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아이처럼 - 아이, 엄마, 가족이 모두 행복한 프랑스식 육아
파멜라 드러커맨 지음, 이주혜 옮김 / 북하이브(타임북스) / 2013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아이가 하나면 우아한 삶을 포기하고, 아이가 둘이면 인간다운 삶을 포기한다. 그럼 아이가 셋이면요? 더 이상 인간이 아니다. 학교 다닐 때 수업 중에 교수님께서 하신 말인데, 지금 전적으로 동감하고 있다.

 

갓 돌 지난 아기 아빠로서 아기와 함께 어디를 가던지 힘든 일이다. 밥을 먹으러 가도 힘들고, 집 근처 나들이 가도 힘든 일이고, 때로는 마트 가는 것도 힘들다. 그렇다고 집에만 있는 것도 갑갑해 하는 아이 엄마에게 힘든 일이다. 외식에 커피 한잔 마시는 우아한 생활을 하는 것은 애가 잠들고 있지 않는다면 상상도 못할 일이다. 어른들 말에 의하면 그나마 얌전한 편이라는데, 힘들다. 아이가 저녁 잠에 적응이 되는 요새 잠 잘만하고, 책 읽을 시간이 되고 주변을 둘러볼 여유가 된다.

 

설마 그럴까? 프랑스 아이들은 그렇지 않다는 책 선전을 혹하여 책을 샀다. 귓등으로 들어 찾기 시작한 책 이름이 비슷해서 두 권 모두 사버렸다. 프랑스 아이들은, 주변에 내가 보던 주변을 모두 엉망으로 만들어 놓는 우리 아이 또래 아이들과 다르다고 설명하고 있다. 여러 의견이겠지만, 여기서 배워 하나라도 개선된다면 하는 마음에서이다. 프랑스 아이들은 말을 잘 듣고, 통제가 되며, 식당에서 울지도 않고, 뛰어 다니지 않는 작지만 예의 바른 아이이고(우리 눈엔 천사로 보인다), 우리 아이들(미국 아이들도 비슷하다)은 통제할 수 없는 고집불통의 말도 잘 안 통하는 제멋대로인 어린애로 묘사된다.

 

현재의 우리가 흔히 주변에서 보고 듣는 육아법은 다산과 전업주부 엄마에게 전적으로 맡겨두는 우리네 전통적인 육아법은 아니고, 전체적으로 볼 때, 우리는 아이 양육방식은 미국식이다. 선진국의 그것은 모두 좋아 보여서 인지, 유아교육과 산부인과 역시 현재 한국 사회의 주류인 미국파가 많아서 인지 모르겠다. 프랑스식 육아법은 아동 학대도 많다는 부작용도 들어 알고 이 책을 읽어 나갔다. 여러 의견을 듣고 어차피 선택은 우리가(실은 애기 엄마가) 하면 되는 것이다.

 

이 책 <프랑스 아이처럼>은 전통 육아법 서적은 아니고, 영국 남자와 결혼해 파리에 사는 미국 엄마가 격은 일을 에세이 형식으로 적어 나간 책이라, 딱딱하지 않았고, 함께 호흡해 나갔기 때문에 읽어 나가기가 쉬웠다.

 

처음 얻어 맞은 것은 애기 밤잠 재우기였다. 애기 엄마에게 물어 보니 우리 아기는 6개월쯤 지나니까 밤에 잘 안깨고(그래도 가끔 한 번씩은 깸) 잘 자기 시작했다고 하니, 어느 정도 성공한 셈이다. 갑자기 예방접종 맞으러 갔던 산부인과 의사가 해 준 이야기가 생각 났다. 아기 울리는데 겁내지 말라고 했었다. 낮 생활 소음에 조심하지 말라고 하는 이야기도 덧붙였었다.

 

이 책에 의하면, 프랑스식 수유는 하루 네 번, 8, 정오, 4, 8시 정해진 시간에만 한다. 젖먹기도 일종에 사회 훈련인 셈이다. 여러 번 조금씩 먹기보다는, 서너 번 많이 먹어야 하며, 차차 아기들도 점차 다른 식구들의 리듬에 맞출 수 있다는 이야기다. 서두르지 않고 일정에 아기를 적응시키다 보면 어른처럼 익숙해지고 부모도 익숙해져, 나중엔 아기도 가족의 일원이 되어 온가족이 같은 시간에 함께 식사를 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아이들에게도 인내심이 있고, 절제력이 있다는 것을 배경에 담고 있다. 그것을 용납하지 않는 부모에게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많은 프랑스식 육아법은 프랑스의 68세대, 교육학자 프랑수아 돌토에게서 커다란 영향을 받고 있다. 다소 급진적으로도 보일 수 있는 이러한 육아법은 근본적으로 아이들도 작지만 독립적인 인격체로 보고 있다. 돌토는 아이에게 세심하게 귀를 기울이되, 아이에게 세상을 설명해 주어야 한다고 여겼다. 어린 아이에게도 인격이 있으니, 떼쓰기(합리적인 동기가 있다)에도 귀를 기울여 그것을 알아 내는 것이 부모의 할일 이라고 보고 있다. 아기도 작은 인간이므로, 부모도 아이에게, 스스로의 귄리를 인정하고 예의를 지켜야 한다고 한다. 이것은 자유방임이 아니라, 아이 스스로가 헤매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혼자, 안전하게, 놔두라고 말하는 것이다.

 

프랑스식 탁아소/어린이집 크래쉬(p145)와 에콜 마테르넬(무로 공립 어린이집)에 대한 찬사가 나오는데, 우리에겐 그 시스템이 부러울 따름이다. (사회적 합의, 복지니 세금이니 하는 생각이 꼬리를 물어 머릿속 일이 점점 커진다) 이 안에서도 프랑스식 보육이 설명되는데, 아이들에게 단호한 경계(카드로)가 주어지지만 그 안에선 많은 자유가 주어지는 점에서 우리와는 다르다고 할 수 있겠다. 자율을 스스로 인지하는 과정이 교육의 목표가 되고 있다. 조금이라도 더 빨리 지식을 가르치려는 우리네 보육과는 방향이 전혀 다르다. 미국식 교육 방침은 지식의 습득이 빠를수록 좋다고 보고, 조기교육, 사교육, 부모들의 치마바람어디서 많이 들어본 이야기이다. 프랑스 식은 규율을 배우고, 사회성을 배우고, 자기 생각을 조직적으로 말하는 것을 배우는 것에 우선순위를 둔다. 즉 어린이집에서 한글, 한자, 영어 이런 거 안 가르친다, 우리 눈으로 보면 아무것도 안 하는 것으로 보인다. 분명하게 말할 줄 안다는 것은 분명하게 다른 사람과 소통할 줄 안다는 뜻이다. 어법을 익히면 타인의 의견을 받아들일 수 있다. 논리적인 사고를 시작하면 추론의 결과도 저절로 알게 된다.

 

또한, 이 책은 미국인이 파리에서 아이를 키우는 이야기이기 때문에, 영어권/프랑스어권의 이중언어의 문제도 동일하게 나타난다(p202). 우리 식으로 보면 영어유치원에 대한 생각과 유사하다. 아이들의 언어 습관은 아이의 키가 자라는 것처럼 시간에 따라 만들어가는 것이지, 어디서 불쑥 얻어지는 것이 아니다. 이 책의 저자인 딸 빈 역시, 이중 연어 습득의 문제가 나온다. 단어 섞어 쓰기, 문장 속에 혼합하여 사용하기, 발음/억양 등 언어의 구별이 잘 되지 않는다. 역시 미국인/프랑스인에 대한 정체성에 문제는 이 책도 마찬가지 이다. 언어나 문화는 배울 수 있어도, 자기 자신과의 본질에 대한 고민은 계속되고 있다.

 

프랑스식 육아의 중심엔 부부가 있었다. 아이가 중심인 우리의 육아법과 근본적으로 대비되는 대목이다. 그렇기 때문에, 모유대신, 분유를 먹여야 되는 것이고, 훌륭한 탁아소가 있어야 하고, 아이는 자율적이어야 하고, 엄마가 임신 중에 덜 찌고, 빨리 살을 뺄 수 있는 것이다. 부부의 시간엔 아이들은 철저히 구별된다. 행복한 부부 사이에서 행복한 아이가 양육될 수 있다는 논리와 자연스레 연결된다.

 

이 책의 저자는 프랑스식 육아법과 미국식 육아법을 대척점에 놓고 있다. 우리의 육아법은 미국식에 더 가까운 것으로 보인다. 남의 방법은 참고로 하면 그뿐이겠다. 정답은 없고, 각자 상황에 맞게, 그 상황에서 가장 알맞은 것을 내가 알아서 선택하면 될 것이다. 이 책의 저자 역시 중간점을 찾고 있는 것으로 결론내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