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을 쓰자 민음의 시 155
김언 지음 / 민음사 / 200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당신은 중에서

ㅡ끝까지 남남이 좋은가?
ㅡ우주는 혼자다.

 

 

 

  

무엇을 향해서 그렇게 싸워대니? 라는 말을 예전에 변변치 못한 한량새끼에게 들어본 적이 있다.

 좀 특수한 군인에서 승진 좀 하려다 짤린 경력이 전부인 주제에 나에게 말을 돌려가며 이러쿵저러쿵 참견하는 게 가소로웠다. 그래도 자존심을 낮춰가며 수위 조절을 해가며 그 이야기를 끝까지 들어주긴 했었다. 나도 궁금하긴 했었기 때문이었다. 대체 이대통령이라거나 박대통령같은 천하의 여우나 멍청이가 누구에게 지지를 받는가? 내 주위엔 당연히 친구밖에 없고 친구들은 모두 이대통령이라거나 박대통령을 싫어한다. 하지만 좀 더 나아가서 김대통령이라거나 노대통령을 싫어하는 사람들도 많다. 아예 표적이 사라지는 경우도 많다. 표절 논란이 한창일 때 소리소문없이 샘터 팟캐스트의 MC가 물갈이되고 첫방송부터 '사과특집'이 진행되었다. 출판사측 말단이 출연해서 변명을 줄줄 늘어놓는 게 장관이었고 그 중 어떤 목소리는 아예 이렇게 말했다. "우리 문단계 다 장사 안 되는데 대체 누가 기득권층이라는 말입니까? 우린 모두 친해요. 그런 거 없어요." 그런 소리를 하는 사람이 기득권층인데 말이다.

 

 

  

관계란 무엇일까? 시인은 글을 씀으로서 말을 꺼냄으로서 대토론이 벌어지고 행동이 일어나길 바란다.

 그에게는 꿈과 목적이 있기에 냉철하게 발언을 하지만 열혈스러운 힘이 실려있다. 히스테리라지만 사소하고 작은 일에 대한 히스테리와 시집을 완성하면서도 비리를 폭로하여 행동을 촉구하려는 작은 목표와는 명백한 차이가 있다. 단순히 싸우는 게 아니다. 남자들이 술자리에서 가장 많이 꺼내는 주제는 군대이다. 그런데 어째서 정치 이야기를 꺼내면 싸움이 나는가? 바로 그런 질문이 우리나라 사회를 되짚어보게 한다. 나는 생각해본다. 결국 질서를 세우고 그것을 지키라고 남들에게 강요하는 쪽이 기득권층이 아닌가 하고.

 

 

  

  물론 추종자는 필요하다. 그러나 이 시집에서 말하듯이 '이 한 사람을 위해서 백 명의 어줍잖은 븅산탈춤들은 필요없다'는 마음이 이는 사람이 진짜배기이다. 이 시집은 시작이자 현재진행형이다.

 기득권층들은 시를 좀 더 쉽게 쓰라고 언론같은 데 나와서 대놓고 비웃는다. (같은 문학인인데도 문학의 새로운 흐름을 사장시키려고 하는게 웃기고 구역질난다.) 그런데 많은 젊은 시인들이 '소설'을 시에 내세우며 이 운동에 동참하고 있다. 요즘 뉴스를 보면 성공이 거의 눈앞에 온 듯하다. 우리가 우리 자신 말고 누구와 싸워야 하는지 분간할 수 있는 그 때가 오고 있다.

 

연인

우리는 보통 밤에 얘기하고 낮에 뜨거워집니다. 우리는 우리 둘 중에서 어느 한 사람이 연인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우리는 경향에 가깝습니다. 우리는 보통 밤에 얘기하고 낮에는 짐을 옮기면서 물끄러미 우리의 얼굴을 쳐다보고 이런 얘기를 나눕니다. 마치 자신의 얼굴처럼 부끄럽습니다.

우리는 경향이니까요. 될 수 있는 대로 멀리 뻗어 가는 두 사람의 팔다리를 바로 등 뒤에서 느끼고 만져 봅니다. 우리는 정말 굳어 갑니다. 달아나기 위하여 가장 높은 곳에서 옥상을 준비해 두었습니다.

직전의 포즈는 모두 사실입니다. 내일부터는 우리가 내다보는 창밖에서 이상하게 울음이 큰 사나이와 여자의 옷자락이 펄럭입니다. 떨어지기 위하여 우리는 어디서부터 입을 맞출까요? 커피숍에서 아니면 가로등 아래 공원에서 그도 아니면 혼자서 걸어 보는 공중전화 부스 안에서 은밀하게 오늘과 내일의 거리를 상영합니다.

내일은 각자 움직이고 있습니다. 우리는 난폭하게 화해하는 양편의 팔을 등 뒤에서 느끼고 정말 만져 봅니다. 조용히 입을 감추고 있습니다. 스르르 눈이 내려옵니다. 키스는 이 영화의 전부입니다.

 

  

영화 연인.
1992년작.
마르그리뜨 뒤라스 소설이 원작.
장 자크 아노 감독.
롤리타와 비교해보기엔 여자애가 너무 정신력이 강하고 애어른이다.
10대 프랑스 소녀(제인 마치)가 찌질한 중국 청년(양가휘)에 반해서 외국까지 찾아다니는 걸 보면서 왜 사랑은 동등하게 찾아오지 않나 생각을 많이 했었지.
명대사보다는 명장면이 많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