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날들 - 윌리 로니스의 사진 그리고 이야기들 내 삶의 작은 기적
윌리 로니스 지음, 류재화 옮김 / 이봄 / 2011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사진집이지만 같이 실린 글들이 훨씬 좋았다. 필사를 여러 번 했고 지금도 가끔 꺼내 읽는다. 뜬금없는 비교지만 비비안 마이어의 매력을 코멘트의 부재에서 찾을 수 있다면 윌리 로니스의 매력은 사진만큼이나 인상적인 코멘트에 있다. 셔터를 누르던 그 순간으로 독자를 데려다 놓는 매력적인 산문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삼부녀
손창섭 지음 / 예옥 / 201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손창섭은 진정 앞서 간 사상가다. 어떤 사회적 문제가 있다면 그는 자신이 창조한 인물들을 그 상황에 던져놓고 끝을 보고자 했다. 통속적이니 싸구려니 더럽다느니 그에 대한 멸시는 시도조차 하지 않았던 이들의 못난 시기심에 불과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충동의 배후 - 우리 행동을 조종하는 좀비 뇌
데이비드 루이스 지음, 전대호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15년 10월
평점 :
판매중지


현대 과학은 자유의지에 대한 인간의 믿음이 환상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끊임없이 증명해내고 있다. 다만, 저자는 우리가 자유의지 자체를 불신하고 자신의 모든 행위를 뇌와 사회 구조의 탓으로 돌려버릴 때 비로소 좀비 뇌에 지배된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이런 책들을 계속 읽는 것이 지나치지 않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뼛속까지 내려가서 써라
나탈리 골드버그 지음, 권진욱 옮김 / 한문화 / 2013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책마다 고유의 호흡이 있다고 믿는다. 이 책을 펼치고 몇 장 넘겼을 때 유난히 긴 호흡이 느껴졌었다. 단박에 읽고 치울 만한 책이 결코 아니었기에 하루에 몇 장씩 아껴 읽었다. 읽는 내내 멈추고 생각하고 옮겨적다 보니 어느새 다 읽어버리고 말았다. 고민이 많았다. 내가 진정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 잘 쓴 글인가, 쓴다는 행위 그 자체인가. 그러고 보니 은유 작가의 『글쓰기의 최전선』을 읽을 때도 비슷한 고민을 했던 것 같다. 책을 덮으니 답이 따라왔다. 꾸준히 쓰고 싶다는 것. 내 마음은 내가 쓴 글이 아니라 쓰고 있는 나에게 기울어져 있었다.


좋은 글에 대한 감각을 기르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다. 첫째, 많이 읽기. 둘째, 많이 쓰기. 여기서 중요한 것은 ‘잘’이 아니다. ‘많이’다. ‘잘’ 쓴다는 것은 우선 많이 쓰지 않고서는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어떤 커피가 맛있는 커피인지도 모르는 사람이 바리스타가 될 수 있을까? 원두의 배전도가 어떤지, 얼마나 갈아야 하는지, 탬핑은 어떻게 하고 머신의 압력은 어느 정도가 되어야 하는지 따위는 어디까지나 ‘기술’일 뿐. 바리스타가 되려면 기술을 익히기에 앞서 맛있는 커피가 무엇인지부터 알아야 하는 게 순서다. 그들은 우연히 맛있는 커피를 맛보고 이 세계에 매료되어 바리스타가 되기로 결심한 것이지 기술부터 익히고 뒤늦게서야 커피 맛을 배운 게 아니다. 비단 바리스타뿐만 아니라 세상의 모든 일이 이와 다르지 않다. 마찬가지로 잘 쓰기 위해서는 일단 어떤 글이 좋은 글인지를 알아야 한다. 좋은 글에 대한 나만의 좌표도 없는 사람이 허구한 날 베스트셀러 작가가 추천하는 ‘좋은 문장 만들기’ 따위를 외운다고 해서 좋은 글을 쓸 리 만무하다. 그러니까 일단 ‘잘 쓰기’에서 ‘잘’은 내려놓고 ‘쓰기’와 친해져야만 한다. 쓰기 근육을 단련해야 좋은 문장을 부릴 줄도 아는 것이다. 될 수 있으면 많이 읽는 것도 겸하면 좋고.


따라서 이 책은 어떤 문장이 좋은 문장인지, 어떤 글이 논리적인 글인지를 논하지 않는다. 저자인 나탈리 골드버그는 좋은 문장, 논리적인 글 ‘이전에’ 일단 ‘쓰기’라는 행위에 자체로 돌아갈 것을 요구한다. 그녀가 강조하는 것이 바로 ‘많이 쓰기’다. 글을 완성하지 않아도 좋으니 일단 많이 쓰라고 말이다. 아니, 완성하지 말라니? 매번 쓸 때마다 '한 편'의 완성된 글을 쓰도록 교육받은 나로서는 쉽지 않은 일이다. 그러나 완성된 글에 대한 부담감은 ‘쓰지 않기’라는 최악의 상황으로 이어질 때가 많다. 잘 써야 하는 것도 모자라 완성까지 해야 한다는 압박감이 손을 마비시키는 것이다. 하지만 글쟁이는 어쨌든 써야만 한다. 써야 작가든 칼럼리스트든 뭐든 할 것이 아닌가. 그럼 결국 이 부담감을 어찌 해소하는가에 대한 고민으로 빠질 수밖에 없다. 그녀는 계속해서 말한다. 잘 쓰려고 하지 마라, 완성하려고도 하지 마라, 문법이니 논리니 전부 내려놓고 일단 ‘많이’ 써라. 당신이 쓰기와 친해진다면 잘 쓰는 것은 물론이요 글 한 편 완성하는 것도 어려운 일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될 것이라고.


그녀는 내가 쓴 글에서 떠나라고까지 말한다. 어쩌다 괜찮은 글을 한 편 썼다고 자만하지 말라는 것이다. 공감한다. 글을 쓰는 ‘행위’가 바로 나다. 그러므로 작가는 자신이 쓴 글에서 미련없이 떠날 줄 알아야 하고 멈추지 말고 써야만 한다. 내가 쓴 글과 나를 동일시하는 순간 나의 글은 정체될 것이다.  


나는 책을 읽을 때 실제로 밑줄을 긋진 않는다. 다만 옮겨 적을 뿐이다. 만약 이 책에 실제로 밑줄을 그었다면 아마 지금쯤 거진 모든 페이지에 밑줄이 그어져 있지 않을까 싶다. 독서 기간 동안 알라딘에 꾸준히 밑줄을 등록했는데 오늘 마지막 밑줄 두 개를 등록하려고 보니 ‘밑줄긋기는 최대 50개까지 작성할 수 있습니다.’라는 경고창이 떴다. 이 책이 알라딘에 등록할 수 있는 최대 밑줄 개수를 알려준 셈이다. 많이도 그었다. 책에 밑줄이 많다는 것은 내 마음을 움직인 문장이 그만큼 많다는 뜻이다.


매일 쓰기로 했다. 이제는 백지가 망망대해처럼 느껴지진 않는다. 내 앞에 놓인 백지는 이를테면 스펀지다. 곧 내가 부려놓을 상념들을 머금을 준비를 하고 내 앞에 놓여 있는 스펀지. 두렵지 않다. 백지는 내가 그 어떤 수치스럽고 비밀한 이야기를 털어놓더라도 묵묵히 포용해 줄 것이기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동안 독서를 못 하고 있다. 


알 수 없는 이유로 시작된 눈 떨림 현상이 일주일 이상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안과, 신경과에서도 자세한 이유를 알지 못하는 듯하다. 


증상이 계속되면 대학 병원에서 정밀 검사를 받아봐야 한다는데 왜 하필 눈일까 싶다. 


책을 읽지 못하니 하루하루를 그저 허무하게 흘려보내는 기분이 든다. 


그럼에도 이번 주에 책을 세 권이나 사버렸다. 나도 참 대책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