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 가지 이야기가 있는 나라, 인도네시아 - 800일 간의 인도네시아 체류기
임진숙 지음 / 즐거운상상 / 2007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나라에 살면서 우리의 눈으로 보는 다른 나라에 관한 이야기다. 나도 개인적으로 인도네시아라는 나라를 상당히 좋아하는데 그 나라에 관한 책이다. 

인도네시아는 우리가 많이 알지 못하는 나라에 속한다. 우리의 관심사는 우리의 근접한 이웃나라와 우리보다 경제적으로 잘사는 나라에 집중되어 있다. 우리에게 국제면의 소식은 미국의 대통령은 누가 되었는지, 신주꾸 거리에서 무엇이 유행하는지, 독일의 맥주 페스티발은 어떤지, 대충 이런 내용이다. 물론 우리보다 나은(주로 경제적으로) 나라의 문물을 배우는데 관심이 많다. 배울것이 있다는 점 때문이리라. 우리가 학교 다닐때, 공부 잘하는 친구와 사귀라는 부모님의 말씀처럼 말이다. 그것이 꼭 우리에게만 적용되는 건 아닐 거 같다. 사실 동남아의 아는 사람과 이야기 하다보면 (예를 들면 태국이나 말레이시아 친구들) 우리가 그들에 대해 아는 것보다 그들은 우리에 대해 많이 알고 있다. 즉, 우리나라의 신문의 외신면엔 그들 나라의 소식이 작게 할당되겠지만, 그들에겐 한국이 그들보다 나은 나라라 취급되기 때문인지, 그들의 신문의 외신난엔 한국이 더 많이 소개되리라 생각한다. 사실 우리에게 동남아 국가들의 외신이란 어떤 나라에 국가 원수가 바꿨다던지 쿠데타가 일어 났다던지 같은 굵직굵직한 이야기들 외엔 해외토픽에서나 만나봄직한 이야기들, 즉 사람잡아 먹는 구렁이가 발견되었다 등등의 이상한 이야기외엔 우리의 국제면에서 그들의 일상은 멀어져 있다. 다시 말해 우리는 동남아의 수 많은 나라에서 일어나는 일상을 애써 외면하고 있는 셈이다. 우리나라안에도 뉴스가 넘쳐 나는데 왜 그들 나라에선 없겠는가 말이다. 

즉 미국, 일본, 중국, EU 이외의 외국이라는 우리 말고도 수많은 나라 자체에 관한 책자는 찾기는 힘든 일이다. 대부분은 외국의 책자는 나라나 국민 혹은 문화이야기가 아닌 외국어나 여행책자에 한정되어 있다.

이 책 <천 가지 이야기가 있는 나라, 인도네시아>는 위에서 언급했던 것의 예외에 속하는 책이다.(다른 또 하나의 책이 있는데, 그것은 Curious 씨리즈의 인도네시아 편이다) 이 책은 인도네시아 '사람들'에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 지역과 나라와 문화는 그 인도네시아 '사람들'을 설명하기에 좋은 소재가 된다. 나도 인도네시아를 사랑하지만 그 이유는 인도네시아 사람들을 사랑하기 때문이다. 낙천적이면서 순수하면서 다양한 그 사람들 속에서 사람냄새가 진하게 나기 때문이다. 또한 이 책 안에선 상업적인 냄새를 배제한 진짜 인도네시아 사람들을 만날 수 있다.(책을 통해 뭔가 벌어보자는 다른 뜻이 없다는 뜻이다) 인도네시아를 간접적으로 경험하고 싶다면 이 책을 꼭 사보기 바란다. 

인도네시아라는 나라와 그 사람들을 설명하는데, 내가 아는 한 우리말로 된 최고의 책이 두권이 있는데, 하나는 이 책이고, 다른 하나는 <인도네시아 - Curious Global Culture Guide 41, 캐시 드레인, 바바라 홀 지음> 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