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누도 잇신의 <황색 눈물>.
별 신통할 것도 없는 인연을 내세워, 만화가 에이스케의 단칸방에 한 명 한 명 기어들어와
1963년, 올림픽이 열리던 해 여름을 났던 청년들.
일본의 아이돌 그룹 아라시 멤버들이 더이상 어울릴 수 없는 역들을 맡아
청춘의 얼굴로 표상되는 연기를 펼쳤다.
어쩌다 보니 자신의 손바닥만한 방이 네 청년의 합숙소가 되어 만화 한 컷 그리는 것조차
여의치 않게 되었지만 에이스케는 친구들을 내치기는커녕
유명 만화가의 밤샘작업을 돕는 아르바이트로 얼마간의 목돈을 마련하여
여름을 함께 날 자금을 마련한다.
자기가 돌아오기만 바라며 친구들이 굶고 있지 않나 달려왔더니
운좋게 케이의 그림 한 점이 팔려 양식집에서 배 터지게 이것저것 시켜 먹고 있는 녀석들.
아마추어 화가 케이, 가수 지망생 쇼이치, 소설을 구상중인 슈조는 꿈만 거창할 뿐이다.
그들은 배가 고프면 동네 전당포에 자신의 미래를 저당잡혀 돈까스 덮밥을 시켜먹는 짓도
마다하지 않는다.
화구 세트, 기타, 만년필.
동네 쌀집 배달부로 또래의 예술가 지망생인 그들에게
군둥내 나는 쌀을 제공하는 등 무조건적인 호의를 베푸는 근로청년 유지.
땀을 뻘뻘 흘리며 배달을 하는 동안, 꼴에 예술을 한답시고 아무 하는 일 없이
몰려 다니며 무위도식하는 녀석들이 눈꼴 시려울 만도 한데
처음부터 끝까지 웃으며 친절을 베푼다.
모처럼 돈이 생겨 조그만 양철 세숫대야를 하나씩 들고 그들이 떼로 목욕 가는 장면.
클래식 카페에서 제목만 거창하게 적힌 원고지 뭉치를 앞에 놓고
작품구상은 고사하고 곁눈질로 웨이트리스만 훔쳐보는 슈조.
꼬질꼬질한 그의 단벌 재킷.
재떨이에서 쓸만한 담배꽁초를 주워 피며 앉은뱅이 책상 앞에서 만화를 그리는 에이스케.
백지 위에 펜촉이 슥슥 지나가는 소리가 듣기 좋다.
케이와 친구들이 에이스케에게 보낸 편지로 소개되는
'인생은 사람을 속이지 않는다' 어쩌고 저쩌고 하는
영화의 마지막 내레이션이 좋았다.
더 기가 막힌 건 집 앞 모퉁이의 담배가게 할머니와 담벼락 밑의 개,
돈까스덮밥집 주방장(겸 주인)까지 한 명도 빠지지 않고
엔딩크레딧의 애니메이션에 등장한다는 점이다.
그 따뜻하고 세심한 눈길이 좋아서 극장 계단을 내려올 때 실실 웃음이 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