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 최근엔 육아로 몇년 여행다운 여행은 해보지 못한 나로썬 이런 여행서들이 실로 대체적으로 여행의 맛을 떠올릴수 있겠다 싶은데 이놈의 여행이란 것이 모든 조건을 맞춰내기가 힘들어 좀처럼 언제 갈지 모를 요원한 일이 되고나서부터는 여행서란 그야말로 딴나라 뜬구름 이야기로 들릴뿐이다. 설마 하루키마저 그럴까 했는데 ..

내 생활의 팍팍함때문이겠지만 초반의 편한 여행기 느낌보다는 너무밋밋해서 그냥 못 읽었던 하루키 소설이나 읽을껄 싶었다. 그냥 여행기 아닌 대놓고 잡담일때가 오히려 한걸음 다가오는 혹은 사람 같은 하루키씨로 더 느껴졌다. 친근한 그림체의 하루키를 대체 왜 사진으로 도배를 했는지ㅡ.ㅡ

음식평이나 음악평 야구에 대한 이야기들은 익히 알고 있지만 딱히 더 먹고 싶거나 들어보고 싶은 류가 아니라서(이 또한 내 갑갑한 생활상 때문이겠지만) 별로 구미가 동하지가 않았다.

그러니까 여행이란 오롯이 자신이 드러나는 일이고 그러한 여행이 그 사람의 깊이를 들여다보는 일일테고 여행기를 통해서 작가의 또 다른 한면을 보게되고 나도 돌아 보는 일일 것이다.빈약한 밑바닥 감성을 하루키 정도면 대신 좀 끌어올려줘야 되는거 아니냐고요.

내가 라오스에 뭐가 있는걸 전혀 알 수 없듯이 하루키도 몰랐고 책으로만은 그 느낌적 느낌을 사실상 잘 모르겠다. 아마도 나는 흠 그러니까 하루키식으로 된 삼시세끼같은 여행기를 기대했는지도 모르겠다. 왠지 그래줄꺼같았다. 왠지..ㅋㅋㅋ
또 아마도 내가 근래 여행을 준비중이었거나 다녀온 뒤였다면 또 다르게 읽혔을지도 모르겠다. 정말 여행기는 이제 그럴때 읽어야겠다.

그저 조깅하기 편한, 스케치나마 보스턴의 상쾌하고 여유로운 아침이나 이탈리아의 스치는 풍경같은 예전 이야기나 인구당 독서인구가 제일 많다는 아이슬란드의 고즈넉함 또는 독특함 같은걸 그냥저냥 잘 드러내줘서 그런부분들이 아니었다면 좀 대실망할뻔.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