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토피아 - 한국어 더빙 수록
리치 무어 외, 샤키라 (Shakira) 외 / 월트디즈니 / 2016년 6월
평점 :
품절


Fear always works. 공포는 언제나 먹힌다.

 

 

공포가 언제나 먹혀드는 것은 아니다.
정도가 지나치면 꼬리를 밟힐 수도 있고
여기의 주인공들처럼 두려워할 줄 모르고
끊임없이 캐묻는 인물들이 있다면 통하지 않는다.
그나저나 럽라 콜라보 너무 좋네...
게다가 에리우미라니 애도 생길 거 같은 조화다(응?).

 

 난 토끼 주디가 여우 닉에게 가서 이전에 말실수한 일을 사과한 게 굉장히 인상적이었다. 일장연설이라기엔 짧고 일상적으로 하는 사과라기엔 조금 길어서, '닉의 트라우마를 건드린 데 대한 사과'의 취지에 아주 부합하는 시간대였다. 일단 그녀는 직접 찾아가서 사과하는 것을 마다하지 않았다. 그리고 '자신이 차별적인 시선을 가지고 있어서 그렇다'라고 솔직히 인정했다. 셋째로 자신이 스스로 자신을 평가하는 데 혹평을 아끼지 않았으며(이것은 '내가 원래 멍청해서 그래' 같은 쓰잘데기 없는 자기비하와 천지차이였다.), 넷째로 자신의 잘못을 개선할 수 있는 구체적 방법을 제시했고 닉의 도움이 전적으로 필요하며 잘못을 시정하고서도 자신과 교제하기 싫다면 멀리한다 해도 불만이 없을 거라 이야기한다. 흑흑 흐느껴 우는 데도 정말 할 말은 다 한다. 아마 닉도 그녀의 그 당찬 태도 때문에 마음이 돌아섰을 것이리라 짐작한다.

 다들 주토피아가 아주 획기적인 작품이라고 하는데 난 솔직히 그런지는 잘 모르겠다. 겨울왕국보단 더 창의적인 점은 인정하겠다. 굉장히 자기계발서 같다는 느낌이 났는데(누구나 노력하면 무엇이든 될 수 있다는 터무니없는 무한긍정이라거나.) 아무래도 요즈음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외국에서도 가벼운 자기계발 에세이라던가 명문장 한줄같은 게 유행하는 거 아닌가 생각되는 순간이었다. 인종차별 문제를 다뤘다고도 거론하는데 그렇게 보기엔 아무리 우화장르라 봐도 차별이 너무 약했다고 본다. 뭐 교훈을 충분히 얻어갈 수 있는 영화란 데선 나쁘지 않았지만 너무 이 영화 저 영화 보라고 애들에게 등떠밀지 않았음 좋겠다. 괜한 우려를 하는 건지도 모르겠지만(마지막에 닉의 난데없는 고백을 들으면서 비명을 지르던 중고등학생 여자애들을 떠올려보면 그냥 단순히 오타쿠였을지도...) 관객층을 보면 뭔가 선생님들이 학생들을 단체로 끌고온 모양새가 있었다.

 내 역량으론 아직도 역부족이지만(...) 주디가 닉 말고도 다른 동물들을 계속 자신의 편으로 끌어당기는 게 인상적이었다. 설령 어떤 동물에게 배신을 당하고 상처를 받는다 하더라도 그녀는 계속 다른 사람들을 관찰하고 긍정적인 면에 찬사를 아끼지 않는다. 난 그런 게 용기이지 않을까 최근 생각하고 있다.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 그에 맞는 적절한 도움을 주는 행위라고 할까. 타이밍이 중요한 일인지라 정말 토끼처럼 날렵하지 않으면 힘들 것 같다. 일단 적절한 사과에서부터 시작해볼까 ㅠㅠ

 

 

 

주토피아 팬아트 중 가장 마음에 드는 그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