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형제 독일민담 - 새롭게 풀어보는 상징과 은유의 세계
이혜정 지음 / 뮤진트리 / 201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제목이 그림이라서 그림책이라 생각하면 안되고, 독일민담이라서 민담만이 적혀 있다고 생각하면 안 된다. 민담(이야기는)은 요약으로 정리 되어 있고, 그 민담에 대한 평론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야기보다 평론이 위주라고 보면 더 좋을 것이다. (, 어렸을 때 재미나게 읽었던 이야기 거리가 잔뜩 담겨져 있는 동화책을 기대하고 구입하지 마시라고마치 <아라비안 나이트>처럼 우리가 동화책으로 알고 있던 이야기가 알고 보니 적나라한 성인물이었네이런걸 기대하시면 안됩니다 - 물론 저도 약간 기대하고 구입했던 터라. 하지만 알고 보니까 아니었네 하는 종류의 이야기가 아주 안 나오는 것도 아니랍니다.)

그림 동화가 그림형제(형이 야곱, 동생이 빌헤름) (저작권을 행사할 만큼) 스스로 지어낸 이야기라기 보단, 구전되어 오던 이야기를 그림네 형이 원어 그대로 채득한 이야기를 정리하였고, 잔인한 내용도 원문 그대로 모으다 보니까 비난이 일어, 그림네 동생이 약간 수정하여 형제의 이야기가 되었고, 이 민담이 전해져 우리가 알게 되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더 자세한 내용은 책의 서문 참조). 구전해오던 민담이다 보니 주인공이 바뀌기도 하고 결론이 바뀌기도 하고 다른 이야기로 연결되기도 하고, 흐지부지 끝나기도 하고, 중간에 끊기기도 한다.

재미있는 것은 민담이라 그런지, 지구 저편의 독일에서의 이야기가 우리가 익숙하게 알고 있는 우리의 이야기와 비슷한 점이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콩쥐팥쥐 이야기 라던가, 권선징악에 관한 이야기들도 독일에서도 발견 된다는 것이다. 차이가 있다면 우리네 이야기가 주로 권선징악을 다루고 있다면(어린애들 말 잘 들으라고, 착하게 살라고), 독일의 민담은 꼭 권선징악이 아닐 수도 있다는 것이다. <말괄량이 삐삐>를 보면 삐딱한 이야기도 있다(물론 현대물이지만).

하지만 이야기와 설명을 한꺼번에 담고 있는 책이라서, 그래서 주로 이야기가 요약위주로 되어 있다 보니 이야기를 읽는 재미보다 (읽을만하면 끝나, 소위 깬다) 상상의 나래를 펴다가 끝나는 한계가 있었다. (물론 나의 기대가 잘못됐을 수도 있지만) 물론 평론이 이어져 어떤 것을 의미하는지, 상징하는지, 그 결과 현대사회에서 이런 관습이 어떤 형태로 나타나는지 아는 장점도 있었다. 약탈혼, 비나혼의 개념도 새로 알게 되었다. 왜 신혼여행가서 첫날밤에 신랑이 신부를 안고 문지방을 넘어야 하는 지도. 특히 KHM 21 <재투성이>(신데렐라)의 해설을 보면서 새로 많은 것을 알게 되었다. 재의 의미(새로 태어난 처녀), 신발을 주는 행위(청혼, 약혼), 신발 한 짝의 의미(오이디푸스 신화) 등 단순히 낮은 신분의 여자가 남자 하나 잘 만나 팔자 피는 신분상승의 행운의 의미가 아니었다. 이외에도 막내의 이야기(시작은 미약하였으나 결과는 장대하리라), 민담에서 아버지의 역할(늘 문제를 방관하는 입장), 약속을 함부로 하면 딸을 빼앗긴다(성경에서 나오는 입다의 이야기)와 같은 수 많은 상징을 해설로 만나 볼 수 있는 장점도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