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천국에서 만난 다섯 사람
미치 앨봄 지음, 공경희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05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던 적이 있다. 내가 지금 이렇게 아둥바둥 하며 살아가고 있지만... 조금이라도 이쁘게 보이려고 열심히 화장하고, 머리에 꽂는 핀의 위치, 얼굴에 난 조그만 여드름 하나에 죽도록 신경쓰면서, 내가 그 사람에게 한 말 한 마디 한 마디 곱씹으면서 왔던 문자도 하루에도 몇 번씩 다시 보고, 지금 이 순간 이걸 할까 저걸 할까 망설이면서 살아가고 있지만. 과연 내가 죽어서 천국에 간다면 그런 나의 삶에 대해서 어떤 느낌이 들까... 웃음이 나올 것 같았다.
마치, 어린 시절 별 것도 아닌 유치한 장난감 하나에 목숨 걸었던 기억을 떠올리며 '내가 왜 그랬지?'하고 웃는 것처럼. 천국에 가면, ' 그게 뭐 그리 중요한 일이라고 그렇게 아둥바둥 살았지?' 할 것 같았다. 그러면서도 그 쳇바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아둥바둥 어제와 비슷한 하루를, 비슷한 생각을 가지고 보내고 있는 나를 역시 발견했다. 이 세상에 살아가는 동안, 좀처럼 벗어나기는 힘들 것 같다.
에디는 천국에 간다. 그 곳에는 뚜렷한 장소도, 일정한 시간도 없다. 그저 그 곳에는 다른 사람들의 기억과 삶이 공존하며 어제와 오늘이 함께 있는 곳이다. (그러나 그 곳에는 미래는 없는 것 같더라.) 이 책에서 그리고 있는 천국이 성경적이라고 생각하지는 않지만, 현재에 도대체 이해할 수 없는 일들이 그 곳에 가면, 환히 밝혀 보이리라는 주님의 말씀처럼, 에디는 그 곳에서 자신의 삶에 '전환점'을 가져다 준 다섯 사람을 만나게 되는 것이다. 천국에 가서야 그는 삶을 이해하게 된다고 할까? 천국에 가서야 삶의 비밀들을 환히 알게 될꺼라는 주님의 말씀이 생각났다.
서정적이고 담담하게 저자는 우리를 에디의 천국으로 인도한다. 그러나 왠지 서둘러 책을 낸 듯한 느낌이 들었다고 해야 솔직할 것 같다. 상상력 자체야 신선했지만, 좀 더 깊이있게, 좀 더 절묘하게, 좀 더 생동감있게 표현할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책의 전체적인 분위기는 다분히 몽환적이고, 푹~ 퍼져있는 느낌이다. 은근한 파스텔화처럼.
번역은 그야말로 번역체 소설답다. 어색한 영어 표현을 직역한 듯한 부분이 많이 보인다. 뭐랄까. 번역도 서두른 것 같다는 느낌이 들었다. ^^ 아마도 작가나 번역자, 모두 나와 같은 딜레마에 빠져있는 지도 모르겠다. 아둥바둥하지 않으려는 의도와는 달리 늘 서두르게 되는 것 말이다. 우리 모두 천국에 간다면, '훗, 그 때 내가 왜 그랬을까?' 하며 의아해 할지도 모르겠다. 나도, 작가도, 번역가도, 당신도. Maybe..?