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추전국 이야기 1 - 최초의 경제학자 관중 춘추전국이야기 (역사의아침) 1
공원국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10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이전에 춘추전국 이야기 출간이 시작된 초반에 저자와 강신주의 대담이 있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아마 그시기에 중국의 춘추전국시대의 이야기를 다룬 저자로서 만나는 기획된 대담이었던 것인데, 한 저자는 달랑 2권내고 아직도 무소식이고 춘추전국 이야기는 벌써 7권까지 냈다. 거의 종착역에 다다른 셈이다. 관심은 있었지만 손대지 않고 있었는데, 시리즈가 중반을 넘어섰다는 점이 선택의 가장 큰 이유였다. 물론 중국사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커진 이유도 있었지만.

 

  저자가 다루고 있고 앞으로 다룰 춘추전국시대는 중국사의 뼈대가 형성된 시기라고 말한다.  제자백가들로 그런 시대에 꽃피기도 하였고 하니 그만큼 이시대가 중국의 원형을 이룬다고 할 수도 있겠다. 본격적으로 춘추전국의 시대로 가기 전에 춘추전국시대 당시의 다른 제국들의 이야기를 소략하게 다루는데, 춘추전국시대의 중국의 나라들이 영토면에서야 당시 서쪽의 제국들에 비할바는 못되었지만, 그 치열함에서도 춘추전국시대에 비할바가 되지 못한다고 하였다. 이런 시기는 기회이기도 하지만, 나 같은 사람에게는 지옥일 것 같다. 춘추전국 시대의 사건과 인물의 이야기를 이전에도 재미있게 읽으면서도 항상 그런 점을 인식하게 된다.  그리고 춘추전국시대의 전사인 상(은)나라와 주나라의 이야기도 다룬다.  얼마전에 읽었던 중국통사에서도 느꼈지만 많은 사람들을 제사의 희생 제물로 쓴 상나라에 이야기에는 소름이 돋는다. 거기다 상나라는 전쟁을 너무 많이 수행했다. 그만큼 주변에 적이 많을 수 밖에 없었고, 정치적인 민족인 주족에 의해 멸망하는 계기가 되었다.  여기서 정치의 필요성이 보여진다. 상대를 물질적인 힘으로 압도하기에는 아주 어렵다. 결국 거기에서 필요한 것이 정치이고, 주족은 정치력을 훌룡하게 발휘하였다.  그리고  주 무왕은 주나라의 연합군으로 목야에서 상을 멸망시켰다. 거기다 정말 주나라의 정치력의 끝은 <주례>였다. 스스로가 무력으로 모두를 압도할 수는 없었지만, 새로운 정치질서를 탄생시킨 것이다. 이런 정치질서는 서주가 동천한뒤의 동주시대에도 이어지는 걸 보면 정말 탁월했다고 할수도 있을 것 같다. 정확히 보면 주나라 왕실의 입장에서야 살아도 산 것같지 않는 입장일 수도 있었겠지만...   여튼 그 이후에 정나라 이야기를 거쳐서 본서의 3분의 1정도의 분량이 남았을때 관중이 등장한다.

 

 관중의 포숙과의 이야기가 유명하다. 관포지교라는 고사성어의 연원으로 많이들 알고 있다.  그런 우정은 부럽지만 쉽게 찾아 볼수는 없다. 정확히 나에게는...  인생에서 가장 큰 행복은 인간관계에서 찾아진다고 하는데, 그런 점에서 나는 좀 불우한 셈이겠다. 나를 알아주는 벗하나 없어서. 앞으로는 더큰 불행이라고 생각할지도 모르겠다. 기본적으로 혼자 있는 걸 좋아해도 사람은 혼자 살 수가 없다.  개인의 차원에서도 그렇고, 국가도 역시 사람없이는 부와 강함을 이룰 수 없다. 특히나 고대에는 가장 중요했다. 관중은 여러가지 경제정책으로 사람을 제나라로 모여들게 하는데 성공했다.  그에 기초에 제 환공의 패자의 자리로 올릴 수 있었다. 그런데 규구의 회맹에서의 내용을 보면 자체로는 정말 별거 아닌 것 같다. 당연한 말들이고 모호한 말들로 점철되어 있다. 가령 불료한 자는 죽이고, 현명한 이를 존중하고 인재를 양성한다, 노인을 공경하고 어린이를 사랑하고 손님과 여행자를 홀대하지 않는다 등등이다. 여기서 당시 질서의 패권자로 우뚝선 제나라의 개입요건이 형성된다.  제후국에서 아들이 아버지를 죽여도, 첩의 처로 삼아도, 적장자를 바꾸어도 제나라가 개입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런 도덕적인 이유로 전쟁의 구실을 삼은 것으로 가장 잘 알고 있는 것이 연개소문이 왕을 시해했다고 당태종이 고구려를 침입한 것이다.  지금 현재 우리가 가지는 이웃나라의 관념을 가진 것은 아니겠지만, 지가 뭐라고 그런 이유로 이웃나라를 친단 말인가? 실질적으로는 다른 이유겠지만, 일단은 그럴듯한 이유로 전쟁을 수행하는 이 관습(??)의 연원이 올라가다 보면 만나는 것이 춘추시대의 관중이 만들어 놓은 국제질서라는 것이다.  하지만 모든 것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언젠가는 영락하게 마련이니 제나라도 역시 그랬다. 관중이 죽고 난 이후에는 급격하게 무너진 것이다.  너무 허무했다.  시들어가고 쇠하여 가는 것들에 대한 연민은 왜 이리 크게 느끼는지 모르겠다. 앞에 관중과 함께한 제나라의 영광이 너무 크게 보였던 탓일까?   반동을 통해서 언제나 이전의 상황으로 돌아 갈 수 있으니까. 물론 이걸로 제나라의 급격한 패권을 잃어버리는 것에 맞추기에는 좀 많이 어색하긴 하다.

 

몇가지 재미있었던 지점은 대한민국의 정치인들이 미국시민권을 얻은것과 비유해서 당시 춘추시대의 귀족들의 연대감을 설명한 것이었다. 그러고 보면 참 특이하긴 했다. 적이긴 해도 쉽게 상대의 군주를 죽이지도 않았고, 다른 제후국의 귀족들이 정치적인 이유로 망명하면 어떤 이유를 막론하고 받아주었다고 하니...  아무리 생각해도 미화할 수 없는 격렬한 시대였지만, 그만큼의 낭만은 있었던 모양이다.   그리고 관중과 환공이 인재를 천거받는데 조회에서 받았다는 점이다.  인재등용은 아주 공정해야 되는 만큼 굉장히 인상깊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