웬만해선 아무렇지 않다 마음산책 짧은 소설
이기호 지음, 박선경 그림 / 마음산책 / 201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음 이런 꽁트집같은 소설집 좋은데 잘 안나온다.
웃기고 슬프고 서럽고 고달프다.

그래도 잠깐이나마 픽픽 웃을 수 있던게 소설읽으면서 얼마만인지 몰라서 감히 별다섯개를 찍었다ㅋ 우리 소설들은 뭐 어떻게하면 더 심각할까만 고민하는 기분이라 그만큼 웃음이 고프다.

짧은 글 쓰는게 어쩜 더 괴로울지도 모르겠단 생각도 같이 들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6-10-08 21:0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평소에 글 써본 적이 없는 사람은 글 길게 쓰는 것을 어려워하는 반면에 글을 많이 쓴 사람들은 짧게 쓰는 것을 어렵게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제가 두 가지 유형의 사람들을 만나 보면서 느꼈던 것들입니다. ^^;;

singri 2016-10-08 21:03   좋아요 0 | URL
그러니까요. 짧은 글에 구구절절 얘기를 다 넣어야되니까요 .
 
[블루레이] 검사외전 - 부클릿
이일형 감독, 황정민 외 출연 / KD미디어(케이디미디어) / 2016년 9월
평점 :
품절


아 강동원은 그냥 잘생기기만 했다는.

감잃었으 ;

황정민은 점점 너무 캐릭터가 겹치는 기분

그래도 잘 하기는 하지만 너무 많이 찍는거 아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주식회사 대한민국 - 헬조선에서 민란이 일어나지 않는 이유
박노자 지음 / 한겨레출판 / 201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42-22. 주식회사 대한민국 ㅡ 박노자

실로 무서운 책이고 답답한 책이다. 대한민국의 현실을 제대로 까발려놨는데 나로선 작가가 내놓은 답에서 이렇다할 해답을 읽지 못했기 때문이다.

헬조선에서 민란이 일어나지 않는 이유를 다각적으로 해석해놨는데 그냥 두루뭉술하게 짐작하거나 알고 있거나 아예 모르는 부분들에서 수치적으로 역사적으로 정확한 자료들을 토대로 설명을 듣다보니 아 절망의 한숨밖에 나오지 않는다.

죽어서라도 뒤집어낼 수 있다면 뒤집겠다 하지만 이미 우리나라는 너무 많이 죽고 있고 죽었는데도 아무도 죽은 이들을 돌아볼 여력이 없다. 그저 내가 죽을 차례만 기다리는 형국이라고 해야되나? 국가나 정부는 오히려 그런 상황을 망각하고 매력한국이니 호프한국을 떠들고 창조한국의 나라로 확신하고 있다. 사람이 죽어가는 창조의 나라라니. 이 무슨.

단죄되지 못한 친일의 문제, 그로인해 이어진 국가의 병영화, 공기업의 민영화, 노조탄압, 진보정치의 몰락, 노동자들이 연대할수 없어진 또다른 계급의 탄생(?) 등등 우리가 처해있는 구조적인 문제의 거대함과 복잡성 앞에 어떤 능력자가 풀어낼 수 있을까 정말 그런 생각이 들었다.

신 귀족 사회를 아우르는 삼성가와 대기업들 그밑의 육두품들 등등 실로 우리나라의 현실이 조선보다 나은게 뭐란 말인가?

작가는 무엇을 할 것인가를 놓고 생존권을 위한 비정규직 고용의 자유와 공장을 해외로 이전 할 자유, 공공부문 민영화할 자유를 빼앗자고 선언하는게 계급투쟁의 시작이란다.

문제를 짚어보는것만으로도 이렇게 가슴이 답답하다. 그렇지만 이런 문제들로 대한민국은 노인이, 아버지가, 청년이, 아기가, 선생님이, 예술가가, 작가가, 노동자가 하루하루 죽지 못해 살다가 끝내 죽는 나라가 됐다.

예전엔 이런 사회적문제들을 애써 지나치고 머리 복잡한 일로 여겨지고 또 내가 어떻게 바꾸나 하는 자괴감으로 읽기조차 포기했었다. 우리 아이들이 어른으로 클 나라도 지금과 같다면 그들또한 또 나같이 고민하고 답답하겠지 라는 생각.

이책을 읽었다고 어떤게 바뀌리라 생각이 들지는 않지만 조금씩 읽어보고 있다. 무언가 바꿀수 있는 조금의 여지에 내가 있고 싶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키아벨리 2016-09-09 17:2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팟캐스트 시사통에 이 책 소개가 나온 것을 보고 읽었는데 생각했던 것보다 현실이 너무 암울해서 그냥 책을 덮었는데, 그래도 현실이 이 책의 내용보다는 나으리라는 바람을 가지기 위해서였던 것 같습니다.

singri 2016-09-09 19:13   좋아요 0 | URL
아 시사통이 김종배아저씬가요? ㅋ 중립적이었던거같은데 가끔 너무 어려워서 듣다말다 그랬네요. 음 책이 좀 너무 암울해서 저도 읽다가 그만 봐야하나 그랬는데 ㅋㅋㅋ외국인 교수지만 너무 적나라하게 말하면서 대걱정을 하는데 반해 나는 제대로 아는게 없구나 생각이 들더라구요. 딱히 어떻게 해보자 하는걸 떠나서 제대로 알고나 있자 하는 마음이 들긴해요.

마키아벨리 2016-09-09 20: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 김종배 씨 맞습니다. 박노자 교수는 우리하고 다른 체제 출신이라 느끼는 게 다를 것 같습니다만.
 

저녁에 하루키 여행기를 읽고있는데 문득 아 이렇게 허허롭게 여행 다니고 펜이랑 종이만 있으면 돈 벌 수 있고 참 편하고 좋겠구나 싶으면서 뜬금없이 내가 참 고달프구나가 확 와닿았다.

굳이 비교할 필요가 없는데도 비교를 하는 내 자신도 우스웠지만 뭔가 잡지말투를 보는듯한 기분이 들어서 좀 웃겼다.
그러면서 우리나라에는 왜 아이언맨 같은게 없어서 이리도 고달픈것인가 하며 미국에도 사실은 없는 아이언맨을 뜬금없이 생각했다.

내가 만화나 웹툰을 못 읽어서 모르는걸테지만 이런 나같은 사람도 알만한 최신예 히어로가 우리나라에 없ㅊ는것 같다.

나라가 힘이 없으면 캐릭터들도 힘이 없어야 되나? 아니면 그런건 장사가 안되나? 아 그런걸 만들 돈이 없는건가? 해리포터도 전형적은 아니지만 히어로이지 않나? 우리작가들도 뭔가 한국 아이언맨 한국 해리포터 좀 써 줬으면 좋겠다. 현실적으로 대신 두드려줄 영웅이 필요하다.

아ㅠ이래서 막장이랑 권선징악이 대신하는건가. 이순신도 불멸하시고.. 암튼 하루키 여행기를 읽으면서 이런걸 생각하는 나도 참 웃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cyrus 2016-09-08 08:3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우리나라에도 히어로가 있었죠. 우뢰매라고.. ㅎㅎㅎ 그런데 그때는 변신 히어로가 아이들이 좋아하는 캐릭터로 여기던 시절이라서 시간이 지나면서 잊혀지고 말았어요.

singri 2016-09-08 09:31   좋아요 0 | URL
맞아요 우뢰매 태권브이 마루치아라치 똘이장군 . ㅋㅋ생각해보니 어렸을때가 그리운거에요. 만화를 보면 되는 거였어 ㅋㅋㅋ
 

음 최근엔 육아로 몇년 여행다운 여행은 해보지 못한 나로썬 이런 여행서들이 실로 대체적으로 여행의 맛을 떠올릴수 있겠다 싶은데 이놈의 여행이란 것이 모든 조건을 맞춰내기가 힘들어 좀처럼 언제 갈지 모를 요원한 일이 되고나서부터는 여행서란 그야말로 딴나라 뜬구름 이야기로 들릴뿐이다. 설마 하루키마저 그럴까 했는데 ..

내 생활의 팍팍함때문이겠지만 초반의 편한 여행기 느낌보다는 너무밋밋해서 그냥 못 읽었던 하루키 소설이나 읽을껄 싶었다. 그냥 여행기 아닌 대놓고 잡담일때가 오히려 한걸음 다가오는 혹은 사람 같은 하루키씨로 더 느껴졌다. 친근한 그림체의 하루키를 대체 왜 사진으로 도배를 했는지ㅡ.ㅡ

음식평이나 음악평 야구에 대한 이야기들은 익히 알고 있지만 딱히 더 먹고 싶거나 들어보고 싶은 류가 아니라서(이 또한 내 갑갑한 생활상 때문이겠지만) 별로 구미가 동하지가 않았다.

그러니까 여행이란 오롯이 자신이 드러나는 일이고 그러한 여행이 그 사람의 깊이를 들여다보는 일일테고 여행기를 통해서 작가의 또 다른 한면을 보게되고 나도 돌아 보는 일일 것이다.빈약한 밑바닥 감성을 하루키 정도면 대신 좀 끌어올려줘야 되는거 아니냐고요.

내가 라오스에 뭐가 있는걸 전혀 알 수 없듯이 하루키도 몰랐고 책으로만은 그 느낌적 느낌을 사실상 잘 모르겠다. 아마도 나는 흠 그러니까 하루키식으로 된 삼시세끼같은 여행기를 기대했는지도 모르겠다. 왠지 그래줄꺼같았다. 왠지..ㅋㅋㅋ
또 아마도 내가 근래 여행을 준비중이었거나 다녀온 뒤였다면 또 다르게 읽혔을지도 모르겠다. 정말 여행기는 이제 그럴때 읽어야겠다.

그저 조깅하기 편한, 스케치나마 보스턴의 상쾌하고 여유로운 아침이나 이탈리아의 스치는 풍경같은 예전 이야기나 인구당 독서인구가 제일 많다는 아이슬란드의 고즈넉함 또는 독특함 같은걸 그냥저냥 잘 드러내줘서 그런부분들이 아니었다면 좀 대실망할뻔.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