月刊モ-ニング·ツ- 2016年11月號 [雜誌] (月刊)
雨瀬シオリ / 講談社 / 201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규 학교에 가기 어려운 환경에 있는 학생들이 대안학교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대안학교마저 선택할 수 없는 학생들이 대안교육기관을 가게 됩니다. 다양한 가정환경과 학생 개인의 성장 환경 등이 작용하는 것이죠. 그렇기 때문에 어떻게 보면 더 열악하고 더 도움이 필요한 학생들이 대안교육기관에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음 몰랐음 ㅠㅠ 어제도 학교밖청소년을 만나고 왔다. 1020들 욕하는 사람들도 있던데 내가 만나는 요즘 10대들 너무 똑똑하더라. 내가 오히려 그들에게 배워야 하는 걸 느낀다. 여러분들도 진지한 대화를 나누어보심이 어떨까.


'우리함께동행봉사단' 최혜성 회장은 사회 정착 후 사업을 운영하며 동시에 고아원 봉사활동을 했다. 고향에서 동네에 있던 '계모학원'의 열악한 환경과 고생하던 원아들이 떠올랐다고 한다.



이게 단어상 오해하는 사람들이 있을 것 같음.

북한에서도 가정불화가 있어서, 이혼을 하면 서로가 서로에게 아이들의 양육권을 떠맡긴다고 한다. 결국 아이들은 어느 집에서도 환영받지 못하고 쫓겨나서 골목을 돌아다닌다고.. 그 아이들이 가는 시설이라 한다. 물론 고아들도 모여 있다.

참고로 이제 남한은 고아원이 아니라 보육원이라고 명칭을 바꿨다. 차별의 소지가 있는 단어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최근 북한이 남한과의 전쟁을 선포한 것이나 다름없는 발언을 했다. 전쟁이 일어나면 고통받는 것은 남북한의 여자와 아이들이다. 최소한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으면 한다. 나도 이렇게 말이 많을 바에야 차라리 남한과 북한의 2국가체제가 되었으면 했지만 그것은 서로를 국가로서 존중한다는 전제였다. 그런데 남한의 반응이 미적지근한 걸 보면 기분이 좀 그렇네..

근데 김일성을 모른다는 게 말이 되는 소린지 난 모르겠다. 그걸 공부 안 한다고 하면 아예 독립운동가 공부를 안 한다는 소리 아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