇠를 감는다고 뭐가 달라지겠습니까. 오히려 그렇게 입힌 말을 타보는 것이 낫겠죠. 중장기병은 4~5세기 무렵 동아시아에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병종입니다. 그리고 그 위력을 발휘하죠. 하지만 전 그 파괴력에 주목하는 것이 아니라 그렇게 군사편제가 변화하는 원인과 주변 환경을 알아보는 것이 더 중요하지 않나 싶었던 겁니다. *^^*

알라딘에서 이렇게 제 비평에 대해 토론한 적도 처음이네요. ^^ 언제 한번 제 까페 한번 들리세요. 다음의 뿌리아름역사동아리(http://cafe.daum.net/yeohwicenter)라는 곳입니다. 아~마지막으로...저는 모든 것이 다 언급된 백과사전을 원하는 것이 아닙니다. 최소한 전쟁사가의 눈으로 고구려를 바라봤다면 그에 상응하는 내용들을 담고 있어야 한다는 말입니다. 그런데 저자는 오히려 유목세계와의 관련성 여부를 더 중시했던 것 같습니다. 즉, 거시적으로도, 미시적으로도 고구려 전쟁사에 대해 표현하는데 미흡했다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

그럼 이만~*^^* (제 비평에 관심가져 주셔서 감사합니다)

김지원 2007-11-23 15: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사가의 눈으로 본 고구려 상응하는 내용은 무엇인지요.

직접 고구려 전쟁사를 집필하실 만큼 유식하세요.

단점이 많은 책이 나왔으니 하번 써보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오해가 있었나 보내요 중장기병이 강하다고 하지 않았습니다. 님께서 철을 두르고 말에 철갑을 입히고 행군을 해보시면 됩니다. 겨울에는 춥고 여름에는 스팀을 받을 것입니다. 님께서는 말과 기수가 하중을 느끼지 않은 터미네이트 싸이보그로 보고계신게 아닌지요

한문을 잘하시니까. 762년 구당서 복고회은 전을 보면 많은 것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여기서 반란군 사조의의 10만 철기가 당조정이 동원한 회흘의 유목민 기병 3000정도에게

전멸당한 사실이 있습니다.

저는 사학과를 다니는데 논문을 보다가 알게되었습니다

1241년 유럽의 중장기병이 몽골 유목기병에 전멸한 것을 설명해 주세요.

몽골인들은 유럽인들이 지치기를 기다렸다지요.

중장기병이 4-5세기에 폭팔적으로 증가했다는 증거가 어디있습니까. 저도 알고 싶내....

고구려 벽화에도 1/10를 넘지 않는데..............

중장은 말위에서 활을 쏠 기예가 없는 말탄보병들이나 하는 것입니다.

麗輝 2007-11-24 17:56   좋아요 0 | URL
음냥...위의 세줄은 그냥 해보신 말씀이겠죠? 흐음.
저는 그냥 학생일 뿐입니다. 책이라니요. 당치도 않지요.
하지만 이 정도 주제라면 앞으로 책을 쓸만큼 매력적이겠죠.

그리고 중장기병은...강력하지 않다고 하신 거였나요??
흠. 그럼 제가 잘못 이해했네요. 이 세상에 절대적으로 강력한 병종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럼에도 사람들은 중장기병에 주목하죠. (저자가 지적했듯이) 왜 그럴까요? 그건 실제로 중장기병을 활발하게 활용했던 시기가 있었기 때문이지요. 방진을 이룬 장창병에 약하고 움직임도 둔하고 유지비도 많이 드는데 어째서?

극도로 증가시킨 방어력에 그 원인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여러 전쟁사가들이 말하길 방진을 이루고 기병대에 맞서는 보병은 엄청난 용기와 인내를 필요로 하며 그것은 오랜 훈련을 통해서만 발휘될 수 있다고 하지요. 또한 방진을 이루고 기병대를 맞서면 이탈하고 싶은 보병을 쉽게 통제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이래저래 중장기병에 맞서 싸운다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지요. 어쨌든, 중장기병은 님이 말씀하시는 단점에도 불구하고 분명히 운용되었고 한 시대를 풍미했던 병종이었습니다. 왜 그랬을까요? 그걸 생각해보는 것도 재밌겠지요. (아~그리고 저는 돈이 그리 많지 않아서 말에 철을 두르고 실험을 할 여건이 안 되네요. 아마 저자도 그랬을테고요. ^^)

단, 중장기병은 단독으로 나선 작전에서는 취약할 수 밖에 없습니다. 사조의의 10만 철기가 3000의 회흘 기병에게 전멸당했다고 하셨죠.『구당서』권121「열전」제71〈僕固懷恩〉전을 보니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네요. 아~참고로, 사학과 다니신다고 하셨는데, 저는 고고학과를 다닙니다. 아마 한문 해석 능력은 제가 더 떨어질 듯 하네요. ^^

十月, 詔天下兵馬元帥雍王為中軍先鋒, 以懷恩為副, 加同中書門下平章事, 領河東、朔方節度行營及鎮西、回紇兵馬赴陝州, 並令諸道節度一時齊進. 懷恩與回紇左殺為先鋒, 觀軍容使魚朝恩、陝州節度郭英乂為後殿, 自澠池入;陳鄭節度李抱玉自河陽入;河南副元帥、雍王留陝州. 懷恩等師至黃水, 賊徒數萬, 堅柵自固. 懷恩陣於西原上, 廣張旗幟以當之, 命驍騎及回紇之眾傍南山出於東北, 兩軍舉旗內應, 表裡擊之, 一鼓而拔, 賊死者數萬. 朝義領鐵騎十萬來救, 陣於昭覺寺, 賊皆殊死決戰, 短兵既接, 相殺甚眾. 官軍驟擊之, 賊陣而不動. 魚朝恩令射生五百人下馬, 弓弩亂髮, 多中賊而死, 陣亦如初. 鎮西節度使馬璘曰:「事急矣!」遂援旗而進, 單騎奔擊, 奪賊兩牌, 突入萬眾之中, 左右披靡, 大軍乘之而入, 朝義大敗, 斬首一萬六千級, 生擒四千六百人, 降者三萬二千人.

762년 당 대종이 즉위하면서 그해 10월, 장남인 옹왕 이적을 천하병마원수로 삼고 복고회은으로 하여금 보필하게 하네요. 그리고 님 말씀대로 (사)조의는 철기 10만을 보유하고 있었고요. 그런데 회흘의 유목민 3천기 얘기는 없는 것 같습니다. 암튼, 전멸에 가까운 패배를 당했네요. 16,000명이 죽고 4,600명이 포로로 잡히고 32,000명이 항복했다 하니 大敗라고 표현될 만합니다(53%에 가까운 손실입니다). 이 부분은 제가 더 자료를 찾아봐야겠지만 복고회은의 기록만으로는 당시 정황을 자세히 알기 곤란할 듯 합니다. 이 부분은 어떤 논문을 보셨는지 알려주시면 제가 한번 확인해 보겠습니다.

그리고 몽골인들에게 전멸당한 중장기병...아까 위에서 언급했지만 유럽의 기사는 다른 기마대와 공조해서 작전을 벌이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중세시대 유럽에서 오랜 지위를 누려왔던 기사들은 대개 돌격에 의한 충격으로 적 보병을 분쇄하죠. 하지만 그것도 아쟁쿠르 전투 이후에는 불가능해집니다. 위세가 많이 꺾였죠. 하지만 동시대 동양에서는 그보다 훨씬 다양하고 융통성있는 기병 운용 전술을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유럽과 질적으로 달랐죠.

몽골기병의 전광석화같은 전술에 느려터지고 무거운 갑주로 무장한 유럽의 기사는 속소무책으로 당했을 겁니다. (님 말씀대로 지치기를 기다린 것도 있지만 공수의 빠른 전환과 騎射의 가능 여부도 큰 영향을 미쳤죠) 물론 몽골 역시 중장기병과 경기병을 보유하고 있었고요. 이는 고구려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제가 알기로 중장기병만 갖고는 충분히 전장에서 그 위력이 발휘되지 않는다고 알고 있습니다만...

즉, 김지원님은 중장기병이 그닥 잘난 병종이 아니다라는 저자의 말씀에 동의한다는 말씀이신 거군요. 이번에는 제가 맞게 이해했나요? 저 역시 그에 동의합니다. 하지만 중장기병이 갖는 장점을 무시하면서까지 그런 평가를 내릴 필요는 없을 듯 하네요. 보니까 저자도 장점은 인정하되 사람들이 너무 장점만 보니까 단점도 같이 봐야 한다~즉, 사고의 전환을 꾀해야 한다라는 말을 하고 싶었던 것 같던데요. 그리고 저는 장, 단점은 물론이고 중장기병이 유행했다가 인기를 잃는 과정까지도 알아야 한다고 말했던 것이고요.

마지막으로 중장기병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는 증거. 노태돈 선생님의『고구려사 연구』에서는 등자 수용과 맞물려 기병의 양적 증가가 이뤄졌다고 하십니다. 즉, 말을 잘 탈줄 모르는 한족을 대거 점령한 유목제국들(삼연과 북위 등)이 넓어진 영토에 발맞춰 군대의 규모를 증가시키다보니 등자가 필요하게 됐고, 그 과정에서 기사가 아닌 단순 돌격에 의한 중장기병이 육성되기 시작했다고 보신 거죠. 충분히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와 달리 이용범 선생님은「고구려의 요서 진출지도와 돌궐」에서 고구려가 유연의 철공으로 성장한 돌궐과의 대립에서 보다 개선된 무기와 마구의 필요성으로 등자를 발명해 중장기병을 활용했다는 설을 제기하고 계십니다.

즉, 님 말씀대로 중장기병은 말 위에서 활 쏠 줄 모르는 병종입니다. 창 들고 냅다 뛰는 애들이죠. 그런데 왜 애들을 많이 만들었을까? 그건 바로 기병은 필요한데 탈 줄 모르는 놈들만 있으니 그런 현상이 일어났던 것입니다. 그러다보니 등자도 만들어야 하고, 돌격만 하니 갑옷도 잔뜩 늘려야 했겠죠. 참고로 중장기병은 등자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고구려의 경우 등자 없이도 중장기병을 운용했습니다. 즉, 이들은 후대에 증가하는 중장기병과 질적으로 달랐다고 봐야겠죠. 이는 벽화고분에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등자없는 중장기병들이 많으니까요.

또 고구려 벽화에서 전체 병종의 1/10이 넘지 않는다고 하셨죠. 맞습니다. 하지만 여기에서 생각해볼 부분이 있지요. 일단 벽화의 군대 사열이 의장대를 대상으로 한건지 실제 출정을 하는 부대에 대한 것인지 알 수가 없습니다. 아시겠지만 이 차이는 상당히 큽니다. 그러니 벽화 자료가 중장기병에 대한 주자료로 활용되기는 힘들 듯 합니다.

다만, 4세기 중엽의 안악3호분, 4~5세기의 약수리고분, 5세기초의 덕흥리고분을 보면 모두 중장기병이 등장하고 있으며 특히 고구려 벽화고분 양식의 변천을 규명해주는 연결고리로서 중요한 가치가 있는 약수리고분에는 왕릉으로 추정되는 안악3호분과 비교했을때 중장기병이 무려 4명이나 더 등장해 12명까지 그려지고 있음을 알 수 있죠. 약수리고분이 만들어질 무렵이 바로 중장기병의 운용 범위 확대와 맞물려 고구려의 영토 확장이 이뤄지는 시기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똑같이 중장기병 12명이 그려진 약수리고분과 덕흥리고분의 주인공들은 모두 광개토태왕의 신하들 무덤으로 봐야할 것이고 이처럼 고분벽화를 보면 고구려의 영토 확장으로 인한 새로운 자원과 인력 확보, 그리고 중장기병 생산이 제철산업과 어떤 연관성을 갖고 있는지 알 수가 있습니다.

중장기병 관련해서 제가 참고하는 논문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金斗喆, 2000,「韓國 古代 馬具의 硏究」, 동의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성태, 2001,「高句麗 兵器에 대한 硏究」,『高句麗硏究』12.
徐榮敎, 2003,「高句麗 壁畵에 보이는 高句麗의 戰術과 武器-기병무장과 그 기능을 중심으로」,『고구려연구』17.
徐榮敎, 2004,「고구려 騎兵과 鐙子-高句麗古墳壁畵 분석을 중심으로」,『歷史學報』181.
이인철, 1996,「4~5세기 고구려의 남진경영과 중장기병」,『군사』33.

이상입니다. 답변이 되셨길 바랍니다.

p.s) 그나저나 제 질문에는 답변을 안 해주시고...쩝...-.-;;

김지원 2007-11-28 16: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1. 물어보신 관련 논문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서영교,「高句麗 중장기병에 관한 제문제」『학예지』13, 육사 박물관 2006입니다. 이 논문을 보시면 충분히 제가 말했던 의도를 아실 것입니다. 기사에 능한 유목민이 어떠한 존재인지 말입니다.
고고학 하시는 분들은 기수나 말의 역량(맕타고 활쏘는 기사와 창술- 이를 받쳐주는 잘 훈련된 말)에 대해서는 생각이 없는 것 같아요 쇠만 만이 나오면 증거로 충분히 여겨요. 물질적인 시각이에요. 인간의 기예에 대한 고려가 부족합니다. 그리고 말이 얼마나 영리하고 어떠한 종자이며 어떠한 훈련을 받아야 효율적인 말입니다. 무게를 견디고 얼마나 행군을 할 수 있으며, 얼마나 먹는지 생각하셔야 합니다.


2, 안악3호분벽화 덕흥리 벽화 외에 등자의 연대를 알려주는 문헌자료가 없는 것은 아시지요. 발굴된 고고학자료로는 연대측정 쉽지 않아요/ 고고학자들 사이에도 편차가 워낙 거대하니까요. 벽화자료가 중요하지 않다는 말씀은 이해가 되지 않아요. 안악 3호분이 왕릉이라니? 동수 묘입니다. 잘아시는 분이.......?.

3, 앞으로 위에서 님께서 제시한 논문 정말 읽어보신 것입니까. 좀 꼼꼼히 보셨으면 합니다. 님이 제시한 위의 논문 들 가운데 모든 답이 있어요.

그리고 질문이 있습니다. 중장기병을 동원해서 내몽골로 원정을 간다면 어떠할 까요.(광개토왕?) 님께서는 항상 갑옷을 걸치고 행군을 하실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쇠를 좋아하시니까요.

麗輝 2007-11-28 19:24   좋아요 0 | URL
1. 아. 육사박물관 논문이었구나. 흐음. 어쩐지 못 찾았다 했네. 감사합니다. 한번 찾아볼께요. 육사박물관 논문은 제가 본 적이 없어서요. 그런데 전 기사에 능한 유목민이 어떠한 존재인지에 대해서 토론을 하고자 했던 것이 아니었는데요. 다만 그 원문기사가 소개된 논문이 궁금했을 뿐입니다. 아~혹시 육사박물관에서 나온다는『학예지』논문을 pdf로 구하셔서 보시는 건가요? 그럼 좀 자료 공유를 부탁드려도 될런지. ^^;

으음. 맞습니다. 고고학 연구자들은 그런 부분에 대해 아무래도 사색을 많이 하는 편이 아니지요. 그런 부분은 문헌사학에서 많이 하는 편이고요. 그렇다고 철기가 많이 나오면 충분하다고 여기지도 않습니다. 일단 철기가 많이 나오면 좋지만 보존처리에 상당한 시일이 걸려서 보고서로 발간될 정도로 자료화하려면 많은 노력과 자금이 들어가거든요. 암튼 철기가 많이 나오면 일단 그에 대해서 적절한 해석을 내리죠. 철기가 어떤 유구(주거지인지, 대장간인지, 고분인지 등등)에서 나왔는지도 중요하니까요.

그건 저도 동의합니다. 뭐 고고학사 책 보면 신고고학이나 탈과정주의고고학이니 떠들지만 아직 우리나라 고고학계는 전통고고학을 이제 막 벗어나려는 단계니까요. 그래서 저도 그러지 않으려고 노력 중이고요. 인지과정주의고고학적인 시각이 많이 필요할 듯 합니다. 하지만 님이 말씀하시는...말이 얼마나 영리하고 어떠한 종자이며, 어떠한 훈련을 받아야 효율적이며, 무게를 견디고 얼마나 행군을 할 수 있고, 얼마나 먹는지 등등을 종합적으로 연구한 연구성과가 있습니까? 전 이번에 서영교 선생님 책에서 그런 부분을 조금이나마 다룬 것이 굉장히 획기적이라고 생각하는데요. 혹시 이 책 말고 다른 자료에서도 그런 부분을 다룬 연구성과가 있는지 알고 계시다면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예전에 마사회에서 나온 관련자료들을 보긴 봤지만 님이 말씀하시는 것처럼 종합적으로 정리한 연구성과는 없는 것 같더라고요.

2. 등자는 안악3호분, 덕흥리고분의 기병그림에 있다? 제가 지금 도록을 다시 봤는데 두 고분은 비록 명문덕분에 연대를 알 수 있지만 발 있는 부분을 아무리 살펴봐도 등자는 확인되지 않고 있습니다. 혹시나 제가 잘못 봤나 싶어서 서영교 선생님의「고구려 기병과 등자-고구려고분벽화 분석을 중심으로」을 보니 안악3호분, 약수리고분, 덕흥리고분에는 등자를 착용한 중장기병이 없다(44p 마지막 문단)고 하시네요. 제일 처음 나온 곳은 5세기 초,중반 경인 장천 1호분의 수렵도일 가능성이 높다고 하시는군요(42p 첫문단).

제가 알기로 가장 널리 알려진 등자(중장기병 도입과 관련해서)는 415년 죽은 풍소불묘에서 출토된 것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위 논문에도 나와있는 내용입니다. 더불어 조양 원태자 벽화묘 등에서 이보다 이른 시기의 등자 그림이 있기는 하지만 실물자료의 중요성을 무시할 수는 없다고 하는군요. 아마 이 부분은 헤깔리신 듯 합니다.

그리고...음...발굴된 고고자료는 연대측정이 쉽지 않은게 아니라 연대측정을 기다리는데 오래 걸리는 것 뿐입니다. 기계를 갖고 있는 곳이 별로 없으니까요. 무지 비싸답니다. -.-; 요즘은 예전에 널리 쓰이던 C14보다 AMS라고 해서 더 소량의 시료를 갖고 더 정확한 연대 측정을 할 수가 있습니다. 아시아에서 가장 수준높은 연대측정 기술을 가진 일본에서는 시료만 충분하다면 ±5년까지 오차를 줄일 수 있다고 합니다. 앞으로 이 부분은 과학이 발달하면 더 나아지겠죠 뭐. 아~하지만 국내학계에서 이 방사성탄소연대 측정치를 잘 믿지 않는 분들도 많이 있기는 합니다. 그러니까 주관적인 입장에서 본 단순한 편년에서는 고고학자들 사이에 이견이 분명 있지만 방사성탄소연대측정치에 대해서는 큰 이견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벽화자료가 중요하지 않다는 말씀이라...제 말을 오해하신 듯 합니다만. 전 어디까지나 벽화자료가 주 자료가 되어서는 안 된다고 한 것입니다. 어떤 연구에 있어서 모든 자료는 중요하게 취급되어야 합니다. 단, 어떤 특정 자료에 더 비중을 두느냐 하는 차이겠지요. '중요하지 않다'가 아니라 다른 고고자료에 비해 '덜 중요하다'였습니다. 등자 및 마구를 연구하는 많은 사학자, 고고학자분들이 계시지만 모두들 가능성을 열어두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벽화라든가, 새로운 물질자료가 나올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으니까요. 그런 상황에서 벽화에 그려진 중장기병과 등자는 어떤 특정 사건 및 장면을 묘사한 경우가 많을테니 그런 부분을 염두에 둬야 한다는 뜻으로 그런 말을 한 겁니다.

벽화 중에 전투장면(페르시아나 이집트, 그리스의 유물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이나 전쟁기록을 묘사한 내용은 없으니까 안악3호분의 행렬도 정규편제 하의 군대배치가 아니라 특수한 경우라고 볼 여지를 남겨둬야 한다고 했던 거고요. 뭐 제가 이런 전후 사정을 얘기 안 했으니까 이 부분에 오해가 있었다면 제가 사과를 드리지요. 이제 제 진의를 알아주실런지요. ^^

그리고 안악3호분에 대해서는...학계에서 동수묘, 고국원왕묘, 미천왕묘 등 설이 분분합니다. 그리고 저는 모든 견해들을 봤을때 고국원왕인지 미천왕인지는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동수묘보다는 왕릉이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는 편이고요. 이 부분은 논외의 주제이니까 님과 제가 생각이 다르다는 것만 짚고 넘어가죠. (그리고 저 잘 몰라요~-.-;)

3. 앞에서 제시한 논문은 다 읽어볼 수 밖에 없었죠. 리포트를 쓰기 위해 봤던 참고문헌 들이니까요. 제 까페에도 올려놨었고요. 흐음. 지금은 뭐 바쁘기도 하고 다른 공부를 해야 해서 나중에 기회가 되면 그때 더 꼼꼼히 읽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무슨 답이 있는지는 잘 모르겠지만요.

그리고 질문에 대한 답변...중장기병을 동원해서 왜 내몽골로 원정을 가야 할까요? 반드시 중장기병만 데리고 갔을 것이라고 생각하는게 더 이상하지 않을까요? 아~그리고 중장기병의 경우 항상 그 완전무장 상태로 집결지부터 전장까지 이동하는 것이 아닙니다. 장비는 따로 이동하고 덕분에 시종이 달라붙지요. 여분의 말이나 소도 준비해야 하고요. 뭐 경기병이 이동한다 해도 비슷한 상황이지만요.

마지막으로...왜 제게 자꾸 이런 방향으로 말씀하시죠? 제가 언제 중장기병이 최고라고 했나요...아니면 쇠를 좋아한다고 했나요...^^; 제가 토론에 대해서 처음부터 다시 읽어봤거든요. 근데 님의 질문 방향이 자꾸 애초의 것에서 변질되는 것 같더라고요. 그건 다음 댓글에...

麗輝 2007-11-28 19: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리 토론이 자꾸 방향이 엇나간 것 같아서 따로 글을 적습니다.
제 서평을 보고 님은 다음과 같은 부분을 말씀하셨죠.

1. 백과사전을 원하냐, 고구려에 대한 환상이 있냐. 고구려는 수렵민이다. 그러면서 동천왕의 철기는 날랜 효기이다. 양당서에도 철기와 효기가 혼용되어 쓰인다. 자치통감도 그렇다. 그런데 갑자기 중장기병의 강력함에 대해 체험해보라고 하셨죠. 이는 님은 중장기병이 그닥 쓸만한게 아니기 때문에 그리 말씀하신 것이고요.

-> 그래서 답변을 했죠. 백과사전을 원하는게 아니고 수렵과 유목에 대해서도요. 님은 제가 고구려에 대해 어떤 환상을 갖고 있다고 생각하시는지 정확하게 안 적었습니다. 그래서 물어봤죠. 어떠한 부분에 대해 그러냐고. 대답없으셨고. 그리고 동천왕의 철기는 효기이다. 제가 물어봤죠. 무슨 근거로 그렇냐고. 말씀 안 하셨고. 양당서의 철기, 효기 혼용 기록들에 대해서도 제가 찾아봤는데 없으니 알려달라고 했는데 역시 묵묵부답이셨고. 그리고는 갑자기 중장기병??? 제가 서평에서 중장기병은 졸라 좋은 유닛이다. 서영교의 주장은 틀렸다. 이런 말을 했었나요? 다만 중장기병이 그닥 안 좋은 유닛이라는 것은 다 알려진 진부한 주장이니 다른 부분에 대해 얘기하는 것이 어땠을까. 라고 했던 것 같은데요. 아마 여기서부터 님의 오해가 계속 지금까지 지속된 것 같습니다.

2. 유식 어쩌구, 책을 써보라 어쩌고...저를 비꼬시려고 쓴 어투같았지만 그냥 넘어가겠습니다. 그러면서 제가 오히려 오해를 했다고 하면서 중장기병은 강하지 않다는 견해를 피력하셨습니다. 복고회은전 얘기도 그때문에 하신거고. 그리고 유럽의 기사가 몽골 기병에게 계속 밀린 이유 말해달라고 하셨고. 갑자기 중장기병이 폭발적으로 증가한 이유 말씀해달라고 하셨고. 고구려 벽화에도 중장기병은 1/10을 넘지 않고 그 놈들은 단지 기예없는 말탄 보병일 뿐이라고 하셨죠.

-> 그래서 대답했죠. 처음껀 넘어가고. 중장기병에 대해서 전 이제 님의 견해를 제대로 이해했습니다. 님은 중장기병이 강하지 않다고 말씀하시고 싶은 거였죠. 그래서 저도 동의했습니다. 하지만 전 한마디 더 덧붙였을 뿐입니다. 그러한 단점에도 불구하고도 수요가 늘었고 계속 활용되었다고 말이죠. 그리고 저도 중간중간에 님의 견해에 동의한다는 얘기를 계속 덧붙인 것 같은데요. 전 중장기병의 발생 원인과 경과, 쇠퇴 등에 대해서 다뤄야 했고 그래야만 그러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계속 중장기병이 쓰인 이유를 알 수 있다고 말하고 싶었던 겁니다. 그러면 저자가 책 서두에 던진 주제가 보다 빛을 발했을 것으로 생각했으니까요.

3. 그리고 오늘 확인해보니. 뭐 고고학 얘기하시고 벽화 얘기하시고 동수묘도. 그리고 논문에 대한 부분. 마지막 질문...중장기병 끌고 내몽골고원 원정가면 어떻겠냐...

-> 고고학이야 답변 드렸고. 그런데 님도 고고학에 대해서 그닥 자세히 알고 계시지는 않는 듯 합니다. 말씀하시는 걸 보니깐요. 흠. 그리고 벽화도 제가 알고 있는 것과 달랐고요. 이건 뭐 헤깔리신 것이라 생각하겠습니다. 왜 그렇게 생각하시는지에 대한 답변은 요구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논문은 당연히 제가 읽어봤으니 제시한 것이죠. 온라인상에서 모르는 상대에게 "이거 읽어는 봤냐? 더 꼼꼼히 읽어봐라."라고 말하는 것은 매너가 아니지 않나 싶습니다. 설사 제가 그걸 안 읽어보고 알려드렸다 해도 말이죠. 그보다 남의 의도를 잘 파악하지 못 하고 이런 얘기를 하게 되면 그 화살은 본인에게 돌아옵니다. 이번 경우처럼 말이죠. 제가 님한테 "님은 뭐 이런 것도 모르고 자꾸 말 꺼내냐~더 공부해라"는 식으로 말하면 님은 분명 기분이 나쁠 겁니다. 뭐 이것도 넘어가죠. 마지막 중장기병에 대한 질문. 위에서 전 님에 대한 오해를 풀었습니다. 하지만 님은 그러지 않았고 계속 같은 말만 되풀이하고 계십니다. 제가 질문드린 사항에 대해서는 아무 말씀도 없으시고 말이죠.

이상입니다.

흐음. 저한테 문제가 있는건지, 님한테 문제가 있는건지는 모르겠지만 분명 의사 전달이 잘 안 되고 있는 것만은 분명한 듯 합니다. 예전에도 다음까페에서 이런 식의 토론이 진행된 적이 있었는데...그때 그분은 아니시겠지만. 암튼 이제는 정말로 상호간에 오해가 없이 다음 얘기를 할 수 있었으면 합니다.

김지원 2007-11-28 23: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주인장의 성실한 답변 고마왔습니다. 그 진실 진지함에 숙연해지기도 합니다. 정말 젠틀하세요. 제가 이렇게 생각하고 있으니 너무 섭섭하게 생각하지 마시고요. 주인장님에게 이제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제가 본 주인장의 환상은 고구려를 제국으로 보고 있다는 점입니다. 고구려는 끝내 5부체제의 시스템을 극복하지도 못했고, 극복하려고 하지도 않았습니다.

1. 고구려는 제국이 아닙니다. 고구려는 족성적인 질서를 끝내 극복하지 못하고 멸망했습니다. 삼국사기 온달전을 보면 국왕주최 사냥대회에 5부인들만 참여하고 있습니다. 고구려 전인구 가운데 5부인은 소수입니다. 광개토왕 비문이 건립 목적도 수묘인들을 보호하기 위한 근거를 마련하는데 있었습니다. 여기에 대해서는 와세다대학교 이성시 교수의[표상으로서 광개토왕의 비문] [[만들어진 고대]] 삼인 2001. [고구려 연개소문에 대하여] 조선사연구회논문집 31호 1993년東京 를 보싶시요.

2. 앞서 말씀드린 구당서와 복고회은전의 철기를 신당서 신당서 복고회은전의 그것과 비교해 보세요. 같은 기록을 전하지만 신당서는 철기를 날랜기병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물론 광개토왕 장수왕대 고구려는 적지 않은 농업지역을 차지합니다. 그들은 그들을 신민으로 불렀습니다. 곡식생산을 위한 수단으로 부렸던 것입니다. 대 고구려가 백제를 누러고 차지한 것도 중국에 대한 인삼교역 독점권이었습니다. 고구려인들은 이익과 통상을 위한 전쟁을 했던 것입니다. 고구려는 부여의 금광산, 말갈제부족의 모피무역 등등과 관련이 있습니다. 농경민 출신 군주로서는 그러한 마인드로서는 도저히 할 수 없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그냥 하는 말이 아닙니다. 사료가 있습니다. 그것도 5세기 말--6세기 초반의 것입니다.

아무조록 누구보다 성실하신 주인장님께 경의를 표합니다.
답변이 부족하면 다시 질문해 주세요. 구체적으로 하셔도 됩니다.




麗輝 2007-11-29 11:05   좋아요 0 | URL
1. 고구려는 제국이 아니다. 족성적인 질서를 끝내 극복하지 못 했다. 글쎄요. 온달전에서의 사냥대회때 5부人만 참석했다는 것 같고는 족성적인 부분을 면치 못 했다...라고 하기는 힘들 것 같습니다. 단지 국가 최고행사에 그에 걸맞는 사람들만 참석한다는 의미가 될 수 있으니까요. 대신 평양에서의 석전이나 동맹제는 전국민(왕을 포함해서)이 함께 할 수 있는 행사니까 그걸 보면 또 다르게 볼 수 있지 않을까요. 오히려 고구려의 늘어난 세력과 인구, 영토를 봤을때 제국적 국가통치체제로 가지 않고서는 유지하기가 힘들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는 그런 사냥대회보다는 국가체제나 정치적인 다른 시각에서 봐야하지 않을까 싶거든요. 그리고 광개토태왕비문의 건립 목적 중 하나가 수묘인제도의 제정과 역대 왕릉의 정비인 것도 사실이지만...그게 제국이 아니라는 것과 어떤 연관이 있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흠. 그리고 말씀하신 논문은 찾아보겠습니다. 제가 안 본 것만 다 보셔서...분야가 달라서 그런가...-.-;;

2. 아~그 말씀이셨군요. 흐흠...효기라...그건 제가 지금 대강 봤는데 못 찾았습니다. 이건 시간을 좀 두고 살펴봐야할 것 같네요.

아~그리고 고구려가 백제를 누르고 차지한 것이 중국에 대한 인삼교역 독점권이었다...는 것. 어떤 사료에서 나온 건지 좀 알려주셨으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예전에 차에 대해서 글을 쓰려고 차, 인삼, 약재에 대한 책이랑 사료를 죽 봤는데 그런 사료는 못 봤습니다. 물론 고려인삼, 백제인삼이 중국인들에게 아주 인기가 높았다는 것은 알지만 인삼교역 독점권을 두고 양자가 다퉜다고 볼만한 정황근거는 찾지 못 했거든요. 흐음. 암튼 아주 흥미로운 내용입니다.

마지막 문단은 고구려는 단순한 농경국가가 아니었다...라는 걸 말씀하시려는 것 같은데 저 역시 동의합니다. 단 고구려의 여러 요소(수렵민족적, 유목민족적, 농업민족적, 해양민족적 등등)가 있는데 저자는 전쟁사라는 분야를 다루면서 유목민족적인 면을 많이 강조하고 있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던 겁니다. 수렵민족적인 것도 고구려 초기를 설명할때를 제외하고는 그닥 책 구성의 전체적인 부분에서 중요한 면을 차지하는 것 같지 않고요. 그래서 그런 식의 조금 치우친 서술이 안타깝다고...서평에 썼던 겁니다.

아~마지막으로 저는 단순히 고구려는 황제가 지배하던 황제국이었다...라는 식으로 고구려를 제국으로 이해하는 것은 아닙니다. -.-; 혹시나 해서.

암튼 이번 기회에 이런저런 토론을 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이런 적이 처음이라서요. 아~혹시 육사박물관 관련 논문들은 어디서 구하시나요? 국회도서관? 혹시 이런 아이템을 구할만한 좋은 싸이트를 알고 계시면 추천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 그럼 이만~날씨 추운데 감기 조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