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얼굴의 다양성이 진화했을까?


사람의 지문은 저마다 독특해 개인을 식별하는 데 쓸 수 있지만 신호를 보내도록 진화하지 않아 대개 지문을 보고 서로를 식별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눈 속 미세한 혈관들의 독특한 무늬처럼 지문은 그게 가능한 단서(que)일 뿐이다.

반면에 정체성 신호(signal)는 동물의 생존을 돕는 동시에 개체 인지를 돕는 표현형 형질이다. 남이 착각해 자신을 공격하거나, 자신의 친절에 보답하지 않거나, 자신과 성관계를 가졌다는 사실을 잊거나, 자신이 자녀임을 알아보지 못하는 일을 원치 않는다면 내가 다른 사람이아니라 바로 나임을 알릴 어떤 방법이 필요하다. 그러려면 거기에 쓰이는 형질은 뚜렷하게 구별되고 기억할 수 있는 많은 변이를 지녀야한다.

따라서 예상할 수 있겠지만 얼굴 형질은 우리 몸의 다른 부위보다 다양성이 더 높다. 그리고 얼굴의 모든 세부 사항이 우리 정체성을 알리는 데 유용할 수 있으므로 조합 가능한 형질들이 많을수록 더 유리하다. 모든 얼굴을 독특하게 만들기가 더 쉬워지기 때문이다. 개인들을 식별 가능한 독특한 존재로 만들 수 있으려면 두 눈 사이 거리와 귀 모양에서부터 이마 높이와 광대뼈 각도에 이르기까지 얼굴의 모든 축면은 최대한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이런 다양한 얼굴특징들이 다른 사람과 서로 연관성이 없어야 한다는 의미다.
얼굴의 두 형질, 두 눈사이 거리와 코너비를 예로 들어보자. 예컨대 만일 두 눈 사이 거리가 넓은 사람이 언제나 코도 넓적하다면 두 형질이 각각 전달하는 정보는 중복될 것이다. 이때 가능한 조합의 수는넓은 눈과 넓은 코, 좁은 눈과 좁은 코 2가지뿐일 것이다.  - P422

어떤 종이 비친족 간 협력으로 혜택을 볼 수 있다면 개체 식별 능력은더욱 유용하다. 누가 누구인지 확신할 수 없다면 누가 전에 내개 잘해주었는지 어떻게 기억할 수 있고, 앞으로 협력할 상대가 누구인지를 어떻게 알 수 있겠는가? 음식을 나누어주지 않았거나 계산할 때 쏙 빠져나갔던 사람을 어떻게 피할 수 있겠는가? 자신과 유전자를 공유하는 친족하고만 상호작용을 한다면 이런 문제는 중요하지 않을 수 있다. 7장에서 살펴본 혈연 선택의 원리에 따라 호혜적이지 않은 상황에서조차 그냥 모든 친척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러나 비친족 간 협력을 촉진하려면 정체성 확인이 속임수를 줄이는 매우 가치 있는 방법이다. - P42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문익점 신화

원에 사신으로 갔던 문익점은 돌아올 때 길가의 목면 나무를 보고 그 씨 10여 개를 따서 주머니에 넣어 가져왔다. 이것이 문익점의 역사적 운명을 바꿔놓았다. 문익점은 파직된 뒤 고향 진주로 돌아가 목면 재배를 시도했다. 하지만 문익점이 심은 목면은 전부 죽고 장인 정천익이 심은 것만 살아남아 3년 만에 밭을 일굴 정도로 재배에 성공했다. 정천익은 중국 승려 홍원의 도움을 받아 목화씨를 빼는 씨아와 실을 뽑는 물레를 만들었다. 정천익과 문익점은 목면 전파에 힘을 쏟아 10년 만에 전국에 목화가 보급되었다. - <하룻밤에 읽는 고려사 >, 최용범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8gzsE43P89EA1isAA

흔히 목화씨를 가져온 것 때문에 목면이 전국에 퍼졌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목화는 당시 원을 오가는 여러 사람을 통해 들어올 수 있었다. 오히려 목화 재배가 전국으로 퍼질 수 있었던 데는 목화씨를 빼는 씨아와 실을 뽑는 물레, 목면 짜는 기술 등을 국산화했기 때문이라는 게 학자들의 시각이다. 한마디로 정천익의 공이 크다는 얘기다. - <하룻밤에 읽는 고려사 >, 최용범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qb4b3CVWf1UZtLQw9

오늘날 우리가 익히 들었던 문익점에 관한 전설은 조선시대에 와서 모두 소설처럼 창작된 것이다. 문익점이 중국 강남에 가서 목화씨를 얻어왔다는 이야기는 허구다. - <하룻밤에 읽는 고려사 >, 최용범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tPboRPsnHqfyVMhVA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마와 마누라

몽골어는 우리말에도 흔적을 남겼는데, 그 대표적인 예가 ‘장사치’, ‘벼슬아치’, ‘양아치’ 등에 쓰이는 ‘치’다. 바로 이 치는 ‘다루가치’의 치와 같은 말이다. ‘다루’는 몽골어로 지배한다는 뜻이고 ‘치’는 사람을 나타내는 의존명사다. 이 ‘치’가 지금도 쓰이고 있다. 그 외에도 임금의 밥을 뜻하는 ‘수라’라는 말도 몽골어다. ‘대왕마마’,
‘대비마마’ 등 궁중 어른에게 쓰는 최고의 존칭어인 ‘마마’는 세자를 가리키는 몽골어이고 마누라는 세자빈을 가리키는 몽골어다. 물론 오늘날 마누라는 부인의 ‘비칭’으로 전락했지만 말이다. - <하룻밤에 읽는 고려사 >, 최용범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VV2NM9WWQHCFNtiw7


댓글(1)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호시우행 2024-02-07 14: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마누라가 몽골어라니, 한 수 배웁니다.
 

티치 포 아메리카와 헌장학교


‘슈퍼맨을 기다리며‘에 등장하는 학교 중에 KIPP LA 대학 준비반 고등학교가 있다. 이 학교는 ‘아는 것이 힘이다. 프로그램(Knowledge Is Power Progran, KIPP)에 가입되어 있는 140여 개 학교들 중 하나다. KIPP 학교들은 공교육에 대한 ‘무관용(No Excuses)‘ 접근법을 대표하는 학교들로서, 규율과 품행을 강조하고 하루의 수업 시간과 수업일수가 길고 교원들을 선택적으로 채용하고 전통적인 읽기와 수학능력을 강조하는 현장학교의 모범을 보여 준다. 이 모범을 많은 학교들이 따르고 있다. KIPP은 1995년 휴스턴과 뉴욕 시에서 ‘미국을 위한 교육(Teach for America)‘
프로그램 -미국에서 가장 들어가기 어려운 대학들을 최근에 나온 수천 명의 졸업생들을 채용해 성적이 좋지 않은 지역의 학교들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도록 하는 프로그램 - 의 지지자들에 의해 시작되었다. 현재 KIPP 네트워크에 속해 있는 학교들에서 흑인과 히스패닉의 비중은 95% 정도이고, KIPP 학생의 80% 이상은 연방정부의 급식 지원 대상에 속할 만큼 저소득층에 속한다." - P9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신정권의 사병과 관군

최충헌의 장기 집권 시스템은 권력은 강화했지만 국방력은 약화했다. 최충헌은 권력 유지를 위해 국방력은 오히려 약화하는 게 좋다고 생각했다. 최충헌은 도방을 강화하기 위해 관군을 약화했다. 자신의 문객 중 관군이 되겠다는 사람은 즉시 귀양을 보냈다. 체격 좋고 힘 좋은 젊은이들을 도방의 병사로 뽑아 우대했다. 최충헌 가문의 사병이 열병하면 그 길이가 2, 3리에 달했다 한다. 그에 반해 관군은 용맹하고 쓸 만한 사람이 없었다. - <하룻밤에 읽는 고려사 >, 최용범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qyuq1wysjpc5hVs28

거란군이 개경에 육박해 들어오자 최충헌은 군인 수만 명으로 하여금 자신을 지키게 했고 성 밖의 민가를 헐어서 참호를 팠다. 자신의 안위만이 문제였다. 개경에 육박해 들어오던 거란군을 조충과 김취려 장군이 힘들게 물리쳤다. 1219년(고종 6) 3월 공을 세운 서북면원수 조충과 김취려 등이 개경으로 개선해오자 최충헌은 그들이 세력을 가질까 두려워 개선 의식인 영아례迎迓禮를 중단시키고 장수들에게 사사로운
잔치를 열어주었다. 그 예산도 국가 예산이 아닌 백관들에게 은을 추렴해 충당했다. - <하룻밤에 읽는 고려사 >, 최용범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7AWpn9LkPVMk4ird7

최충헌은 거란과의 전쟁 중에는 무관 인사 청탁을 하는 이들이 없어 뇌물을 받을 수 없게 되자 정기 무관 인사인 도목정都目政을 시행하지 않았다. 그러다 거란과의 전쟁에서 승리한 이후 인사 요청자가 많아지자 그제야 도목정을 시행했다. 그런데 군공을 세운 이는 승진시키지 않고 뇌물을 바친 자만 승진시켰다. 군사들의 불만이 없을 수 없었다 - <하룻밤에 읽는 고려사 >, 최용범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FpDCANzEetoTWBYm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