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사들의 노래 - 서지 않는 열차를 멈춰 세우며
홍은전 지음, 훗한나 그림, 비마이너 기획 / 오월의봄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루는 칠부바지를 입고 갔는데 한 장애남성이 "소아마비 장애인들은 다리가 왜소한데 영희씨는 다리가 통통하네요" 했어요. 김은정이 이건 성희롱이라면서 심각하게 문제제기를 했어요.

저는 정확하게 이해가 안 됐어요. 같은 소아마비 장애인으로서 얘기한 건데 그게 그렇게 큰 잘못인가?(...) 나중에야 알게 됐죠. 장애에 있어선 그 남성과 공감대가 있지만 동시에 나는 여성이기 때문에 불쾌감도 느꼈다는 거, 이중적인 감정이 생긴다는 걸요.


주로 비장애인이 장애인 활동가들을 인터뷰하는 책이라 생각하면 된다.

나도 내가 차별을 받는구나, 내가 성희롱을 당하는구나를 커뮤나 SNS에서 그제야 깨닫는 편이라서. 사실 이런 이야기를 자주해야 하는데 너무 현타를 일상에서 겪고 있어서 점점 분노에 둔감해지고 있다. 최근 피임이 100% 성공하는 건 아니라는 사실을 모르는 척하는(구글에서 검색해라 제발 좀.) 놈에게서 다시 내 심장의 페미니즘이 부활하긴 했는데 ㅋㅋ

장애여성과 성이라는 강의에서 대놓고 성추행 발언을 하는 남성 이야기가 등장한다. 아마 그 남자는 지 얘기가 철컹철컹 감임을 모르고 발언했을 듯. 페미니스트 여성인 나에게 여성학 A플러스 학점 받았다고 자랑하는 남자가 피임은 항상 100% 정확하지 않다는 사실을 모르는 건 상당히 충격적이긴 했는데..

생각해보니 2000년도에 교육을 받았다면 그 때의 여성학도 상당히 열악하긴 했을 거다(근데 페친 말로는 양성평등교육원은 무려 18년 전부터 여성의 임신 및 출산의 자유를 주장하는 수준이었다고 한다. 대학교 교육이 개판이었던 것 같다.). 내가 대학교 다닐 때도 페미니스트라는 '남성'을 초빙해 강의를 받았는데, 다짜고짜 여성은 어릴 때 결혼하여 애를 씀풍씀풍 낳아야 한다는 개소리를 해서 너무 충격적이었다. 학생들이나 여교수나 공포에 싸여 굳어있었지. 그 ㅅㄲ 아직도 강의하고 있을까?

아무튼 이래서 본인이 배웠다고 생각하고 잘난척하면 안 되고 끊임없이 책 읽으면서 배워야 한다. 특히 페미니즘 같은 현장이 중요한 과목은 매일같이 배워야 하는데 20년 전에 배운 여성학 자랑하고 있으면 어휴.. 성폭력 성추행 당한 것도 지긋지긋한데 이런 놈 보면 온 몸이 부들부들 떨림. 자신이 아무리 정의로운들 뭐하나? 소수자와 약자에게 상처를 주는데..

그나저나 페미니즘 관련 글이 눈에 착착 붙는 거 보면 다음엔 스티프트 읽어야겠다.

정책에 관련되서는 약간 공부를 해야 알 수 있는 용어들이 많다.

장애등급제 폐지

근데 사실 폐지되었다고 보기엔 무리다. 숫자 등급에서 심한 장애/심하지 않은 장애로 구분되었을 뿐.

장애등급을 받는 순서는 아래와 같다.

동사무소에서 제출받을 서류 안내 들음->병원에서 의사에게 서류 받음->동사무소에 서류 제출->동사무소가 공단에게 서류 제출->공단 심사->장애인 해줄지 말지 심한 장애로 할지 말지 거동이 불편한 걸로 할지 연금 줄지 등을 결정함

장애인으로 인정을 받는 것조차 쉽지가 않다.

장애인활동지원

병원 자료 및 관공서 관련 자료를 전반적으로 모아서 공단에서 조사를 받은 후 장애인활동지원사에게 서비스를 받는 제도이다. 지원사의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아직도 쇄도하고 있으나, 유독 복지 약자 중에서도 예민한 장애인에게는 아직 반가운 서비스이다. 그러나 장애인활동지원은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24시간 지원이 거의 안 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조사를 받고 심의를 받는 시간이 길면 2달 걸리기 때문에 유연한 지원이 불가능하다는 단점도 있다. 2024년 6월부터 최중증 발달장애인(공단 심사 필요) 통합돌봄서비스를 시행할 예정인데 거기서는 24시간 지원이 가능하다고 적혀있다. 과연...?

노인장기요양보험

공단에서 진행한다. 등급이 나누어져 있다. 보통 만 65세 이상의 장애인들은 이 서비스를 받아야 하는데, 이 책에서 보다시피 예외도 가능하다(아마 노인장기요양보험 이용시 급여량이 줄어들었을 듯). 알츠하이머는 장애인등급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그쪽을 위한 정책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질라라비에 대한 설명이 없어 공유하고자 글을 올린다.

'질라라비'는 길들여지지 않은 야생의 억셈을 상징하는 새를 뜻하는 말로, 우람한 몸집과 우렁찬 울음을 지닌 닭의 본래 모습을 뜻하는 우리 옛말이기도 하다. 결국 '질라라비 훨훨'은 인간에게 사육당해 나는 법을 잃은 닭이 자유와 해방의 본성을 찾아 날갯짓을 하며 다시 훨훨 날아오른다는 것을 뜻한다.

https://brunch.co.kr/@minho8383/49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