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건 이야기 - 너무 늦기 전에 알아야 할
애니 레너드 지음, 김승진 옮김 / 김영사 / 201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Fresh Kills, 2001년 폐쇄된 뉴욕의 쓰레기 산이다. 대도시에서 나오는 쓰레기를 단지 당장 눈에만 치우고 버려진 땅에 쌓아놔 쓰레기 들이되고, 쓰레기 산이 되고... 우리네 난지도와 닮았다. 침출수나 가스 같은 위험성에도 불구하고 쓰레기를 아스팔트로 그리고 풀과 나무로 덮어 공원을 꾸미는 것도 난지도와 닮았다. 하지만 우리가 이 땅을 덮고 버림으로써, 분리수거와 재활용이란 것을 배웠지만 미쿡은 그렇지 못한 것 같다. 그들은 아직도 음식물 쓰레기와 재활용품과 매립용 쓰레기를 다 같이 버리고 있다.

 

거리에 쌓인 생활 쓰레기가 어디로 갈까, 청소원 아저씨들이 새벽마다 치우고 그 다음엔, 그 다음엔... 이 책<물건 이야기>은 단순한 이런 의문점에서 시작한다. 폐기물은 단순히 폐기물에만 한정지은 것이 아니라, 추출-생산-유통-소비-폐기의 단계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따로 떼어 놓고 볼 수 없고, 그 해결 방안 역시 전체적인 맥락에서, 연결고리로 파악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렇게 보는 것 (system thinker)이 이 책 <물건이야기, The Story of Stuff>이다. 물건 Goods에는 좋다라는 뜻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물건은 stuff으로 정의하고 있다.

 

추출-생산-유통-소비-폐기의 단계로 구분하고 있지만, 실제로 이 사이클은 시간이 갈 수록 커져, 대량추출-대량생산-대량유통-대량소비-대량폐기의 확대 재생산되고 있다. 언제부터 풍요의 시대가 열려, 소비가 미덕인 사회가 되었고, 언제부터인지 <과소비>란 말이 우리 주변에서 사라졌다. '패스트 푸드'나 '패스트 패션'에서 처럼, 대량생산-대량소비의 결과로 '대량'은 되었으나, 전반적으로 질적인 저하를 가져왔다. 핵심에는 소비 패턴의 변화가 있고, 더 중심에는 기업의 이윤추구의 목적이 있는데, 결과적으로 자원의 대량 낭비로 이어져, 그것도 짧은 시간안에 진행되 가고 있는 점이 특히 우려할 만 한다. 자원과 지구는 한정되어 있으나 그만큼 빠른 속도로 쓰레기를 만들어 내고 있는 셈이다.

 

사이클의 다섯 단계 중에서도 특히 개인적으로 주목하고 있는 것은 대량 생산과 대량 소비인데, 그 흐름을 주도 하고 있는 것은 당연히 기업이 있다. 업계는 이러한 대량생산과 대량소비를 촉진시키기 위해 두가지 책략을 만들어 냈다. (책의 p284~293)

1) 계획의 구식화 - 사람들이 한 제품을 하나씩 모두 사는 순간 시장은 정체될 것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유행을 만들어, 아직 고장나지도 않은 제품을 버리고 새로운 제품을 사게 만들어야 하는 것이다. 새로운 기능을 덧붙이고, 사소한 고장이라도 고치는 비용을 비싸게 만들어, 차라리 새로 사는 것을 싸게 보이게 하는 것이고, '취향'과 '유행'을 만들어 새로운 제품을 사게 하는 전략이다. 결과적으로 모든 제품을 1회용품으로 만들어 더 빨리 쓰레기장으로 보내는 것이다.

2) 광고 - 필요 없는 물건이라도 필요한 것 처럼 오인하게 만들고, 없으면 기분 나빠지게 만들어서, 구매하게끔 만든다. 고급 브랜드를 소유하면 마치 자신의 삶의 질이 멋있는 유명 연예인들 만큼 좋아 보이게 만든다. 광고는 제품의 원료나 특징을 설명하는 것을 넘어서, 이미지, 라이프스타일을 연결시키려 한다. 이런 사람들과 같아 지고 싶다면 그 제품이 필요하다. 하지만 그 제품을 산다고 해서 유명 연예인이 되는 것이 아니다. 잠시 착각뿐. 광고의 선전 문구처럼 연예인이 되지 못하는 것을 잘 알고, 상품과 소유자를 동일시 하지 않으며, 그 광고가 노리는 것을 잘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우리 세대는 그래도 괜찮을 것이다. 아직 쓰레기를 버릴 공간이 남아 있고, 파낼 자원이 아직 남아 있으니까. 문제는 우리 다음에 올 세대다. 그들은 우리의 습관을 답습한 덕분에 더 한정된 자원과 더 많은 쓰레기 속에서 삶의 터전을 일궈야 할 것이다.

 

이 책에서 제시하는 몇가지 방법은 p93, p188에 나와 있다.

1) 튼튼하게 만든다 - 내구성이 좋은 제품은 지금처럼 빨리 버리고 새로 살 필요가 없다

2) 수선 가능하게 만든다 - 새로 사는 것보다 고치는 비용이 훨씬 적게 든다.

3) 재활용 가능하게 만든다 - 대활용해도 가치가 심하게 떨어지지 않게, 여러번 재활용 가능하게 만든다.

4) 유연하게 변경 가능하게 만든다 - 기능이 향상되도 컴퓨터를 새로 사지 않더라도 몇가지 부품만 업데이트 가능하게 만든다. 카메라 렌즈처럼.

5) 많은 에너지와 유독물질 사용 안하면서, 그리고 1)~4) 될 수있도록 디자인한다.

 

문제는 우리가 생활에서 환경에 도움을 줄 방법이 그리 많지 않다는 것이다. 하지만 작게라도 시작하고 싶다면 p 403 GAIA(세계 반소각로 연맹)에서 제안하는 쓰레기 제로의 아홉가지 요소는 참고할 만 하다.

1) 소비와 폐기를 줄인다

2) 처분한 물건을 재사용한다

3) 생산자 책임 재활용 제도의 원칙을 따른다

4) 완전하게 재활용한다

5) 유기물질은 환전하게 퇴비화하거나 자연 분해한다

6) 시민이 참여한다

7) 소각장을 금지한다

8) 독성물질을 없애고 내구성 있고, 수리가 용이한 제품을 만들 수 있도록 제품 디자인을 개선한다.

9) 이런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하여 효과적인 정책, 규제, 인센티브, 재정 구조를 마련한다.

 

이 책에서 제시하는 근본적인 제안은 패러다임의 전환을 요구하며, 상당히 진보적이다.(p405,407~) 1) '발전'에 대한 측정방법 바꾸기 - 성장위주의 GDP에서 환경지수를 포함한 삶의 질을 높이는 척도 GIP로.

2) 전쟁 없애기 - 군사비 지출을 좋은 곳에 사용 - 학교와 보전 예산을 줄이면서 자금을 대는 군비.

3) 스트레스, 질병, 공공건강, 환경파괴, 미래세대 피해 등 포함시켜 가격 산출하기

4) 물건보다 시간의 가치를 더 높이 평가하기

 

개인적으로는, 일회용컵 보다 개인 머그잔 사용하는 것, 재활용 분리수거 잘하는 것, 대중교통 이용하는 것, PVC제품 구입안하기 등으로 내 주위부터 바꾸려고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