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의 풍경과 사유 - 한국고대사의 경험과 인식 학문의 이해 3
이강래 지음 / 세창출판사(세창미디어)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랜만에 역사 카테고리의 신간을 보다가 약간은 흥미로운 책을 발견했다. 이강래 교수의 <고대의 풍경과 사유>였다.  전형적인 고대사 입문서의 성격은 아니다. 일정기간을 고대로 정의하고 그 사이에서 일어 났던 단순 사건의 나열과 인과관계만을 고려했다기 보다는 고대인들이 구성하고 있는 당대 사회의 풍경과 그들의 심성과 사유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지구의 역사, 생물의 역사에 비교하면 상당히 짫은 시간 일 것이나,  백년을 채 못사는 우리들에게 고대는 머나먼 시기의 일이다.  


그들의 행적은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그리고 당대에 중국왕조의 사가가 파악하여 남긴 민속지적 기록, 목간과 금석문과 같은 문자자료와 각종 유적,유물과 같은 고고학적 접근이 허락 되는 자료 외에는 거의 전무하다. 전승된 사료는 필연적으로 서술자의 실수와 의도적인 누락, 분식이 판친다.   이러 고대에 관한 사료들의 영성함과 의도적 누락, 분식, 오해등등의 장애물을 넘어 간다고 하더라도 지금의 우리들과 다른 고대인의 심성과 사유를 넘어가기에는 쉽지 않다.  


그들은 자연현상을 관찰하고 그것으로 어떤 일의 길흉을 점쳤으며, 나라의 패망과 왕권의 향방이 결정된다고 생각하였다. 물론 이러한 습성은 비교적(?) 최근인 조선사회에서도 발견될 수 있는 것이나  조선 역시 머나먼 시대이고, 그마저도 격절된 탓에 그러한 심성을 더욱더 이해하기 힘들다. 당대인들도 이를 이용, 조작하여 상황을 컨트롤 하기는 하였어도 그러한 세계관을 전면 거부한 것은 아닐 것이다. 


왜 이렇게 힘겨운 이해를 필요로 하는가?  


대무신왕의 아들 호동이 최리의 낙랑국을 멸망하고 통합하는데 큰 공을 세운 뒤로 정치적 위세가 커지자 대무신왕의 원비는 자신의 아들에게 위협이 될 것을 우려하여 호동을 자신에게 불손한 마음을 품었다며 비난 하였다. 이에 대무신왕을 원비의 비난에 의심을 하였으나 결국은 호동이 자살을 하였다. 


 여기서 금기의 가능성을 따지기 위해서는 당시의 사회문화적, 고대인들의 정서를 고려하여야 한다.  당시 시기에는 형사취수혼이나 자매연역혼이라는 2차혼이 있었다.  선왕의 후비를 뒤에 왕위를 잇는 왕이 비로 맞이 하거나 자매가 한명의 남자와 연이어 혼인을 하게 되는 관습이었다.  즉, 호동의 원비에 대한 성적접근(원비는 호동의 친모가 당연히 아니였다.)이 가능 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호동이 정말 그런 마음을 품고 있건 아니였건 상관 없이, 그러한 금기의 가능성이 호동에게 자살로 가는 압박감을 주었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많이 유익했던 책이었다. 고대사에 흥미를 느끼고 읽고자 한다면 꼭 한번 읽어보라고 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