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왜 패스트 패션에 열광했는가 - 어느 쇼퍼홀릭의 무분별한 쇼핑 탈출기
엘리자베스 L. 클라인 지음, 윤미나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13년 7월
평점 :
절판


책의 제목이 과거형임에 주목해야 한다. 과거 패스트 패션(Fast Fashion) 쇼핑에 중독되었던 한 미국 여성의 이야기 이다. 원제 <OVERDRESSED: The shocking high cost of cheap fashion>과 다른 개념으로 우리말 제목을 정했고, 둘 모두 합당한 제목이 될 것 같다. 현 의류업의 주류로 떠오른 패스트 패션 현상과 원인을 고찰한 내용이다. 몇 일 전 유니클로 강남점에서 히트텍 세일한다고 새벽에 사람들이 줄섰다는 기사를 봤다. 이 책을 통해 패스트 패션의 유통구조와 산업구조를 들여다 볼 기회가 있었으니 관심이 간다.

 

패스트 패션은 거대 자본의 개입으로 기술의 진보와 유통을 혁신 함을써, 디자인-생산-유통의 시간적 단계를 줄였다. 또한 제3세계에 위탁 생산하여 단가를 낮춰 대량 생산, 대량 유통, 대량 소비의 일렬 과정이 갖춰진 것이다. Fast Food 처럼 빠른 디자인과 생산에 힘입어, 소비자의 입맛에 재빨리 맞는 옷이 유통되면서 일회용품의 목록에 의류와 신발도 포함시키는 시대가 되었다. 항상 좋은 부분이 있다면, 어두운 부분이 있기 마련인데, 이 책 역시 이면에 촛점을 맞춘 책으로서, 패스트 패션의 문제점에 집중 조명하고 있다. 패스트 푸드도 빠른 속도와 편리성을 위하여 그 외의 모든 것은 포기하곤 하는데, 패스트 패션 역시 값싼 재료, 싼 노동력, 결과적으로 고당분, 고지방의 질 낮은 음식료를 제공 하는 결과를 보게 되는데, 패스트 패션 역시 싸구려 식품으로 싸구려 의류로 제품만 바뀐 것 뿐이라는 생각이 든다.

 

이 책에는 많은 의류 브랜드가 등장한다. 일부는 아는 것도 있지만 일부는 전혀 모르는 것이다. 스웨덴의 H&M, 한국계 미국인의 포에버 21, GAP, 스페인의 ZARA, 일본의 Uniclo, 타겟과 월마트, K-마트의 자체 브랜드, GAP 패밀리(Eddie Baurt, American Eagle, Outfittes, The Limited, Oln Navy, Abercrambie & Fitch, Express, Banana Republic), 의류 백화점 TJ Maxx, Macy's 까지. 그러고 보니 몇몇 브랜드 옷을 가지고 있다.

 

패스트 패션은 저렴한 가격의 옷들이 '싸구려'로 보이지 않는 큰 장점이 있는데, 이로 인하여 부유층 중산층이 독점하던 고급스러운(고급스러워 보이는) 의류를 저렴한 가격으로 인해 누구가 쉽게 구입할 수 있는 소비자 민주주의를 가져다 주어, 계층에 상관없이 마음껏 사서 마음껏 입을 수 있는 세상이 되었다.

 

패스트 패션은 근본적으로 치명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데, 빠른 유통과 빠른 소비와 더불어 빠른 폐기물을 만들어 내어, 환경에 부담을 주기 시작하고, 제3국 노동력의 결과로 미국 국내의 기존의 의류 산업을 붕괴시키고, 개편시켰다. 또한 소비자들에게는 낮은 가격에는 만족하지만, 몇번 빨면 입을 수 없어 버려야 하는 품질 낮은 의류를 공급하는 새로운 주류를 만들어 내었다. 값싼 원단과 엉성한 바느질이 그 이유이다. 참고로 Nike는 디자인과 마케팅은 미국에서 하고, 생산은 해외에서 하는 방식으로, 결과적으로 미국내 일자리 감소, 중산층의 몰락, 양극화로 이어졌는데, 패스트 패션도 같은 방식을 취하고 있다. WTO와 NAFTA의 발효는 우리 농민들에게만 불리하게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미국의 노동자들에게도 유사하게 작용하는데, 그들 역시 의류 산업에서 대기업은 살고, 생산기반을 몰락하는 것은 미국이나 우리나 비슷하다는 결론이 나온다. 유통망을 가진 계층에선 생산을 해외로 돌렸으니 동일하거나 더욱 더 돈을 잘 벌겠으나, 노동력을 제공하는 입장에서 보면 다른 대체할 만한 일자리가 질적으로나 양적으로 있을리가 없다. 이는 그동안 누려왔던 고급 디자이너가 디자인한 고급 브랜드의 비싼 가격으로 형성된 의류 산업의 반대 급부일 수도 있다. 미국은 현재 패스트 패션을 중심으로 한 싸구려 패션과 극단적으로 비싼 고가의 의류 두가지로 양극화로 재편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 책은 또한 의류산업에 관련된 많은 부분을 건들이는데, 미국 의류 유통 역사도 정리해 준다. 소매점이 백화점위주에서 쇼핑몰을 지나 지금은 유명 브랜드 체인점을 중심으로 독립매장으로 운영되고 있고, 우리의 문화가 은근히 미국식을 따라 가는 것으로 볼 때, 같은 형태로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

 

Fast Fashion은 단지 '옷'에만 한정된 산업이 아니다. 의식주 중 하나를 담당하는 분야이고, 오래된 기반 산업중 하나이다. 당연히 사회의 근본을 이루는 분야에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 생산자의 노동권, 임금, 근로 환경 등 노동 문제와 재활용 안되는 구조, 의류 폐기물, 환경문제 등 폐기물 문제 등 여러 사회 문제들과 연관되어 있다. 디자인의 저작권과 표절, 하도급, 재도급 같은 계약상의 관계, 소비를 지향하는 문화, 가격의 저하와 품질의 저하까지 다르고 있다.

 

* 더 많은 정보는,

- 책의 저자는 페이스북을 운영하기도 하고

Overdressed: The Shockingly High Cost of Cheap Fashion (https://www.facebook.com/#!/overdressedthebook)

- 자신의 웹사이트로 가지고 있으며, http://www.overdressedthebook.com/

- 몇몇 쇼핑 블로거를 소개 하기도 한다.  Mamichula8153 - shopping Hauler

You tube - My Blazer Collection

 

작가는 의식주중 하나인 근본적인 문제를 다루다 보니 사회학적인 문제점에도 파고들고 있는데, 너무 나간다는 생각도 든다. 지리적으로도 멀리 가서 현장을 보는데, 중국, 방글라데시 까지 가는 것도 마다하지 않는데, 그곳에 방문해서 보고 들은 내용도 생생히 전해준다. 생산, 소비, 유통까지 숨가쁘게 서술되어 이해하면서 따라가는 것도 벅찰 지경이다. 패션의 역사, 미국의 의류산업, 직물산업으로 시작해서 결국은 작가 자신이 재봉틀로 옷을 직접 만들어 입는 내용까지 나온다.(옷 만들어 입는 것이 즐겁다가 결론 중의 하나일 것이다) 약간 미국식 민족주의를 대변하는 느낌(미국 사람이니까)이 들어 약간 거북하기도 하지만, 그녀가 전해주는 정보를 각자 기준으로 필터링하여 선택하는 것이 우리의 몫이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