있음으로 문학동네 시인선 64
주원익 지음 / 문학동네 / 201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키프로스

새벽 거미의 붉은 눈
속에 흘러가는
구름

바닷가 교회
예배당을 흘러가는 파도 소리

성화 속에는 피가 흐르고
문지기는
덧문을 닫는다

태양의 언덕 입맞춤의 꽃봉오리

사랑하는 이름이 있어
낙원을 두고
낙하한다

청록색 바다
장미 향기를 따라간다

흰빛을 벗어두고

 

 

검은 바탕에 흰 빛, 새빨간 장미와 핏빛 향, 서늘한 감각에 모래처럼 까끌까끌한 맛.

 이 책은 오감을 선명히 느끼게 한다. 하지만 시집은 짧은 글들의 모음집이고, 이렇게 집요하게 특정한 느낌을 고집하는 시를 쓰는 건 쉽지 않다. 천재가 아닌 이상에야 한 시집을 이룰만한 시들을 한번에 주르륵 써내려갈 수는 없을 테고, 아마도 어떤 시상에 대한 고찰을 오랫동안 거듭한 게 아닐까 생각한다. 그의 시엔 주님에 대한 생각이 많이 드러나는데, 확실히 종교를 믿는 사람이 아니고서야 그렇게 끈덕지게 심상을 가슴 속에 품을 수 없을 것이다. 전체적으로는 현대미술을 보는 느낌이었다. 그러나 서울역이란 시처럼 무언가 말을 하려는 듯한 글들도 여럿 있었는데, 거기에서 시인이 말하려하는 교훈은 파괴의 긍정이었다. 주어를 생략하고 동사와 목적어의 위치를 이리저리 바꾸어도 의미는 전혀 변하지 않는 걸 보면서 새삼 우리말의 유연함을 실감하기도 했다. 그런 점에서 보면 원근법을 따지지 않아도 제법 그럴싸한 동양화같기도 하다.

어떤 사람이 언어만으로 생각할 수 있지 않을까 물어본 적이 있다. 확실히 그림 등의 예술을 쓸데없는 오락으로 보았던 플라톤은 그렇게 생각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가 무적의 과학이라고 생각했던 철학도 결국 교양을 많이 쌓으려는 유별난 사람들이나 공부하는 과목으로 전락했다. 아무리 중요한 이론을 담고 있더라도 시간이 지나면 별 수 없는 것이다. 어쩌면 먼 미래의 후손들도 과학에 대해서 그렇게 평가하는 날이 올 수도 있다. 그렇게 되면 철학도 과학도 시대의 잔재로 남고 오래 남게 되는 건 새로운 트렌드를 떠올리는 인간의 사고 그 자체 뿐인지도 모르겠다. 그런데 그 사고의 기본은 인간의 오감으로 인해 우리 안에 남는 이미지 뿐이다. 그리고 사고의 표현이란 그 이미지를 몇몇 근육을 움직여서 행위로서 드러내는 것이고. 간단히 정리하면 언어는 결과, 이미지는 과정이라고 할까. 과정 없이 결과가 나오는 경우가 없지는 않지만 거의 전무하기는 하다. 그리고 이는 내가 최근에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이미지에 주목하는 이유이다. 이 시집은 의사소통과 그 과정에 대해 철학적으로 들여다보고 있는, 세상에 드문 시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