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귀 1
오노 후유미 지음, 추지나 옮김 / 북홀릭(bookholic) / 2012년 7월
평점 :
절판


"네가 마사오가 자랑하는 데 흥미를 안 보여줘서 그래."
"이사 온 사람을 봤다는 얘기를 왜 황송하게 들어야 하는데?"
"사람을 사귄다는 게 다 그렇지. 흥미가 없더라도 있는 척을 해 줘야 도리지. 너, 그러다가 사회 나가서 고생한다."
"고생도 내가 하니까 내버려 둬. 그래서? 자랑하는 데 같이 동조해 주지 않는다고 상대를 노려보고 나가는 놈은 고생 안 하냐?"

 

  

죽으려고 하지 않았다는 게 특이했다. 손목을 긋는 정도로는 죽지 않는다는 걸 알고 있었다. 하지만 세이신 스님은 충동적으로 손목을 그었다. 후계자로 굳이 삼지 않으려고 했던 시골의 절에서는 급히 그를 소환했다. 그는 그렇게 젊은 나이에 소토바라는 마을의 작은주지가 되었다. 자신의 충동을 이겨내기 위해서인지 그는 자꾸만 암울한 내용의 소설을 쓴다. 동네 사람들의 눈에 뜨이고 싶지 않은데, 그들의 시선은 조심스럽게 그를 쫓아다닌다. 작은주지스님은 외동인데 결혼은 언제할까? 저런 섬세하고 까다로운 성격에 결혼해도 잘 살 수 있을까? 저렇게 심약해서야 우리 마을을 다스릴 수 있을까?

 반면 도시의 현대의학의 지식을 갖추고 있는 세련되고 불량스런 그 마을의 의사 선생은 마을 안에서 승승장구하는 중이다. 토시오의 어머니는 그 때문에 명예를 더욱더 갈구하는 타입이 되었지만 그런 부모가 지긋지긋한 토시오는 오히려 아버지가 썼던 응접실을 밀어버린다. 아내하고도 멀리 떨어져서 사는데 정말로 괜찮은 걸까? 하지만 그런 질문을 마을 사람들이 생각해 버리기도 전에 밀어낼 만큼 토시오는 단호한 성격을 지녔다. 그러나 아무리 그들이 강하다고 해도 등 뒤에서 속닥거리는 노인들의 입담만큼은 도저히 당해낼 수가 없다. 늙은 세대를 밀어내고 젊은 세대가 나아가야 그 마을이 살아남는데 말이다. 그런 소문에 일일히 상대해주기도 피곤한데 무시하기엔 너무 분하고 짜증이 난다. 그 상태에서 만만치 않은 부호가 이사를 온다.

 

  

시골 토박이들은 생활 패턴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곧잘 외지인의 존재에 두려움을 느낀다.

 그러나 성폭행이 항상 사탕 달라고 꼬시는 외지인 남자에 의해 이뤄지는 건 아니듯이, 내부의 문제를 외지 탓으로 돌리는 것들이 많다. 하지만 이번 외지인은 시귀다. 시골 사람들이 무섭고 소문으로 이지메를 시키며 몇몇 사람을 못살게 군다고는 하지만 힘이 어느 정도 빠진 노인들일 뿐이다. 사실 난 자꾸 시귀를 응원하게 된다. 힘내라 시귀. 시골을 뒤흔들어라 시귀. 그들의 소행이라 추측할 수 있는 돌림병같은 죽음은 좀 잔혹하지만. 필시 프롤로그에서 불타는 마을을 빠져나온 관도 그 시귀 중 가장 어린 여자아이일 가능성이 높다. 관이 소토바 식이 아닌 외부에서 온 데다 (소토바의 관은 창문이 달려있지 않은데 프롤로그의 관은 창문에 솔까지 달려 있었다.) 어쨌던 차 트렁크에 들어갈 수 있으니 말이다.

 

  

5권이 완결같고 1권당 500장이 넘어가는 양인데다가 요새 유행답게 핑크핑크하고 귀엽지 않은 소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당히 유려한 문체라서 별 문제없이 스르륵 읽어나갈 수 있었다.

 게다가 공포소설에 시골 사회의 생태계와 그 문제점을 전부 담아내려 하는 게 상당히 독특했다. 마성의 아이에서는 이지메를 다뤘다고 들었는데 시대에 따라 유행하는 이슈를 담아내는 게 이 작가의 특성인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뱀파이어물은 그닥 좋아하지 않는데 전개가 워낙 현실적이다보니 거부감이 없다. 가급적 빨리 다음 2권을 보고 싶다.

 

  

여담으로 메구미가 죽을 때 어른들이 슬퍼하는 장면에서 자꾸 세월호 유가족들이 떠올랐다.

 '우리 아이들이...' 같은 발언이 나올 때마다 많은 청소년 운동권 사람들이 불만을 표출했었다. 누구나 죽는데 왜 우리의 죽음은 더 슬퍼하느냐고, 그렇게 따지는 듯한 느낌이 처음엔 들었었다. 하지만 시골의 인간들은 오지랖이 지나쳐 귀찮아 죽겠다는 나츠노의 의견과 죽음은 누구에게나 순서없이 찾아오니 무서운 거라는 시귀의 말을 듣고나서 어렴풋이 그 청소년 운동가들이 하려는 말을 이해할 수 있었다. 그들은 죽음에서조차 차별받는다는 느낌이 있는 것이다. 메구미는 아마 죽어서까지도 청소년도 소토바 마을도 아무것도 벗어나지 못한 채 시귀가 되리라. 세월호 관련 시를 항상 읽고 있는데 어른들은 아이들의 죽음을 안타까워하며 '한국으로 다시는 돌아오지 말고 훨훨 날아가라' 라고 반말을 한다. 어쩌면 내가 나이가 지긋해질 즈음엔 우리 후손들 다수가 이 사실을 지적하고 비웃지 않을까 싶기도 하다. 그 당시엔 아이들의 인권 침해가 사후에서조차 이렇게 심했다고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