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의 달인, 호모 로퀜스 - 언어가 춤을 춘다 세상을 다 말하라! 인문학 인생역전 프로젝트 3
윤세진 지음 / 그린비 / 2007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어제 트위터에서 다소 황당한 일을 목격했다. 맞춤법이 엉망인 어떤 글을 캡쳐한 트윗이 타임라인에 올라왔다. 캡쳐 사진을 올린 유저는 단지 맞춤법만으로 캡쳐 속 사람이 ‘비서울권’, ‘고졸’, ‘일용직 노동자’라는 걸 유추해냈다. 물론 실제로 그러한지는 확실하지 않다. 만약 사실이라 할지라도 그건 중요한 게 아니다. 언어 능력 하나만으로 누군가의 학력과 지역, 나아가 경제 능력까지 판단해버리는 게 문제다. 캡쳐 트윗을 올린 유저를 옹호하는 다른 트윗도 보았다. 그 사람을 비하하거나 무시하려는 의도가 아니라 단지 가여워했을 뿐이라는, 말인지 방구인지 당최 분간이 안 되는 옹색한 변명. 비난은 안 되지만 연민은 상관없다 그 말인가?


이 책을 읽으며 처음에는 저자가 좀 엉뚱하게 느껴졌다. 우리가 나쁘다고 생각하는 줄임말이나 신조어, 사투리나 비속어가 실은 아무 문제가 없다는 주장. 분명 저자의 말은 언어에 대한 나의 통념을 재고하도록 부추기는 면이 있었다. 우리는 반드시 글을 형식에 맞도록 써야하며, 독서를 할 때에는 저자의 의도를 파악하는 것이 기본이라 배웠건만 저자는 그런 것에 굳이 얽매이지 말라는 것이다. 이상하다? 티브이에선 아나운서가 18번은 일제의 잔재니까 애창곡이라고 표현하는 게 맞다던데? 그런데 그게 아니라고?


저자는 이것이 엄연한 편견이라고 주장한다. 애당초 우리가 사용하는 한국어부터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면 수많은 언어가 닿고 섞여서 조금씩 변화해 온 것인데 언어순혈주의를 내세워 18번이니, 애창곡이니 하는 것 자체가 아무런 의미도 없다는 것이다. 18번이라 부르면 어떻고 애창곡이라 부르면 어떤가? 이미 사람들은 그것이 무슨 의미인지 잘 알고 또 잘 사용해오고 있는데 말이다. 표현의 본래 속성이 잘못된 것이 아닌 이상 구태여 쓰지 말아야 할 이유가 있을까? 듣고 보니 그렇다. 이어서 저자는 묻는다. ‘이 말은 일본어에서 나온 말이라고 해서 버리고, 저 말은 영어에서 나온 말이라고 해서 또 버리고, 그런 식으로 버리다 보면 마지막에 남는 '순우리말'은 얼마나 될까?’(p.118)




태어나면서부터 지금까지 관계 맺은 수많은 사람들로부터 배우고 익힌 언어들을 통해 내가 나의 언어를 갖게 된 것처럼, 이렇게 낯선 언어가 자신의 것과 뒤섞이는 과정이 끊임없이 반복됨으로써 이러저러한 언어들이 생겨난 것이 아닐까? 언어란 그렇게 처음부터 이질적인 것들의 ‘화합물’로 있었던 것이지, 결코 단일 원소로 된 것은 아니었을 것이다. 따라서 국어의 순수성을 강조하는 건 일종의 강박관념일 뿐이다.


p.114



저자가 강조하는 것은 결국 ‘창의력’. 우리는 스스로 언어의 용법을 속박하고 있다. 언어를 가두면 가둘수록 사고 또한 갇히게 마련이고 이는 필시 창의력의 빈곤을 불러온다. 인간의 행위가 언어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사실을 안다면 굳이 속박하여 사고를 제한할 이유가 어디에 있단 말인가? “넌 어린애도 아니고 왜 자꾸 줄임말을 쓰냐?”, “보그체 그거 다 허세 아니야?”, “저 연예인은 아직도 사투리를 못 ‘고쳤네’”……. 이런 편견을 알게 모르게 내면화한 사람들이 모인 사회가 결국 ‘다름’을 ‘틀림’으로 해석하고 빼어난 사람을 나댄다고 비난한다. 


여기서 그치면 다행. 우리는 어쩌면 앞서 언급했던 어느 트위터 유저와 같이 규범에 어긋난다는 이유로 그 사람의 인생까지 모조리 재단해버리는 치들과 함께 살아가야 할지도 모른다. 아니, 이미 늦었는지도 모르겠다. 한글이 탄생하던 시기 조선의 고관대작들은 그것을 천한 것들이나 사용하는 언문(諺文)이라 불렀다. 그리고 2016년 현재, 우리는 그 언문으로 또다시 그들과 같은 벼슬아치 짓거리를 반복하고 있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5DOKU 2016-02-15 17: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알라딘 책 정보 노출에 오류가 있는 모양이다.

책 제목은 『언어의 달인, 호모 로퀜스』다.

알라딘, 일해라!

yureka01 2016-02-15 19: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언어는 결국 많이 쓰이면 그게 맞는 거란 생각입니다.자장면이 짜장면이 되듯이....

5DOKU 2016-02-15 19:28   좋아요 0 | URL
간혹 하나를 구조 전체에 영향을 주는 사례가 있긴 합니다. 다만, 일반적인 경우 저도 님이 말씀하신 게 맞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