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시대의 한국고대사 1 - 한국고대사학회 창립 30주년 기념 시민강좌 우리시대의 한국고대사 1
한국고대사학회 지음 / 주류성 / 201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 근래에 들어서 역사학계에서 대중적 차원의 한국 고대사 바로 알리기 운동이 벌이고 있다고 보아야 할 정도로 많은 고대사 관련 책들이 나오고 있다.  무래도 근래에 있었던 국정교과서를 만들고 배포하려고 했던 것에서 부터 유사역사학의 신봉자들의 준동이 심상치않아 보였던 걸까?...  개인적으로 좋은 현상이라고 본다. 


 흔히 기성사학계들을 두고 강단사학이라고 하고 본인들은 재야사학자라 구분 지으며 한국 고대사의 활동영역을 넓게 보고, 한국 고대사의 위대함이 축소된 것에는 일제 관학자들과 그들의 식민사학을 청산하지 못하고 계승한 현 강단사학자들에 있다고 보는 사람들의 주장을 보며 드는 생각은 뭐 굳이 나라가 크고 영역이 넓어야 좋은가? 하는 것이다.  고대 한반도 국가가 영토가 넓고 강대했던들 전혀 쓸모 없고 결국에는 자학할수 밖에 없게 되는 악순환이 된다. 왜 그렇게 강대하던 나라가 중국의 나라들에게 사대하고  일본 제국주의 세력에게 강점당하는 비운을 맞이했던 것인가?  거기에 어떤 설명을 할 수 있단 말인가?  결국 우리 후손들이 멍청하고 나태해서라는 진단 밖에 나오지 않는다.  이래서야 결국 한반도 식민지 경영을 정당화하려 했던 식민사학과 다를 바가 무어냐는 것이다. 

 

고대사일 수록 사료가 부족하여 그 실상을 파악하기가 힘든데, 그 빈틈을 너무 상상력으로 밀고 나갔다. 물론 상상력도 필요한 부분이 있다고 보이긴 하지만 그래도 그 내용은 최대한 합리적이어야 하고 기존의 사료와 유물유적등이 보여주는 내용과 대치되어서는 안된다.  그리고 우리는 현재 얼마나 특정한 역사인식이 타인에게 그리고 다른 나라에게 상처를주고 외교 분쟁이 일어나고는 한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된다. 

 

책은 얇기도 하고 시민강좌를 토대로 한것이라 쉬운 편인데 그만큼 소략하다는 부분도 있다.  첫번째 장에서는 오타가 몇개 보여서 영 읽을 맛이 나지 않았었다.  1장에서는 근대 역사학의 형성과정을 특히 한국고대사에 집중에서 서술했는데, 마지막 종언이 인상 깊다 : "단 오늘날 이들 선열들의 학문적 업적과 위상을 방패막이로 삼아, 자신의 무지와 나태함을 포장하려 한다면 그것은 결코 용납될 수 없는 것이다."

 

그리고 또 그외에는 고조선 중심지 문제, 낙랑군 이야기등이 있었다.  아무래도 제일 화제가 될 수 있는 것은 고조선 중심지 문제일텐데, 나 개인적으로도 이동설이 무게가 실리게 된다.  어느 한곳에만 있었다고 치기에는 그와 상반되는 이야기를 줄만한 유물/유적들이 나왔고 또 나올 것이기 때문이다.  가장 쉽고 재미있게 한 것은 역시 "유사역사학'과 환단고기 장이었다.  아무래도 전문 연구자가 아니라 대중 저술가(?라고 해야할지...)라 그런지 쉽고 재미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