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팽이 해우소 문학의전당 시인선 191
서효륜 지음 / 문학의전당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버지

갑작스레 죽어버린 돼지 한 마리가 베풀어준 잔치에 삐쩍 말라 비실거리던 황구도 졸지에 호강을 했다 온몸 번지르르하게 온 동네 암캐 집을 제 집인 양 싸돌아다니느라 황구는 집에 잘 들어오지 않았다

 

 

모두가 공유할 만한 경험이 있을까?

 

사람들은 이 문제에 대한 해답을 찾으려 고대적부터 땀을 흘려왔고 결국 '대다수'라는 단어가 등장했다. 그때부터 어쩔 수 없이 사용되어온 필요악 같은 무엇이었다. 사람이 다른 사람을 이해하고 받아들이기란 너무나 힘든 일이다. 이것을 이 서효륜이라는 시인은 글쓰기, 그 중에서도 특히 시로 풀었다. 아무래도 그녀가 한을 풀기 위해 굳이 이 장르를 선택한 이유는, 굳이 장황하게 자신의 속사정을 풀어놓을 필요 없이 결론만 던져 놓아도 그럭저럭 이야기가 되는 축약성 때문이 아닐까. 그래서 이 시집에서 나오는 그녀의 시는 대부분 짧다. 그러나 그 짧은 시 중에서도 아버지에 대한 원망은 꼭꼭 압축해서 담아놓았다. 마치 농축액같이 씁쓸한 맛이 나는 시들이 상당히 많았다. 하지만 실비아 수수께끼처럼 보다보면 독자까지 힘들어지는 시는 아니었다. 처음에 나온 굴렁쇠 관련된 시가 둥글어지고 싶은 그녀의 마음을 상징하듯이, 마지막에 나온 시는 더이상 질문하지 않고 쿨하게 넘어가자는 내용이었다. 그런데 생각해보니 독자에게 너무 깊숙히 물어보지 말라는 신신당부였는지 모르겠다. 과거가 복잡한 여자들이 흔히 그렇듯 그녀는 사랑시도 범상치 않게 썼지만, 빠짐없이 등장하는 '당신'이 한 사람이 여러 인물인지도 여전히 알 수 없다. 어쩌면 아버지를 애인처럼 쓴 것인지도 모르고, 어쩌면 애인을 아버지처럼 쓴 것인지도 모르겠다. 그런데서 보면 시집 끝자락에 붙어있는 평론은 아무 의미도 없다. 적어도 서효륜의 시에서는 그렇다. 우리는 진짜던 거짓말이던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듣고 자신의 과거를 생각할 수 있을 뿐이다. 얼마나 많은 사람의 공감을 얻어낼 수 있는지는 책의 판매량을 좌우하겠지만, 그래도 책의 질을 좌우하지는 못할 것이다. 나는 개인적으로 그녀의 아버지에 관련한 시를 높이 평가하는데, 평론가는 이상하게도 자꾸 명품 구두라는 시에 꽃혀서 한참을 '자신의 분수에 맞지 않는 것'에 대해 이야기한다. 이것 또한 당시 평론가가 겪은 일과 시인의 경험이 우연히 맞아떨어졌던 게 아니었을까 싶다.

 불교에서 달팽이를 귀하게 생각하는지는 모르겠다. 그러나 최근 읽은 시집들을 회상해보건대 은근히 불교를 믿는 시인들이 달팽이를 중요하게 여기는 것 같다. 심지어 시에 대해선 걸음마 수준으로 읽고 있는 나조차 시집 제목으로 택하는 시인들을 둘이나 봤으니 신기한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