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에 홀가분하게 나갔다왔다. 이번주부터 2시에 온다는 걸 얼마나 손꼽아 기다렸던가.
우선, 은행에 들러 여행가려고 모아두었던 적금을 깼다. 적금으로 받는 이자보다 대출이자로 나가는 것이 더 크기에 대출금을 좀 줄이기로 했다. 여행 적금을 깨고 마음이 허탈하긴 했지만 요새 변변히 용돈도 못 드렸던 엄마께도 용돈 좀 드리고 왔다. 그랬더니 엄마 왈, 그제 꿈엔 돈봉투를 잃어버리는 꿈을 꾸고, 뜨거운 주전자에 화상을 입었는데 작은 언니가 와서 병원에 다녀왔단다. 어젠 그러니까 오늘 새벽무렵엔 화장실에서 똥을 치우려고 하다가 손에 똥이 범벅이 되었단다. 씻으려고해도 물이 없어 씻기도 못하고 엄청 주무르고 계셨는데 내가 와서 용돈을 드리고 간단다. 그런데 꿈에 오빠 얼굴이 요상하게 나와 꿈이 참 별로다 했단다. 그런데 모아두셨던 500원짜리 동전과 100원짜리 동전을 통장에 넣겠다고해서 동전을 셌는데 38600원이었다. 그런데 기계에 넣은 동전이 38460원이라는 것이다. 분명 100원짜리와 500원짜리만 있었는데 말이다. 내가 아니라고 갸우뚱거리는데 직원은 전혀 아랑곳하지 않는다. 기계에 넣는 것을 직접 보지도 못했다. 내가 있던 창구는 가장 바깥쪽이었고 동전기계는 안쪽에 있었다. 여하튼 기분이 썩 좋지 않았지만 기계가 그렇게 분류했다는데 마땅히 따질 수도 없었다. 엄마도 500원짜리랑 100원짜리랑 구분해서 모아두셨기에 이상하다 하셨지만 따져서 묻고 싸우지 말자고 하시며 꿈 이야기를 하신다. 그깟 140원으로 오빠에게 생길 나쁜 일이 액땜되었길 바라시는 것 같다. 아무 것도 아닌 140원이지만 액땜했다면 다행이지만 정말 이상한 일이긴 하다. 엄마 동전을 넣기전에 엄청나게 동전 기계가 바쁘긴 했는데 엄마 말로는 고장난 것 같으시단다.
거주지는 서울인 친구의 직장은 친정 근처이다. 언제든 한번 점심 먹자 말만했다. 년수에 따라 발령이 나는데 올 해까지만 이곳에서 근무를 한다며 다른데로 가기 전에 한번 보자고 했다. 매번 말만했지 막상 만나려고하면 시간에 쫓기기도 하고, 친정엄마랑 시간 보내다보면 못 만나는 일이 많다. 그래서 오늘은 특별히 시간을 내어 친구를 만났다.
오랜 친구는 언제 만나도 참 좋은 것 같다. 서로 많이 바빠서 자주 보지는 못하지만 서로의 이야기를 서슴없이 할 수 있으니 말이다. 함께 점심을 먹고 간단히 커피 한잔 마시고 헤어져 왔다.
친구를 만나러 가면서 무슨 책을 가져갈까 고민하다가


네 권의 책을 골라갔다. 워낙 다독을 하는 친구라 유명한 책은 일부러 담지 않았다.
알라딘 신간평가단활동하면서 작년에 받았던 책들인데 김숨의 <물>은 정말 신선했다. 친구는 어떻게 읽어낼까 궁금하다. 또 <당신 옆을 스쳐간 그 소녀의 이름은>도 군더더기없이 쓴 당찬 신인의 작품이란 생각을 했었다. 물론 재미있게 읽었으니 친구도 재미있게 읽어내지 않을까하는 기대로 골랐다.
<숨김없이 남김없이>는 끝까지 다 읽어내지 못했던 중도에 포기했던 책이다. 실험 소설을 쓴다는 김태용 작가의 의도는 모르는바 아니지만 도저리 스토리라인이 없는 글을 읽어낼 재간이 내게는 없었다. 친구는 과연 어떻게 읽어낼지 궁금하다.
<사는게 참 행복하다>는 소소한 시골 생활의 이야기를 읽으며 마음의 여유를 갖길 바라는 마음에서 골랐다.
다행히 네 권 모두 읽어보지 못한 책이라며 반가워했다. 그리고 고마웠는지 자기가 읽고 있던 책을 내게 주었다.
<딸과 함께 떠나는 건축여행>이라는 책인데 여행 좋아하는 내가 읽으면 좋을 것 같다며 선뜻 건네 주었다.
오랜만에 만난 친구와 아이들 자라는 이야기, 남편의 모자란 이야기 등 두런두런 이야기를 더 나누고 싶었지만 친구는 직장으로 나는 아이들 마중하러 가야하기에 다음을 기약하며 헤어져왔다.
친했던 다른 친구의 둘째 아이가 어느새 돌이란다. 애들 키우느라 연락이 뜸하긴 했지만 오랜만에 얼굴 보러 다녀와야겠다.
아이들의 인생의 절반 이상을 차지해버린 것 같아 씁쓸하기도 했지만 요샌 그 아이들과 재밌게 보낼 궁리하느라 더 즐거운 인생을 보내고 있다. 아이에게 좀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나니 아이들이 더 많이 밝아지고 더 많이 자신감에 찬 것 같다. 또 긍정적이고 열정적인 모습까지 보인다.
오늘 현준이네 담임샘이 전화하셔서 주말 과제도 잘 해왔고, 현준가 발표도 잘했다고 칭찬해주셨다. 또박또박 자기를 소개하는 아이의 모습이 어찌나 의젓하고 멋졌는지 모른다며 현준이가 마냥 사랑스러우시단다. 다행스럽게도 칭찬을 잘 해주시는 선생님을 만난 것 같다. 아이가 선생님을 잘 따른다며 너무 좋으시다고해서 나도 많이 고맙다고 전했다.
요즘 현준이도 같은 반이 된 친구가 같은 태권도장에 다니게 되었다며 신이났다. 요새 현준이가 신이나서 유치원에 다니고 태권도장에 가는 걸 보는 엄마도 같이 신이 난다. 사는 게 참 행복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