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인호의 인생
최인호 지음, 조금희 그림 / 여백(여백미디어) / 2013년 3월
평점 :
품절


과거를 걱정하고 내일을 두려워하지 마십시오.
주님께서 우리를 벼랑 끝으로 부르시는 것은
우리가 날개를 가진 거룩한 천사임을 깨닫게 하시려는 것입니다.

 

 

 

그는 암을 앓고나서 이 소설을 썼으며,

자신의 경험을 살려 에세이를 씀으로서 더욱더 유명해지게 되었다. 

 

 그는 '암을 치료하는 데 이 약이 좋다 혹은 저 방법이 좋다'라고 이야기 하지 않는다. 단지 투병을 견뎌내는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모든 에세이에서 그렇듯이 여기에서도 그는 종교에 대한 자신의 신념을 표방한다. 단지 이 에세이에서는 그 문장이 더 간결해지고, 표현력은 더 짙어졌을 뿐이다. 그는 창작의 고통을 느낄 때마다 마리아상 품안에 자신의 머리를 파묻고 어린 아이가 떼쓰듯이 영감을 달라고 떼를 썼다고 한다. 중세시절, 창작의 고통으로 인해 뮤즈에게 기대고 싶으나 차마 체면을 버리지 못하고 엄숙한 글을 서면에 쓰는 것으로 자신을 억제했던 시인들과 소설가들이 생각난다. 그들에게는 아마 최인호 소설가가 선망이자 질투의 대상이 아니었을까.

 그는 마침 이 에세이를 쓰다가 김수환 추기경의 죽음과 법정 스님의 죽음을 거쳐가게 되었다. 법정스님이 무소유를 무소유했어야 했다는 그의 말에 나는 새로이 눈을 뜨게 되었다. 본인이 한국의 진정한 문학작가라 부르는 사람은 김진명, 이청준, 이 둘 뿐이었다. 그런데 최인호를 추가해야 하나 말아야 하나로 인해 고민하게 될 줄은 몰랐다. 그런데 솔직히 <광장>을 봤을 때는 김진명의 소설을 봤던 때처럼 찌르르하게 울려나오는 한국의 우렁찬 음성도 없었고, 이청준의 소설을 봤던 때처럼 잔잔하게 울려나오는 한풀이의 곡성도 없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그냥 난 이 분을 유일하게 맘에 드는 한국의 에세이스트로 기억해야 할 듯하다.

 잊혀진 것을 기억하게 하는 게 에세이스트의 역할이라 생각하는데, 본인은 이 분의 글에서 십자가를 지고 가는 예수를 기억했기 때문이었다.

 

 

어릴 적 매우 힘들었을 때 예수와 같이 십자가를 지고 가는 꿈을 꾼 적이 있었는데,

거의 10년간 잊고 있었던 그 꿈을 이 책이 다시 상기시켜 주었다.

힘들때마다 이 장면을 생각하면서 이겨나갈 수 있을 것 같고, 성서를 더 열심히 읽을 수 있을 것 같다.

 

김정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