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플란드 우체국 실천문학 시집선(실천시선) 212
장이지 지음 / 실천문학사 / 2013년 10월
평점 :
품절


가슴이 까맣게 타버린 벌레야

벌레야, 나는 더 독한 지옥이 되어야겠다.

노래가 삭고 삭은 지옥이 되어야겠다.

내 지옥이 너의 지옥보다 지독해져서

혼자 버티고 서 있기도 어려워야겠다.

눈먼 절망이어야겠다.- 충옥 중

 

 

쓰는 단어도 그렇고 시가 전반적으로 부기팝의 느낌을 많이 닮았다.

 

 ... 요새 하도 표절 논란이 빗발치다보니 미리 못을 박아야겠는데, 이 시집은 표절을 쓰지 않았다. 도리어 굳이 이런 시집에다가 이런 설명을 해야 하는 걸까 갸우뚱해질 정도로 시의 문장과 단어에서 원천이 된 배경을 구구절절히 설명하는 면이 있었다. 예를 들어 폐허에 대한 시를 쓸 때 부기팝을 인용한 건 좋지만 굳이 그에 대한 설명을 할 필요가 있었을까? 굳이 설명을 붙이진 않았지만 사도와 기지, 그리고 (플랫 연작시에서) 새하얀 바다같은 곳에 혼자 남겨지는 이야기도 나왔는데, 난 거기서 충분히 에반게리온을 떠올릴 수 있었다. 에반게리온은 너무 유명하니 괜찮고 부기팝과 기타 애니메이션에 대해선 따로 설명을 할 필요가 있었다고 본 것일까? 시인을 찾아서 한 번 물어보고 싶다. 아무튼 이 시집은 그 정도로 일본 애니와 만화에 한 마디로 쩔어있었다. 그 아이디어들은 민주화 운동 때 중2병이 온 시인의 고초(...), 시인 특유의 동성애적 코드에 대한 자학, 기타 사회적 비판에서 주로 쓰였다. 그리고 그에 대한 해답은 '충옥'이란 시 마지막 부분에 잘 나타나 있다. 보통 사람들이라면 부득불 이를 악 물고 성공하리라 다짐할 텐데 이 시인은 시나리오를 쓰면서 굶주려 죽는 사람들, 꿈을 못 잊어 1년에 500만원 벌고 월세로 600만원을 날리는 영화배우와 함께 지옥으로 가겠다고 다짐한다. 아니, 오히려 그들보다 더 독한 지옥으로 가겠다고 결심하는 것 같다. 이 결심은 단순한 자학만은 아닐 것이다.

 

 P.S 성인 '나'가 라플란드 우체국으로 가다가 소년 '나'에게 편지를 전해주지 못한 이유는 아마 타임 패러독스 때문일 것이다. 타임머신을 써서 과거로 돌아갈 경우 과거의 나와 마주쳐 혼란이 일어나는 상황을 가리킨다. 이는 슈타인즈 게이트라는 게임에서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또한 그 게임의 주인공도 "메일"로 '나'들과 소통할 뿐, 직접 마주하는 일은 없었다. 문학평론가 김영희가 말한 것처럼 나와 나의 커뮤니케이션 실패같은 그런 거창한 게 아니라 생각한다. 이러니 사람이 만화를 보고 애니를 보고 게임을 해야 한다. ㅉㅉ.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